•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세제민(救世濟民)’을 통해 본 조정산(趙鼎山)의 포교공부 일고찰 : 강증산 성사(聖師)와의 양산도(兩山道)의 원리와 관련하여 (Jo Jeongsan's Religious Activity in the Context of the Social Role of Religion: Focusing on Propagatory Works and Soteriological Aim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3.12
37P 미리보기
‘구세제민(救世濟民)’을 통해 본 조정산(趙鼎山)의 포교공부 일고찰 : 강증산 성사(聖師)와의 양산도(兩山道)의 원리와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 수록지 정보 : 대순사상논총 / 47권 / 203 ~ 239페이지
    · 저자명 : 고남식

    초록

    조정산의 ‘구세제민’을 중심으로 이글에서 논의한 조정산의 포교공부를 세 가지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정산이 구세제민을 위해 강증산 구천상제를 신앙의 대상으로 봉안하고 종단을 창설하여 강증산이 천지공사로 짜놓은 도수를 풀어 천지대도(天地大道)의 대체(大體)를 포교활동을 통해 인세에 정립한 데 있다. 이는 ‘본립이도생(本立而道生)’이라는 말과 같이 응원(應元)이며 시원(始原)인 강증산의 구세제민의 강세 목적을 따라 50년 공부를 통한 대사회적 종교활동이 조정산의 포교공부이다.
    둘째, 1917년 4월에 강증산은 득도한 조정산에게 ‘태인에 가서 나를 찾으라’고 하였는데, 이는 구세제민과 관련해서 특별한 어떤 의미가 있음을 보여주는 계시로 강증산의 신앙대상화를 의미한다. 양산도의 원리로 보면, 대순(大巡)사상에서는 강증산이 영(靈)으로 머물렀다는 미륵전 미륵금불은 증산(甑山)을 상징하고, 미륵전 미륵금불을 받치고 있는 철 연화대 즉 솥은 정산(鼎山)을 상징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미륵금불 격(格)에 해당되는 강증산이 종통계승자로 정한 인물을 미리 1917년에 득도케 하여 솥(鼎) 격에 해당되는 조정산이 다시 미륵불 격에 해당되는 강증산이 어떤 신격위인가를 인세에서 종단이라는 형태를 통해 신앙의 대상으로 정립한 행적이 된다. 양산도를 현세에 본격적으로 이루어 나가는 일이 무극도가 창도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 것이다.
    셋째, 조정산 자신이 직접 사회적 현장에 다가가 숭고한 강증산의 제민(濟民) 및 화민(化民)의 정신을 실천한 면에 있다. 이는 조정산이 사회에 근본이 되는 천지대도를 세워나가며 구세제민의 요체를 세운 것과 함께, 창생의 삶의 현실을 목도하고 대사회적 활동을 실현함이다.

    영어초록

    Jo Jeongsan’s religious activity undertaken to benefit society can be organized into two categories.
    First, attention can be paid to Jo Jeongsan’s religious activity of establishing religious order by enshrining Kang Jeungsan as the God of Ninth Heaven and making the Great Dao of Heaven and Earth the basic idea inspiring the social activity of his order. This was completed through the 50 years of propagation work carried out by Jo Joengsan in accordance with Kang Jeungsa’s purpose of saving the world and its inhabitants.
    Second, his practice of social work in the field of people’s lives based on the idea of the Dao can also be observed. This religious activity of Jo Jeongsan which began in 1909 was the sacred manifestation of his will to realize Kang Jeungsan’s purpose of saving the world and people, and it was also a practice of spreading virtue throughout the world.
    In addition, Park Wudang carried out Sihak and Sibeop Gongbu (two varieties of holy work) for the cultivation of Dao trainees, and those methods came from the systematic cultivation practice established by Jo Jeongsan. Regarding this, we can refer to Kang Jeungsan’s saying, “As the Dao shall dwell in the 12,000 peaks of Geumgang Mountain, the same number of sages who were enlightened to the Dao will be born into the world.” The perfected state of human maturity or the emergence of people who are enlightened to the Dao would be the completion of the idea of saving the world and its inhabitants. Therefore, the holy works of Sihak and Sibeop that are now being carried out can be seen as the continuance of the pursuit of saving the world and humankind, as it was continually upheld by Park Wudang’s predecessors, Jo Jeongsan and Kang Jeungs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순사상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