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19세기 豊山柳氏 河回派의 婚班 (Honban(婚班) of the Hahoi clan of the PoongsanRyu family from the 16th to 19th centur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08.06
38P 미리보기
16~19세기 豊山柳氏 河回派의 婚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1권 / 12호 / 429 ~ 466페이지
    · 저자명 : 김명자

    초록

    본고는 16~19세기 풍산류씨 하회파의 혼반婚班 경향을 다루었다. 혼반은 중첩된 혼인관계를 대대로 계승하는 문중 집단이다. 하회파와 혼인이 이루어진 성씨는 256개이지만, 이 가운데 혼반을 형성한 것은 안동권·진성이‧의성김‧안동김‧광산김‧영양남‧순천김씨를 비롯한 29개의 성씨다.
    혼반은 17세기 후반 문중과 더불어 형성되었으며, 18세기에 정착되었다. 하회파의 혼반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은 상대 성씨에서 퇴계학맥의 존재 여부였다. 그러나 시기별로는 조금씩 차이를 보였다. 17세기에는 퇴계학맥을 포함한 영남사림파로 통혼권이 형성되었지만, 류성룡의 인간관계도 혼인에 영향을 미쳤다.
    18세기에는 혼반이 정착되었는데, 의성김씨 천전파와의 혼인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서애계와 학봉계의 갈등이 혼반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안동권을 중심으로 통혼권이 형성되었지만, 근기남인과의 중첩된 혼인을 통해 정치적인 연대를 지향하기도 하였다.
    19세기에는 향촌사회가 병론屛論과 호론虎論으로 분열되었는데, 이러한 상황이 하회파의 혼반에도 영향을 주어 병론에 속한 성씨와의 혼인 비중이 높았다. 따라서 통혼권의 중심도 안동의 서부지역으로 좁아졌다. 이러한 변화는 혼반이 문중의 생존전략이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Honban trend of the Hahoi clan of the Poongsan Ryu family from the 16th to 19th century in Korea. Honban refers to a group of clans which had handed down overlapping marriage relationships for many generations. Among those 256 families which had had a marriage relationship with the Hahoi clan, 29 families including Andong Kwon, Jinseong Lee, Euiseong Kim, Andong Kim, Gwangsan Kim, Yeongyang Nam, and Sooncheon Kim formed Honban. Beginning with the formation of clans in the 17th century, Honban was established in the 18th century.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Honban was whether the other clan had a network of the Toegye School. However,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y period. Marriage relationships were made largely with the Youngnamsarimpa including the Toegye School network in the 17 century, together with some with other families personally related with Ryu Seong Ryong and descendents of those who served as high-ranking officials. Honban was established in the 18th century when there was a high ratio of marriage with the Cheonjeon clan of the Euiseong Kim family, which indicates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Seoae fraction and the Hakbong fraction did not affect Honban. Despite the established marriage relationship mainly with the Andong Kwon family, the clan sought for a political alliance with the Geunginamin faction by means of overlapping marriage relationships. In the 19th century, local community was divided into Byeonglon and Holon, which had an effect on the formation of Honban of the Hahoi clan, as shown in the increasing marriages with families belonging to Byeonglon. As a consequence, marriage relationship was limited to the west of Andong. This change occurred because Honban was a survival strategy for the cl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