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80년에 설치한 산마장의 횡장 연구 (A Study on the ‘Hoengjang’ of ‘Sanmajang’ Installed in 1780)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5.03
37P 미리보기
1780년에 설치한 산마장의 횡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78호 / 61 ~ 97페이지
    · 저자명 : 엄익성

    초록

    조선 후기 산마장에서의 구마(驅馬)는 제주민에게 큰 폐해였다. 이런 민폐를해소하려고 제주목사는 1780년 산마장 내 3개의 목장에 횡장을 설치하였다. 이에조정에서는 1782년부터 이로 인해 목양공간이 줄어 전마(戰馬)의 번식이 부진하다며 횡장의 철거를 여러 차례 지시한다. 그러나 제주목사는 백성의 민원을 이유로 횡장을 철거하지 않는다.
    이런 갈등은 1785년 말들이 한라산으로 나갈 수 있는 통로를 횡장에 추가하면서해소되었다. 이로써 산마장의 3개 목장 중에서 상장과 녹산장의 횡장은 존치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횡장의 위치를 비정할 수 있었는데, 말을 몰아오는 공간을절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곳에 자리하였다. 아울러 산마장의 3개 목장은 구마선을경계의 기준으로 삼아 구획되며, 각각의 영역은 구점 일자별 공간임을 논증하였다. 이 산마장의 구마선은 횡장 설치 이후에도 구점처인 효생동과 함께 그대로유지되었다.
    횡장의 존치 결정 후에 산마장에서의 목축 방식은 겨울철에 횡장 안쪽에서만방목하다가, 봄부터 횡장에 개설된 통로를 통해 예전처럼 산마장 전 지역에 방목하는 형태로 변하였다. 또 구점 식년에는 횡장 안쪽에 가두어진 말들을 효생동으로 몰아 점마하니, 장정들을 동원하지 않고도 구점할 수 있게 되었다.
    산마장의 구마 때 백성들이 산야에서 노숙하므로 사망자가 속출했었다. 이런고역이 횡장으로 인해 해결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산마장의 횡장은 조선시대 제주도에서 발현된 애민행정의 상징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e ‘Guma’ in the ‘Sanmaj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 great nuisance to Jeju residents. To resolve this nuisance, the Jeju governor installed ‘Hoengjang’ in three pastures within ‘Sanmajang’ in 1780. In response, the government ordered the demolition of ‘Hoengjang’ several times starting in 1782, citing the reduction of pasture space and the poor breeding of war horses. However, the Jeju governor does not demolish the ‘Hoengjang’ due to public complaints.
    This conflict was resolved in 1785 when a passage was added to allow horses to go to Mt. Halla in ‘Hoengjang’, and among the three ranches, ‘Hoengjang’ of ‘Sangjang’ and ‘Noksanjang’ was preserved.
    Through this study, the location of the ‘Hoengjang’ could be determined, and it was located in a place that could absolutely reduce the space for horses to move. In addi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three ranches of ‘Sanmajang’ were divided using ‘Gumaseon’ as the boundary standard, and that each area was a space. The ‘Gumaseon’ of this ‘Sanmajang’ was maintained along with ‘Hyosaeng-dong’, a place to inspect horses, even after the installation of ‘Hoengjang’.
    After the decision to preserve ‘Hoengjang’, the livestock farming method in ‘Sanmajang’ changed from grazing only inside ‘Hoengjang’ in winter to grazing in the entire ‘Sanmajang’ area through the passage opened in ‘Hoengjang’ from spring. Also, in the year of ‘Gujeom’, the horses confined inside ‘Hoengjang’ were driven to ‘Hyosaeng-dong’ to be grazing, so ‘Gujeom’ could be done without mobilizing the people.
    During the ‘Guma’ of ‘Sanmajang’, many people died because they were sleeping out in the mountains and fields. This hardship was solved by ‘Hoengjang’. In this respect, the ‘Hoengjang’ of ‘Sanmajang’ can be said to be a symbol of the administration that loved the people that was expressed in Jeju Is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