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라도 광주 무등산의 神祠와 天祭壇 (A Study on the Shrine and Cheonjedan in Mt. Mudeung in Gwangju, Jeolla Provin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3.02
28P 미리보기
전라도 광주 무등산의 神祠와 天祭壇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49호 / 137 ~ 164페이지
    · 저자명 : 김덕진

    초록

    무등산은 광주의 진산이어서 지역민들의 숭배 대상이었다. 광주 사람들은 무등산에 신사를 설립하고 국가와 지역의 안녕을 빌었다. 신사는 광주 읍내를 바라보고 읍내와 가까운 산 중하부에 있었고, ‘무등산지신’이라는 위패를 봉안하고 인근 사찰을 관리사로 활용하였다. 신라와 고려 때에는 국제를 지내는 곳이었는데, 조선에 들어와서는 읍제를 지내는 곳으로 강등되어 광주 목사가 제사를 정기적으로 주재하였다. 무등산 신사에서 무등산 산신에게 올리는 제사는 영험한 것으로 알려져,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찾아와 갖가지 소망을 빌었다. 그런데 신사는 18세기에 천제단으로 교체되었다. 조선 왕조에서 천제는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었지만, 연이은 자연재해 충격을 천제를 통해 이겨내려는 사회적 욕구 속에서 천제단이 등장하였다. 그래서 천제단은 신사의 기능을 그대로 계승하여 각종 복을 비는 장소로 이용되었다. 그런데 20세기 초에 일제 당국에 의해 강제 철거되어 사라지고 말았다. 이후 1960년대에 허백련에 의해 복원되어 오늘에 이르고, 현재는 시민단체에 의해 개천제가 거행되고 있다. 이상을 통해 무등산을 오래 동안 진산으로 여겨왔던 광주 사람들의 긴 여정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Being the guardian mountain of Gwangju, Mt. Mudeung has been worshiped by the locals for many years. The Gwangju people built a shrine in the mountain and prayed for the well-being of the nation and region. The shrine was located at the middle lower section of the mountain close to the downtown of Gwangju, thus looking down at it. It enshrined the memorial tablets of a mountain god and used a neighboring Buddhist temple as its management office. In Shilla and Goryeo, they held a national ceremony at the shrine. In Joseon, the shrine was degraded to a venue to hold a town ceremony, which was regularly supervised by the Gwangju Moksa. The religious service held at the shrine of Mt. Mudeung for the mountain god was known for its miraculous quality and attracted people of all sorts and classes who tried to make a wish at the service. The shrine, however, was replaced with Cheonjedan in the 18th century. The Joseon Dynasty banned a ritual for the worship of the heavenly gods in principle. It was in the middle of social desire to overcome the shocks of a series of natural disasters that Cheonjedan emerged. It inherited the functions of the shrine as they were, being used as a place to pray for all kinds of fortune. In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it was demolished by the ruling Japanese authorities. In the 1960s, it was restored by Heo Baek-ryeon. Today a civil group holds a Gaecheon ceremony there. The study traced the long journey of Gwangju people that regarded Mt. Mudeung as the guardian mountain for many yea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