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師子山 禪門의 성립과정에 대한 재검토 (A Re-examination of the Mt. Saja Seonmun's Form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8.12
39P 미리보기
師子山 禪門의 성립과정에 대한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21권 / 219 ~ 257페이지
    · 저자명 : 최연식

    초록

    고려시대 禪宗 9山門 중 하나인 師子山門은 일반적으로 澄曉大師 折中(826-900)에 의하여 개창된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절중에 의하여 개창된 사자산문과 후대 9산문 중의 하나인 사자산문을 구별하여 볼 필요가 있다. 절중이 창건한 사자산문은 사자산 興寧禪院이라는 개별 禪場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나말여초 전국 각지에 등장한 많은 禪場들 중의 하나였다. 이와 달리 9산문 체제가 형성된 이후의 사자산문은 절중의 스승인 道允을 始祖로 하는 선승들 전체를 포괄하는 禪의 門派 즉 禪門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사자산 흥령선원과 도윤이 창건한 쌍봉산문을 비롯한 다수 禪場의 출신들이 모두 포괄되었다. 사자산문의 실제 개창자가 절중임에도 후에 9산문 중 사자산문의 개산조가 道允으로 이야기된 것은 이러한 산문에 대한 개념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처음 禪場을 의미하던 사자산문이 禪門의 의미로 쓰이게 된 것은 선종의 9산문 체제가 형성된 11세기 전반기 경으로 추정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고려의 정치․사회체제가 본격적으로 정비되고 귀족들의 家門이 발전하던 사회적 상황과 흐름을 같이하는 것이었다. 한편 도윤이 창건한 쌍봉사가 아닌 사자산 흥령선원이 道允의 선법을 계승한 문파들의 중심 사찰로 등장한 것은 고려초 흥령선원의 위상 강화에 의거한 것으로 생각된다. 折中이 산문을 창건한지 4년여만에 전쟁의 여파로 몰락하였던 흥령선원은 절중이 입적할 때까지도 회복되지 못하였지만 절중 사후 40여 년만에 당시 중앙과 지방에서 가장 유력한 세력으로 대두되었던 충주세력의 후원을 받아 중흥되었다. 절중은 흥령선원 창건 이전부터 이 지역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었으며, 그러한 인연을 토대로 그의 문도들은 후삼국의 혼란이 수습된 고려초에 사자산 지역을 포괄하는 충주 세력의 후원을 받아 흥령선원을 중창하고 스승 절중의 탑비를 건립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후 충주 유씨를 외가로 하는 왕자들이 계속하여 왕위를 계승하는 상황에서 흥령선원과 그 개창자 절중의 위상은 더욱 강화될 수 있었다. 이처럼 흥령선원의 위상이 확대된 결과 11세기에 9산문 체제가 형성될 때에 道允의 계보를 아우르는 문파는 자신들의 명칭을 사자산문으로 하게 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Mt. Saja Sanmun (Mountain Gate=Seon Family),
    one of the important nine Seon lineages that prospered in
    Goryeo dynasty, was alleged to have been founded by a
    great Seon master Doyun(道允, 798-868) and his disciple
    Jeoljung(折中, 826-900) in the 9th century. However, the
    Mt. Saja Sanmun was not the direct successor of the Mt.
    Saja Sanmun founded by Jeoljung in the late 9th century.
    The Mt. Saja Sanmun in his time was just a single Seon
    monastery where he practiced together with his disciples;
    Mt. Saja Sanmun, after the 11th century, comprised of a
    group of monasteries inhabited by the disciples of Doyun and
    of Jeoljung. The former can be understood as a ’Seon Place’
    which means just a monastery, while the latter is a ’Seon
    lineage’ consisting of many Seon families and monasteries.
    The denotation of Sanmun(=Seon family) was changed in the early 11th century when the nine Sanmun system was
    established. The change coincid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Goryeo dynasty’s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especially the appearance of aristocratic families. Following
    the change of the Sanmun’s meaning, Doyun, who originally
    had no direct relation with Mt. Saja Seon monastery, came
    to be regarded as the founding father of the Saja Sanmun,
    while Jeoljung, the original founder of the Mt. Saja Seon
    monastery was merely regarded as the disciple of the
    foun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