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등산 숭사(崇祀)의 전통과 현대적 계승 (Mudeungsan Ancestral Rite’s Tradition and Modernistic Success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2.06
28P 미리보기
무등산 숭사(崇祀)의 전통과 현대적 계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24호 / 81 ~ 108페이지
    · 저자명 : 서해숙

    초록

    본 연구는 현전하는 단편적인 문헌자료를 토대로 무등산 숭사(崇祀)의 역사적 전통과오늘날 현대인들이 무등산 천제단에서 제 모시는 여러 양상을 역사적 상호성 속에 해석하고 이에 대한 민속문화적 의의와 가치를 계승과 변화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무등산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소사(小祀), 혹은 국제(國祭), 읍치제(邑致祭)의 대상이 되어 지역에 파견된 중앙관리 내지는 수령의 주관 아래 정기적으로 제의가 거행되었다. 비록 간략한 기록이지만 당시 전남지역에서 무등산이 신성한 산으로서 그 제의적 기능을 담당하였고, 제의를 통해 무등산이 지역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거점이었음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고대부터 형성된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산악숭배사상, 배천사상이 원류가 되어 국가 체제에 따라 확대, 축소의 과정을 거치면서 일제 무렵까지 명맥을 이어왔을 것이다. 현재 무등산에는 광주광역시 동구 학운동 관할 운림동에 ‘천제단’이라는 제단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렇게 현재의 제단이 마련되기까지는 의재 허백련의 역할을 주요했다. 이 제단에서는 1965년 이래 지금까지 매년 10월 3일이면 광주의 뜻있는 인사들과 민간단체들이 개천절 제전을 집전해오고 있다. 제의는 단군성조님에게 감축의례로서의 성격과 함께 국태민안, 국운번성 등의 국가적인 염원을 담아제를 모시고 있는데, 과거에는 무등산 산신에게 올리던 제의가 현대사의 흐름 속에서단군성조님에게 올리는 제의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개천제 외에 소규모 동호회나기업, 회사 차원에서 시산제를 모시거나 산제를 모시고 있다. 비록 이합집산의 형태로다양하게 이루어지지만 이러한 현상은 현대문화 속에서 자발적으로 형성, 발전한 ‘문화접변’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현재적 일회성, 즉흥적인 제의가 아닌, 그 기저에는 역사적으로 무등산에서 숭사하였던 제의 전통과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무등산 제의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은 변화하는 문화과정에서 보면무등산이 산신, 성산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이 기본적으로 작용하면서 시대를 거쳐 오늘날에는 현대인들의 문화에 맞게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변화된 문화환경 속에서무등산 천제단을 통해 전형적인 민속문화가 소멸되지 않고 현대적 문화요소와 상호 결합된 면모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합 속에는 무등산이 현대사회의 새로운 문화적소통과 교섭의 코드를 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vers Mudeungsan ancestral rite’s historical tradition; interpretes the Cheonjaedan ceremony regarding historical reciprocality and look upon its folk cultural meaning and value, based on bibliographic data.
    Mudeungsan -historically perceived as a holy mountain- was in charge of ancestral ceremony, and has been an important place both regionally and culturally. Such phenomenon is based on our people’s traditiona of moutain and heaven worship. Today, ‘Cheonjaedan’ on Mudeungsan, is the place where commemorative rituals are held every National Foundation Day, and other individuals and groups hold memorial services - these can be explained as continuation of historical tradition of ancestral rites on Mudeungsan.
    Times may change and culture may change along, but Mudeungsan keeps on its role as a holy, sacred mountain by means of historical records and ancestral rites. In addition, this study comprehends that the ancestral rites held nowadays on Mudeungsan contains a code of new cultural communication and ex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