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조의 ‘산’ 수용 양상과 문학적 형상화 (The acceptance aspects and meaning of ‘mountains’ in sij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3.09
30P 미리보기
시조의 ‘산’ 수용 양상과 문학적 형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77권 / 141 ~ 170페이지
    · 저자명 : 변승구

    초록

    본고는 시조에 수용된 ‘산’의 작품과 작자는 물론 유형과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 나아가 문학적 의미를 밝혀 보았다. 이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조에 ‘산’의 심상이 나타난 작품을 개괄해 보았다. ‘산’의 심상을 수용한 시조는 단시조가 707수이고 장시조가 229수로 총 936수가 확인 된다. 또한 작자를 일람하였는데 작자는 172명에 502수이며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인물은 李世輔로 42수이다. 작자를 통해 시기적으로 ‘산’의 수용은 조선조 전반에 두루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작자층은 왕에서부터 문무백관을 비롯하여 가객과 기생에 이르기까지 전 계층에서 다루어졌다. 한편 양적으로만 본다면 문무백관이 주된 창작 계층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시조에 수용된 ‘산’의 유형을 분류하였는데 실증산과 관념산, 그리고 조합산으로 분류하였다. 총 123항목에 총 빈도수는 692회이다. 가장 많이 수용된 산은 ‘靑山’이고 그 다음으로 ‘空山’ 순이었다. 이처럼 고시조에 나타난 ‘산’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시조에 나타난 ‘산’의 수용의 문학적 형상화를 살펴보았다. 시조에 나타난 ‘산’ 의미를 역사적 의미의 수용과 본질적 속성의 수용, 그리고 공간적 의미의 수용 등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역사적 의미의 수용은 인물의 탄강과 죽음, 그리고 역사적 사건 등으로 살펴보았으며, 본질적 속성은 오랜 시간의 의미로 수용된 경우와 물과 함께 속성을 추구한 경우, 그리고 산의 외형적 속성을 수용한 경우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공간적 의미의 수용은 속세와의 단절의 공간으로 수용된 경우와 이상적 공간으로 수용된 경우, 그리고 풍류의 공간으로 수용된 경우 등으로 살펴보았으며 각각의 의미를 밝혀 보았다.
    끝으로 시조에 나타난 ‘산’이 갖는 역할과 문학적 의미를 살펴보았는데 먼저 고대문학에 나타난 산의 의미가 변모되었다는 점과 산을 통해 인간의 본성을 담고 있다는 점, 그리고 산이 제재의 차원을 넘어 작자의 주제표출에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는 점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처럼 시조에 나타난 산은 작품의 배경이나 공간, 또는 자연관이나 산수의 의미 이상으로 작품 속에 수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산의 의미는 고전문학은 물론 현대문학에도 지속적으로 수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다각적인 관점에서 논의한다면 그 의미와 미의식은 더욱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We have elucidated the meanings examining the types of acceptanceaspects as well as analyses of work and authors in relation to ‘mountains’in sijo. They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we summarized works in which imagery of the ‘mountain’ in sijoappears. For sijo containing the ‘mountain’ there are total 936 pieceswith short sijo 707 and long sijo 229. In addition, works for which authorsare known are 502 pieces by 172 people. Other authors have 1~2 pieces.
    This allows us to understand that the base of authors ranges from kingsand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to poets and gisengs. On the other hand,it can be said that literary people are main writers in terms of aquantitative perspective. In addition, types of 'mountains' contained insijo were divided into Korean and Chinese mountains, and ideal mountainsand combined mountains. There are total 123 items and total frequencyis 692 times. The most accepted mountain was ‘green mountain(chongsan)’ and the next was ‘empty mountain (gongsan)’. As mentionedabove, we could see that ‘mountains’ in ancient Korean sijo could bedivided into diverse types.
    Second, we examined acceptance aspects of ‘mountains' in sijo. First,the acceptance of historical meaning includes characters' birth and death, and historical events etc., and for intrinsic attributes, there are casesof pursuing attributes along with meanings of long time and water, andthere are physical attributes of mountains etc. Finally, for acceptanceof spatial meaning, there were cases of isolation from secular societyand ideal space and there were cases that mountains were accepted asidyllic space etc. as we elucidated the meaning of each mountain in sijo.
    Finally, for the roles and meaning of imagery of ‘mountains’ in sijo,it can be said that first internal and external images were accepted indiverse fashion and that literary imagination was maximized and the like.
    Like this, the images of ‘mountains’ in sijo were accepted withsignificant roles and meaning for authors developing poetical imagination.
    It indicates that they were accepted for important materials, tools andeffective theme expression in sijo literature with short form. Therefore,if more microscopic approach and studies are made in relation to imageryof ‘mountains’ in sijo in the future, we expect that meaning of mountainssucceeded from ancient literature and literary visualization will berevea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