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두산의 ‘민족 영산’으로의 표상화 (Symbolization of Mt. Baekdu as a “National Sacred Mounta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3.11
28P 미리보기
백두산의 ‘민족 영산’으로의 표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55호 / 9 ~ 36페이지
    · 저자명 : 박찬승

    초록

    백두산은 오늘날 흔히 ‘민족의 영산’이라고 불리고 있다. 이러한 표현은 언제부터 등장한 것일까. 그리고 한국인들의 백두산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해왔을까.
    백두산은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주로 조선 산천의 조종산이라는 지리적 표상으로서 의미를 갖고 있었다. 이는 조선후기까지 이어졌으며, 조선후기에 백두산은 중국의 곤륜산과 대등한 명산으로서, 조선의 소중화 문화를 상징하는 존재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또 1712년 백두산정계비를 세워지면서 백두산의 일부가 조선의 영토에 확실히 편입되었기 때문에, 비록 소수이지만 백두산에 관심을 갖고 이곳에 다녀오는 이들도 나타났다.
    19세기 후반 들어 함경도의 주민들 가운데 두만강을 건너 간도지역으로 이주하는 이들이 늘어났다. 그리고 이들은 백두산정계비에 나오는 토문강은 두만강과 다른 강으로서 송화강의 한 지류라고 주장하였다. 대한제국 정부도 한때 그와 같은 인식을 갖고 청국과 국경 교섭에 나섰다. 그러나 1712년 정계비를 세울 당시 ‘토문강은 두만강과 같다’고 기록한 문서가 발견되면서 정부는 이와 같은 주장을 접을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청국과의 국경 분쟁 과정에서 지식인들의 백두산에 대한 관심은 그만큼 높아졌다. 그런 가운데 1908년 신채호가 대한매일신보에 연재한 「독사신론」에서 삼국유사의 단군 관련 기사에 나오는 태백산은 묘향산이 아니라 백두산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는 안정복의 『동사강목』에 근거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 근거가 확실한 것은 아니었다. 1909년 나철은 단군교(1년 뒤의 대종교)를 세우고 신채호의 설을 이어받아 ‘백두산=단군탄강지’론을 강력히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주장은 1910년대 대종교들 사이에서 널리 퍼졌고, 1920,30년대에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이를 더욱 확산시켰다. 두 신문사는 백두산 탐험단을 조직하고, 강연회, 전시회 등 각종 행사를 개최함으로써 ‘백두산=단군탄강지’론을 대중들 사이에 크게 확산시켰다. 그리고 이를 권덕규, 최남선 등이 학문적으로 뒷받침하려 노력했다. 그런 가운데 동아일보는 ‘백두산은 조선의 영산’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는데, 이는 당시 ‘富士山은 일본의 영산’이라는 담론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백두산은 이제 지리적 표상보다는 역사적 표상으로서의 의미를 더 갖게 되었다.
    해방 이후 남한 사람들은 한동안 백두산을 갈 수 없었다. 그러다가 1980년대 중반 중국을 통해 백두산에 갈 수 있게 되었다. 이후 남한의 언론과 관광업계는 ‘백두산=민족의 영산’이라는 담론을 만들어냈다. 물론 이는 ‘백두산=민족탄강지’라는 담론을 더 추상화시킨 것이었다. 그리고 여기에 ‘백두산=민족 분단과 통일염원의 상징’이라는 이미지가 덧보태어졌다. 또 최근에는 한반도의 모든 산맥이 ‘백두대간’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주장이 확산되면서 백두산의 지리적 표상으로서의 의미도 다시 강조되고 있다.

    영어초록

    Mt. Baekdu is commonly called as a “national sacred mountain” today. When did this expression first come out? In addition, how has the people’s awareness of the mountain changed in Korea?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Mt. Baekdu was meaningful as a geographical symbol as an ancestral mountain of the national nature. And during the late Joseon, the mountain was often regarded as a valuable cultural symbol of Joseon, which is a great mountain equivalent to the Mt. Kunlun in China. Some parts of Mt. Baekdu were decidedly integrated into the territory of Joseon based on the demarcation stone established in 1712. Under the circumstances, there are people who climb Mt. Baekdu, albeit not many, with interests into the mountain.
    In the late 19th century, more people in Hamgyung-do moved to the Gando area across Tuman River. They argued that Tomun River specified in the demarcation stone of Mt.Baekdu was different from Tuman River and rather a branch of Songhua River. The government of the Great Han Empire once promoted the territorial negotiations with the Qing dynasty from the same perspective of the argument mentioned above. However, as the documents were discovered that recorded “Tomun River equals Tumen River” when establishing the demarcation stone in 1712, the government had to drop the argument. During the process of territorial disputes with the Qing dynasty, however, intellectuals developed more interests in Mt.baekdu. Meanwhile, in Doksasillon (a new guide to reading history) published serially by Shin Chae-ho in Daehan Maeil Shinbo in 1908, Shin argued that Mt. Taebaek in the Dangun-related article in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ree Kingdoms) referred to Mt. Baekdu rather than Mt. Myohyang. This was based on Dongsa Gangmok (a Korean history book) written by Ahn Jeong-bok. However, the ground was still not confirmed. In 1909, Na Chul created the religion of Dangun (religion of Daejong 1 year later) and strongly claimed the theory of “Mt. Baekdu=Birthplace of Dangun” inheriting the theory of Shin Chae-ho.
    Such argument was widespread in the religion of Daejong in the 1910 and more proliferated by Donga Ilbo and Chosun Ilbo in the 1920s to 30s. The two newspapers organized the expedition of Mt. Baekdu and held various events such as lectures and exhibitions which largely spread the theory of “Mt. Baekdu=Birthplace of Dangun” among the public. The intellectuals such as Kwon Duk-kyu and Choi Nam-sun also made efforts to support the theory in an academic way. Donga Ilbo used the expression of “Mt. Baekdu is the sacred mountain of Joseon”, which was influenced by the discourse of “Mt. Fuji is the sacred mountain of Japan”. Through the process, Mt. Baekdu has gained more significance as a historical symbol rather than a geographical symbol.
    After liberation, South Koreans had no access to Mt. Baekdu for a while. Then, from the mid 1980s, they were able to go to the mountain via China. Since then, South Korean media and tourism industry created the discourse of “Mt. Baekdu=National Sacred Mountain”. Of course, this was a more abstract version of the discourse of “Mt. Baekdu=National Birthplace”, which was added by the image of “Mt. Baekdu=Symbol of National Division and Wish for Unification”. Moreover, with the spread of the argument that all mountains of the Korean peninsula are linked to the “Baekdu-daegan”, the significance of Mt. Baekdu as a geographical symbol is being reemphas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