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廬山 慧遠의 情 관념에 관한 고찰 (A Study on Lushan Huiyuan's Concept of Affec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9.09
27P 미리보기
廬山 慧遠의 情 관념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9호 / 331 ~ 357페이지
    · 저자명 : 김수진

    초록

    불교는 기원 전후 중국에 전래된 이래로 중국 고유의 문화·사회적 구조와 사유체계에 맞게 변용을 거듭하며 토착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양상 가운데 윤회와 인과응보사상은 현실중심적 사고방식과 단멸적 인간관을 가진 당시의 중국인들에게 무엇보다도 이질적이고 생경한 사상으로 인식되었다. 이에 초기 중국 불교계는 중국 고유의 영혼 개념을 차용, 죽음 이후에도 존속하는 神의 가능성을 상정하여 보응의 주체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바 있다.
    육체[形]의 소멸을 넘어 존속하는 정신[神]을 상정하는 이 神不滅 사상은 廬山 慧遠에 이르러 그 이론적 체계화를 이루었으며, 이는 윤회와 보응을 설명하는 효율적인 근거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이는 당시 배불론자들의 견해에 대항하는 호불적 논거로서, 불교가 기존의 중국사상계에 토착화될 수 있도록 하는 기틀이 되었다.
    이때 혜원이 정립한 신불멸론은 神과 形의 단순한 대비를 넘는 보다 진보된 형신관으로, 情과 識 등의 작용을 통한 세분화된 기제 속에 설명된다. 여기서 情이라는 流動은 神이 形을 稟賦 받게 하는 원인이자 만물의 변화원인에 해당하는 것으로, 無生을 궁구하고 열반을 불변으로 상정한 혜원에게 있어 극복해야만 하는 대상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러한 流動의 소멸, 곧 情의 그침은 궁극적으로 열반이라는 불변의 지극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됨을 뜻하며, 이는 혜원에게 『般舟三昧經』의 염불삼매를 통한 실체적 취득의 수행관으로 확대된다.
    이에 본고는 혜원의 불교사상을 개괄하는 가운데, 그를 일관되게 관통하는 流動 즉 情의 문제가 그의 형신관과 수행관의 정중앙에 안배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이 情이라 일컬어지는 流動의 소멸이 곧 그의 불교사상의 궁극점임을 살핀다. 그리고 이러한 情(流動)의 소멸이, 삼매를 통한 실제적 체득을 이야기 하는 그의 염불수행관과도 일치함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어초록

    Since the Buddhism is handed down to China before and after the genesis, the Buddhism has been changed to meet the cultural and social structure and reasoning unique to China to settle down. Under the circumstance, the transmigration and retributive justice idea is one of the disparate and unfamiliar idea to Chinese at the time as they had the reality-oriented way of thinking and fragmentary view on human. Therefore, the initial Chinese Buddhism sector attempted to solve the issues on the subject of justice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spirit existing after the death as borrowing the spirit concept unique to China.
    This idea of imperishable spirit that introduces the mentality[spirit] existing beyond the extinction of body[form] has made theoretical systematization during the time of Lushan Huiyuan(廬山 慧遠) and this is clearly displayed through writings of 「SSa-mun-bul-gyeong-wang-ja-ron(沙門不敬王者論)」, 「Myeong-bo-eng-ron(明報應論)」 and so forth. The idea of imperishable spirit that he presented works as the theoretical base of protecting Buddhism in resisting to the opinion of anti-Buddhists at the time, and it laid the foundation to have Buddhism to settle in the Chinese ideology sector at the time.
    Such idea of imperishable spirit defined by Huiyuan could be described under the segmented system through the application of affection and consciousness as more progressed form-spirit idea beyond simple contrast for spirit and form. At this time, flow of affection is applicable reason for spirit to have form as the innate presence as well as the reason for change in all objects that it is understood as the subject to overcome for Huiyuan as presenting for non-production to inquire and nirvana to unyielding. And, the extinction of such flow, namely, the stopping of affection means to march forward to the extremity of invariability as ultimate nirvana, and it is expanded to the view of practice of empirical acquisition through the Chanting Buddha-samadhi of 『Pratyutpanna-buddha-sammukhavasthita-samadhi-sutra(般舟三昧經)』 a to Huiyuan.
    Therefore, this article is aimed at confirming the issue of affection, namely, flow that consistently penetrate while it introduces the Buddhism idea of Huiyuan is allocated in the middle of his form-spirit idea and view of practice, and the extinction of such flow, or so-called affection would be the ultimate point of his Buddhism idea. And, such extinction of affection (flow) would be realizable by empirical experience through the Samadhi, and it is purported to disclose the consistency with its Buddhist prayer view of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