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동 정안산성 조사 성과와 과제 (The Outcomes and Tasks of the Investigation into Hadong Jeongan-sanseong Fortres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8.03
35P 미리보기
하동 정안산성 조사 성과와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70호 / 1 ~ 35페이지
    · 저자명 : 류창환

    초록

    경상남도 하동군 고전면과 횡천면, 양보면 일원에 위치하는 하동 정안산성은 고려시대 최씨무신정권기의 실력자이자 고려대장경 판각사업을 주도했던 하동 출신 정안 선생과 관련된 유적으로 전한다.
    이에 하동군과 극동문화재연구원에서는 정안산성의 규모와 구조, 성격을 파악하여 역사적․문화재적 가치를 규명하고, 문화재 지정 및 복원․정비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지표조사와 발굴(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먼저 지표조사를 실시하여 정안산성은 총 둘레 791.5m, 성내 면적 약 31,667㎡, 남북 최대길이 222.39m, 동서 최대길이 273.11m에 이르는 테뫼식 산성으로, 성내에는 건물지 12동과 문지, 집수지 등이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성벽과 건물지에 대한 발굴(시굴)조사를 실시하여 성벽은 자연경사면을 정지한 후 방형으로 가공한 석재를 5단 정도 쌓아 올린 1차성(통일신라), 그 위에 토성의 형태로 구축한 2차성(고려 초), 현재 지표상에 드러나 있는 3차성(고려 중․후기) 등 세 차례에 걸쳐 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건물지에서는 초석과 석열, 배수시설과 기와류가 다수 발견되어 성내에 여러 채의 기와건물이 있었음을 밝혔다.
    아울러 성벽과 문지, 건물지, 집수지 등에서 발견된 토기류와 선문․격자문․사격자문․어골문 등이 타날된 기와, 명문기와 등을 통해 정안산성은 통일신라시대에 초축된 이래 정안 선생과 그의 선대가 중앙과 지방에서 실력자로 활동했던 고려시대 전․중기를 중심으로 축성․운영된 산성임을 분명히 하였다.
    이상과 같은 조사를 통해 정안산성은 통일신라시대에 처음 축성된 이래 고려시대 최씨무신정권기의 실력자이자 고려대장경 판각사업을 주도했던 하동 출신 정안 선생과 관련된 역사적․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산성으로 볼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루어진 지표조사와 발굴(시굴)조사는 매우 제한적인 조사로, 향후 정안산성의 정확한 성격과 정안 선생과의 관련성을 명확히 밝히기 위한 전면적인 정밀발굴조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Hadong Jeongan-sanseong fortress extends over Gojeon-myeon, Hoengcheon-myeon and Yangbo-myeon of Hadong-gun county, Gyeongsangnam-do province. This fortress is said to be relics related to Jeong An, a native of Hadong, who acted as an influential person under the Choe military regime of the Goryeo Dynasty and also led the carving of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Hadong-gun County and the Far East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conducted a surface survey and an excavation (or trial digging) and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Jeongan-sanseong fortress by understanding its siz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and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designation as cultural properties as well as restoration and maintenance.
    As the result of the surface survey,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for Jeongan-sanseong fortress: It is a hilltop fortress with a circumference of 791.5 m, an area inside the fortress of approximately 31,667 ㎡, a maximum length of 222.39 m from south to north, and a maximum length of 273.11 m from east to west; there remained 12 building sites as well as gate sites and catchment sites.
    As the result of th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 fortress wall and building sites,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tress was built through three stages: The 1st fortress-building was built by stacking about five rows of stones cut in square or rectangular shapes on the graded natural slope (the Unified Silla Kingdom); the 2nd fortress-building was built by creating an earthen wall on the first built fortress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3rd fortress- building was built by establishing walls currently seen on the ground surface (the mid-to-late Goryeo Dynasty). There were cornerstones and stone rows, drainage facilities, and a large number of roof-tiles found in the building sites, suggesting that there were several buildings with roof-tiles inside the fortress.
    In addition, there were earthenwares, roof-tiles with linear pattern, square lattice pattern, oblique lattice pattern, fish bone pattern and other patterned roof-tiles found in fortress wall sites, gate sites, building sites, and catchment sites. This indicates that Jeongan-sanseong fortress was built and operated mainly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when Jeong An and his ancestors acted as influential persons in the central and provincial regions, since it was first built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result of the aforementioned investigation provided the evidence that Jeongan-sanseong fortress has a hig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s it is related to Jeong An, a native of Hadong, who acted as an influential person under the Choe military regime of the Goryeo Dynasty and led the carving of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since it was first built in the Unified Silla period. However, the investigation has limitation in that surface surveys and excavation (or trial digging) an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a limited scale. Thus, it is recommended that a further precise full-scal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be carried out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Jeongan-sanseong fortress and its relation with Jeong 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