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소산성 성벽의 변천과정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Rampart in Busosanseong Fortres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11
36P 미리보기
부소산성 성벽의 변천과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42호 / 161 ~ 196페이지
    · 저자명 : 김대영, 최지원

    초록

    부소산성은 백제 마지막 수도인 사비도성의 북쪽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는 중심성으로, 백제 사비기 역사를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부소산 성벽의 각 조사지점을 단계별로 구분하고조사지점 간 공통점을 도출하여 시간에 따른 부소산 성벽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성벽을축조하는 데는 단계별로 어느 정도 법식(法式)이 적용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부소산 전체를 두르고 있는 부소산 성벽1은 총 4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는 부소산에서 가장 먼저 축조된성벽으로 정연한 판축과 평균 130㎝ 간격의 목주가 확인된다. 성 내측으로는 내환도와 함께 배수로가 성벽과평행하게 돌려졌다. 2단계에는 1단계 성벽에 석재나 기와·점토를 이용하여 보축하였다. 목주의 간격은 1단계보다 약간 넓어지는 경향성을 보인다. 3단계부터는 통일신라시대로 부소산 성벽3과 중복되어 있는 구간에서는 정연하지는 않지만 판축 성벽을 축조하고 있으며 성 외면 하단은 석축을 부가하였다. 3단계 이후에는 구간별로 통일신라시대 성벽을 한 번 더 보축하는 부분과 더불어 부소산 성벽4와 중복되는 부분에 고려-조선시대에 성토하여 피복한 모습이 확인된다.
    사자루 일대 정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부소산 성벽2는 3단계의 축조 과정을 거쳤다. 1단계는 판축으로 된성벽이 축조되는데, 부소산 성벽1의 판축에 비해 비교적 정연하지는 않다. 2단계에는 이 판축 성벽의 경사면아래를 절토하여 석축 성벽을 축조하였다. 3단계에는 기존 성벽 앞으로 석축을 부가하고 있는데, 2단계처럼성벽을 내어 쌓거나 장대석을 사용하지는 않았다.
    부소산 남쪽의 평탄지 일대를 두르고 있는 부소산 성벽3의 1단계에는 부소산 성벽1 3단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판축 성벽을 축조하고 있으며, 성 외면 하단은 석축으로 마무리 하였다. 2단계는 주로 군창지의 북쪽과 동쪽에서 확인되는데, 기존 성벽의 상부로 성토하거나 다시 판축하여 성벽을 보축하였다. 3단계는 고려- 조선시대 피복층이다.
    군창지 일대를 두르고 있는 부소산 성벽4는 이전시기 성벽이 있던 구간은 성벽 상면에 성토만 하여 성벽으로 활용하였으며, 기존 성벽이 없던 서쪽 구간만 외부 석축하고 내부를 성토하는 방식으로 성벽을 축조하였다.

    영어초록

    Busosanseong Fortress located in central northern part of Sabi which is the last capital of Baekje Dynasty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Baekje Sabi period. In this article, the transition process of rampart in Busosan mountain over time was reviewed upon classifying the investigation periods of the rampart by the step and summarizing the similarities among the periods. The result revealed that some rules had been applied by the step when constructing the rampart. Rampart 1 surrounding over Busosan mountain can be divided by four steps. In Step 1 as the first rampart construction in the mountain, neat rammed earth and 130cm apart wooden poles on average are found. Within the rampart together with Naewhando, the drainage is circled side by side with the rampart.
    In Step 2, stones or clay roof tiles are supplemented to the rampart of Step 1. The interval between wooden poles seems to tend to widen a little bit compared to that in Step 1.
    From Step 3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unorganized rampart with rammed earth is constructed, and stonework is added in the lower body of external wall in the section overlapped with Rampart 3 in the mountain. After Step 3, mounding and covering in Goryeo and Joseon dynasties are found where additional wall was constructed once again in the unified Silla and the wall was overlapped with Rampart 4 in the mountain.
    Rampart 2 in Busosan mountain surrounding the peak area of Sajaroo passed three steps of the construction. In the step 1, rampart with rammed earth was constructed but not a neat way compared to the rammed earth in Rampart 1. In the step 2, lower slope of this rampart was cut and stone rampart was constructed. In the step 3, the stone poles were added in front of the existing rampart, which did not pile the wall as had done in the step 2 nor use rectangular stones. In step 1 of Rampart 3 surrounding plane area of the southern mountain, rampart with rammed earth was constructed as seen in the step 3 of Rampart 1 and lower part of the external wall was closed with stone poles. In the step 2 mainly found in the northern and eastern parts of the military warehouse area, the rampart was supplemented with mounding by the upper part of the existing rampart or rammed earth again. Step 3 was the covered layer in Goryeo and Joseon dynasties. In Rampart 3 over the military warehouse area, the rampart was used with mounding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in the sections with the existing rampart of the prior periods and the rampart was constructed with stone poles externally and rammed earth internally in the sections without the existing ramp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