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仁王山寺와 無學大師 (The Buddhist Temples in Mt. Inwang(仁王山) and Highly the Priests Moohak in the Period of Early Chosun Dynas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9.04
34P 미리보기
仁王山寺와 無學大師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22호 / 239 ~ 272페이지
    · 저자명 : 황인규

    초록

    본고는 서울 內四山 가운데 하나인 인왕산의 역사와 산내의 사찰들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仁王山은 漢陽을 진호하는 內四山 가운데 하나로 조선왕조가 개창된 후 한양이 국도로 부각되면서 부터이다. 그 이전에는 西山(右白虎) 또는 歧峯으로 불리었지만 한양정도직후에 仁王寺가 창건되면서 인왕산이라고 불렸다. 仁王이란 말은 불교의 金剛力士라는 뜻이다. 한양이 국도로 선정된 후 右白虎에 머물고 말았으나 무학자초를 계승하였다고 생각되는 광해군대 고승 性智도 王氣가 있는 땅이라고 하여 중요시하였다.
    무학자초는 한양의 案山이자 랜드마크인 木覓山 神祠인 國祀堂에 모셔져 백성들의 추앙을 받았다.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목멱신사가 무학자초가 중요시 하였던 인왕산에 이전되었다.
    인왕산에는 여러 사찰들이 창건되었을 것이나 현재 확인되는 사찰은 몇몇 사찰에 지나지 않는다. 산 정상의 福世庵과 그 밑의 仁王寺, 金剛窟, 尼社(尼舍), 羅漢堂, 內願堂 등의 사찰이 있었음이 확인되지만 연산군대에 이르러 대부분 철거되었다.
    인왕산의 사찰 가운데 특히 주목되는 사찰은 인왕사와 내원당이다. 아마도 왕사 무학자초의 문도로 추정되는 祖生이 內願堂 監主와 仁王寺 住持를 겸직하면서 스승 무학에 이어 한양건설에 참여하였고 당대 왕실원찰인 興天社 주지를 역임하였다. 그리고 인왕산에는 내원당이 창건되어 한 때 왕실불교의 보루가 되었고 尼社(尼舍)가 건립되어 도성내 淨業院과 더불어 등 왕실여성의 불교중심도량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observes the history of Mt. Inwang, one of four mountains surrounding Hanyang(漢陽), and buddhist temples built in it. Mt. Inwang is one of four mountains that people believed defended Hyanyang. Since establishment of Chosun dynasty, Hanyang became known as the capital of Chosun.
    Hanyang was also known as Seosan(西山) or Gibong(歧峰) well before Chosun dynasty, but it got its name since Chosun moved its capital to Seoul and built Inwang-Temple in it. Inwang(仁王) means Kumkang- yeksa(金剛力士) in buddhist.
    Since Hangyang was selected as capital, it was only remained as a branch of a mountain range(右白虎). Great monk Seongji(性智) who is considered as a heir of Moohak(無學) also considered seriously Hanyang as a land that has a strength to make a king. Moohak was held in high esteem by the people after enshrined in Guksadang(國祀堂) which is a Sinsa(神祠; a shine) of Mt. Mokmyuk(木覓山) that is a landmark and as a opposite mountain of Mt. Inwang.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insa(神祠; a shine) of Mt. Mokmyuk was moved to Mt. Inwang where was very significant to to Moohak.
    Perhaps many temples were built in Mt. Inwang during Chosun dynasty, but only few could survived because of the policy that pay respect to Confucianism and suppress Buddhism. It could be verified that Bokseam(福世庵) in the peak of mountain and Inwang-Temple, Kumkanggul(金剛窟), Buddhist nun's temple(尼舍), Nahandang(羅漢堂) and Naewondang(內願堂) etc. were remained but most of that was demolished under the rule of Yeonsangun(燕山君).
    Among of the buddhist temples in Mt. Inwang, Inwang-Temple and Naewondang especially pay one's attention. Josaeng(祖生) who was considered as a disciple of Moohak, a buddhistic teacher of king, had positions as the head priest of Naewondang and Inwang-Temple. And also he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Hanyang, the capital of Chosun dynasty, along with Moohak and was consecutively occupied the chief monk of a Buddhist temple, Heongcheonsa(興天社) that was buddhist temple for the royal family.
    Naewondang(內願堂) in Mt. Inwang became a center of Buddhism of royal family. And Buddhist nun's temple(尼舍) and Jeongupwon(淨業院) that was placed in the palace also became a center of temples for buddhist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