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의 왕경 오악과 (소)금강산 (The Belief on the Five Sacred Mountains in the Silla Capital and Geumgangsan(金剛山))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4.02
32P 미리보기
신라의 왕경 오악과 (소)금강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43권 / 43호 / 365 ~ 396페이지
    · 저자명 : 김병곤

    초록

    신라는 건국 전후 시기부터 고유하게 경주 주변의 6촌 시조의 탄강처 6산을 신성시하였다. 이후 6촌 집단의 성쇠 및 석씨 등 신흥 집단의 유입 그리고 천하를 4방으로 보는 보편적 공간 관념에 따른 사악 숭배가 출현하였다. 이후 중고기 말인 선덕여왕대 자장에 의해 불교적인 오방 관념의 전래를 계기로 낭산을 불교적 세계관의 중심인 도리천으로 삼아 중악으로 설정하며 왕경 오악이 성립되었다.
    더불어 북악인 금강산의 본래 명칭은 금산가리촌 촌장의 하강처인 ‘금산’이었으나 불교 수용 이후 전래된 대표적 불교 경전인 『금강경』과 연계되어 개명되며 이차돈 순교와 관련된 불교 성지로 자리 잡는다. 이외 신라인들은 동의 토함산과 서의 선도산 남의 남산 등에 대해 다양한 형태의 종교적 고양을 통해 오악이 위치한 왕경을 신성공간으로 구축하였다. 이러한 왕경에 대한 신성 공간의 구축은 골품제도의 운영상 비왕경지민과 차별적인 왕경민만의 특권을 합리화시키는 과정에서 마련된 장치였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진덕여왕대로부터 문무왕대에 이르는 시기 삼국통일이 이룩되고 당례가 수용되었다. 이에 통일신라의 강역관에 입각한 신라 오악이 왕실 제례의 중사로서 정착되었다. 그러므로 통일 이전 왕경 오악의 마지막 주자였던 중악의 존재감이 약화되며 왕경 오악은 제도적으로 자리 잡지 못하였다. 그러나 왕경 오악은 중대 이후 신라 오악으로 변화 내지 대치된 것은 아니다. 제49대 헌강왕의 앞에 남산 산신과 금강산 산신이 출현했다는 기록은 중고기 성립된 왕경 오악이 멸망기까지 유지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신라의 뿌리 깊은 골품제와 연계된 왕경민들의 지역적 특권 의식이 꾸준히 존재한 결과였다.

    영어초록

    From the time of the Kingdom’s foundation, the Silla people deified the six mountains around the capital, to which the founders of the six tribes came down from the heaven. However, since the ebb and flow of the six tribes and the new rise of the Seok tribe, an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our directions idea, the belief on the six mountains turned into the one about four mountains.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善德女王), the Buddhist belief of five mountains was introduced to the Kingdom and it caused the five mountains belief in the capital with the Nangsan mountain as its center Trāyastriṃśa(忉利天).
    The northern mountain Geumgangsan(金剛山) was originally called Geumsan(金山) and it was where the leader of Geumsangari tribe was descended from the heaven. But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the Kingdom, it was re-named after the representative Buddhist sutra Geumganggyeong(金剛經, the Diamond Sutra) and was regarded as a sacred place in connection with Yi Cha-don. The Tohamsan mountain in the east, Dorisan mountain in the west, and Namsan mountain in the south were also recognized as a sacred ground. Through the medium of the belief, the capital surrounded by the five mountains became a holy place. This belief on the capital was devised to strengthen the bone rank system by discriminating the capital dwellers from the rest of the people.
    But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by Silla during the reigns of Queen Seondeok and King Munmu caused the introduction of the institution of Tang to the Kingdom. At around this time, the traditional belief on the five mountains became a part of the royal rites. This shift weakened the status of the center mountain and the belief on the five sacred mountains in the capital failed to settle as an institutional custom. However, the failure does not mean that the belief was replaced by an expanded belief on the five sacred mountains of Silla. The fact that the deities of Namsan and Geumgangsan mountains appeared in front of King Heongang suggests the persistency of the belief and the existence of the deep rooted sense of superiority of the capital dwellers till the end of the King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