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智異山圈(南原)士族 朔寧崔氏 家系記錄과 通婚圈 (Jirisan Region(Namwon)'s Sajok(士族, local gentry), Choi of Saknyeong's Genealogy Records and Marriage Sphere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3.02
29P 미리보기
智異山圈(南原)士族 朔寧崔氏 家系記錄과 通婚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42권 / 147 ~ 175페이지
    · 저자명 : 김봉곤

    초록

    본고는 남원사족 삭녕최씨의 문중활동과 가계기록을 검토하고 이어 16세기 이후 삭녕최씨 통혼권을 분석해 본 것이다. 남원의 삭녕최씨는 세조 때의 훈구대신인 최항의 손자인 최수웅이 사화를 피해 16세기 초 처가를 따라 남원의 둔덕에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남원의 삭녕최씨는 최수웅의 손자대에 승지공파, 남강공파, 지평공파, 목천공파로 분화하였다. 거주 지역도 둔덕에서 사동방의 노봉 일대와 지리산 넘어 중방방까지 확산되었다. 특히 승지공파는 줄곧 중앙정계에 진출하여 서인이나 소론 가문과의 연대를 통해, 향촌사회에서도 향회를 주도하고, 顯祖를 모신 서원을 건립하였으며, 구로회 등을 통해 남원사족과 깊이 결속하였다. 또한 종족의 단합을 위해 묘사를 위한 재원을 마련하고 각 파간에 공동으로 묘사를 지내는 규정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18세기 이후에는 노론의 우세 속에 가세가 많이 약화되었으나, 서원 운영이나 선조들의 문집 간행, 중앙이나 지방의 사족 가문과의 혼인관계를 밝혀주는 가계 기록을 통해 명문가문으로서의 위상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에 최익효는 족조인 최만현과 함께 1809년 삭녕최씨 최초의 대동보인 『朔寧崔氏世譜』를 만들어 大宗을 중심으로 종족의 단합을 꾀하면서도 종족의 입록범위나 적서차별을 규정하였다. 이어 최익효는 『朔寧崔氏內外淵源譜』와 『朔寧崔氏外族諸譜』를 작성하여 고려 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부계나 모계의 8고조, 삭녕최씨 외가 가문의 족보를 작성하여 중앙이나 지방에서의 삭녕최씨 가문의 현저한 위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삭녕최씨외족제보』에서는 최익효 가문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남원 둔덕의 전주이씨나 소론 명문인 파평 윤씨 가문과의 관계를 빠짐없이 기록하였다.
    이러한 기록을 통해서 남원의 삭녕최씨는 서울에서 뿐만 아니라 남원에 내려왔을 때에도 상당 기간 서울 지역과 혼인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6세기 중엽 사림정권이 확립된 이후에는 남원이나 호남 지역과의 혼인을 통하여 재지사족으로서의 기반을 튼튼히 하였다. 그리고 17세기에는 중앙정계에 활발히 진출하면서 서울이나 호서지역의 대표적인 소론가문과의 혼인을 통해 사족으로서의 지위가 고양되었다. 18세기 이후로는 노론의 우세 속에 거의 중앙 관직에 나아가지 못하였지만, 여전히 소론 가문이나 지방의 유력한 사족가문과의 혼인을 통해 향촌 사회에서의 지위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승지공파와는 달리 목천공파는 영, 정조 이후 노론을 택하였으며, 남원이나 함양 등지의 노론 가문과도 통혼이 많았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takes a close look at the activities and genealogy records of the Choi family of Saknyeong in Namwon and attempts to analyse the marriage sphere of the Choi family in the wake of the 16th century. Saknyeong Choi family of Namwon began to establish their settlement when Choi Su-Wung, who was the grandson of Choi Hang, a meritorious retainer during King Sejo's reign, sought refuge from the purge of literati and took up residence in Dundeok of Namwon, accompanying his in-laws during the late 15th century. Later, Saknyeong Choi family of Namwon would grow into one of the leading Sarim families of the region. Choi family would further divide into Seungjigong, Namganggong, Jipyeonggong and Mokcheongong families during the time of Choi Su-Wung's grandson. Also their settlement would spread out from nearby Nohbong of Sadobang region to the parts of Jungbang which lay beyond the Jirisan mountain. Notably, Seungjigong family would hold central government positions during the 17th century, and through the the solidarity of Seoin aand Noron family, they took the initiative in the activities of the local community and presided over Gurohoe, not to mention erecting Seowons. Their rally to fortify ties among the families would see them make provisions for memorial ceremonies and remodel rules regarding commemorative rites to hold them as joint ceremonies. However, among the predominance of Noron, and when it was no longer possible for those from provinces to secure a position in the government, they began to focus their attention on enhancing the family reputation by concentrating their efforts on operating the Seowon where highly respected ancestral tablets were enshrined while publishing their ancestors' writings and organizing genealogy records which disclosed matrimonial relationships among the Sajok families in the province or in the capital.
    To this end, Choi Ik-Hyo, with his distant relative Choi Man-Hyeon, put out 『Saknyeong Choi-Si Sebo』 in 1809, which was Saknyeong Choi family's first ever comprehensive genealogy record. Its intentions were to strengthen the unity of the clan, but it would also come to set a precedent for laying emphasis on importance of bloodlines and discrimination against illegitimate offspring. Choi Ik-Hyo would also compile 『Saknyeong Choi-Si NaeWoe Yeonwonbo』 tracing their paternal and maternal ancestral line as far back as four generations and 『Saknyeong Choi-Si Woejok Jebo』tracing maternal ancestral lines to boast family's prominent lineage as Sajok. In "Woejok Jebo," close-knit relationships between the Choi Ik-hyo family and other particular families were exhaustively documented. Notably, ties with Jeonju Lees of Dundeok in Namwon and with Papyeong Yun family, who were a well-respected Soron faction, stand out.
    The documentation shows that, for considerable period of time, Saknyeong Choi family continued to arrange marriages with those in Seoul even after they relocated to Namwon. In the mid-16th century and afterwards, when Sarim power took hold of the government, they sought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the landed Sajok by establishing matrimonial relations with Namwon or Honam households. During the 17th century, they would once again find themselves in the center of political circles with their status as Sajok enhanced by establishing matrimonial relationships with Soron families of Seoul and Hoseo region. After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Jeongjo, although the family would no longer produce as many who passed the state exam as before, they still carried the banner of the Soron family. On the other hand, Mokcheongong family, who also settled in Namwon, professed themselves supporters of Nohron after the reign of King Yeongjo and Jeongjo and developed matrimonial relationships with Sajoks of Namwon and Hamy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