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대엽>과 <삭대엽>의 연창(連唱)방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secutive play of Jungdaeyeop(中大葉) and Sakdaeyeop(數大葉))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9.06
28P 미리보기
&lt;중대엽&gt;과 &lt;삭대엽&gt;의 연창(連唱)방식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45권 / 433 ~ 460페이지
    · 저자명 : 최선아

    초록

    가곡의 역사적 전개를 논하는 자리에서, <중대엽>과 <북전>이 쇠퇴하고 <삭대엽> 중심의 가곡 한바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는 더 이상 <중대엽>과 <북전>을 언급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럽게 여겨졌다. 그러나 현행 가곡 한바탕이 형성되는 과정에서도 <중대엽>과 <삭대엽> 그리고 <북전>은 악보와 가집에 함께 기록되었고, 동일한 담당자와 연행 환경을 공유하며 연창(演唱)되었다. 단지 애호(愛好)에 있어 많고 적음의 차이가 있었기에 성창(成唱)되었던 시기가 조금 달랐을 뿐이다.
    <삭대엽>의 새로운 파생곡의 등장과 함께 <삭대엽> 중심의 가곡 한바탕을 이루어 가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전반에도 <중대엽>은 당시에 일반적인 음악 소비자층이 접할 수 있는 가장 익숙한 곡이었다.
    <중대엽> 중심의 18세기 가창 현장에서는 <중대엽>과 새로 급부상하는 <삭대엽> 계열이 함께 짝을 이뤄 연창(連唱)되기도 하였다. <중대엽>과 <삭대엽> 계열 곡들이 연창되었던 환경은 주로 수파형 노래보와 18세기 말의 『유예지』의 거문고 악보 그리고 19세기 중반 『오희상금보』 계열에서도 확인된다. 먼저 <중대엽>을 5장까지 부르고 <중대엽>의 대여음을 대신하여 <삭대엽>의 대여음을 연주한 후 <삭대엽>을 부르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때, <중대엽>과 대가인 <삭대엽>의 노랫말은 서로 내용적으로 어울린 것을 선택하여 부른다.
    이렇듯 처음에는 <삭대엽>이 <중대엽>의 대가(臺歌)로 연창되며 참가하는 수준이었으나, <삭대엽>의 파생곡들이 늘어나고 함께 연창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중대엽>에서 <삭대엽>으로 주도권은 넘어가게 된다. 결국에는 <중대엽>이 빠지고 <삭대엽>만의 현행 가곡 한바탕이 남게 된 것이다. 이때 <만대엽>․<중대엽>․<북전>과 대가(臺歌) <삭대엽>이 짝을 이뤄서 가창하던 18세기의 연창방식은 『교방가요』에서 확인되는 창(唱)․화(和)로 주고받는 연창방식과 「오희상금보」 이후 전개되는 남․여창이 교대로 짝을 이뤄 부르는 연창방식에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초록

    In the history of the play style of Gagok(歌曲), Jungdaeyeop(中大葉) and Bukjeon(北殿) had declined and Sakdaeyeop(數大葉) became the main stream in the formation of the Gagok Hanbatang(一闋); Nevertheless, Jungdaeyeop, Bukjeon and Sakdaeyeop were recorded together in the score books and the Gajip(歌集) even during the formation of Gagok Hanbatang, being played consecutively by the same musicians under the same playing environment. They simply showed a bit different periods of the golden ages, depending only on the preferences.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early 19th century when Sakdaeyeop was becoming of the mainstream in Gagok Hanbatang with the occurrence of its newly derived songs, Jungdaeyeop was still the most familiar song to the contemporary music-consumers.
    A pair of the scores of Jungdaeyeop and Sakdaeyeop were consecutively played in the performance of the 18th century when Jungdaeyeop was the main stream. The situations of the consecutive play of Jungdaeyeop and Sakdaeyeop can be verified by the score books such as the score for Geomungo of Yuyeji(遊藝志) in the late 18th century, Ohuisanggeumbo(吳憙常琴譜) in the middle 19th century, and also by the water-wave-style scores(水波譜) which prevailed i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In this play, Jungdaeyeop was proceeded up to the 5th chapter, and then, Daeyeoeum(大餘音) of Sakdaeyeop was played instead of that of Jungdaeyeop, and Sakdaeyeop was lastly performed, where the lyrics of Jungdaeyeop and Sakdaeyeop were chosen considering the accordance of the contents.
    At first, Sakdaeyeop was just played as Daega(臺歌) of Jungdaeyeop, and later, seized the position of the main current as more scores of Sakdaeyeop were composed and played. Finally, Jungdaeyeop completely disappeared and Gagok Hanbatang composed only of the scores of Sakdaeyeop remained. The tradition from the 18th century that Mandaeyeop(慢大葉), Jungdaeyeop, Bukjeon and Daega were pair-played is thought to have influenced the consecutive play of Chang(唱) and Hwa(和) seen in Gyobanggayo(敎坊歌謠), and also the pair songs played in turn by male and female singers observed in Ohuisanggeumb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