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전기 문화사 연구의 추이와 과제 (A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Research on Cultural Histor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3.04
28P 미리보기
조선전기 문화사 연구의 추이와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80호 / 257 ~ 284페이지
    · 저자명 : 김윤정

    초록

    본고는 한국사 연구에서 문화를 주목하게 된 과정과 2000년대 이후 문화사 연구의 경향성을 사학사적 시각에서 검토함으로써 조선전기 문화사 연구의 현재 위치와 향후 과제에 대하여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사 연구에서 연구주제 혹은 분야로써 문화를 주목한 것은 한말 역사교과서부터로, 이후 1920년대 문화주의가 확산되며, 다양한 계열에서는 다른 목적과 방식으로 조선문화의 역사를 호명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과거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한 청산과 문화 학술운동의 과정 속에서 민족문화의 전통과 민족주체성 등이 환기되었다. 한편 1990년대부터 서양의 ‘신문화사’ 연구 경향이 국내 학계에 소개되면서, 이를 한국사에 접목시키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졌고, 특히 2000년대 이후 국가 기관들을 중심으로 ‘문화사 총서’ 시리즈가 기획되고 발간되면서 다양한 조선전기 문화 연구 소재들이 발굴되었다. 최근에는 조선전기 ‘문화인식’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가훈류의 고문서와 일기류 등에 대한 ‘두껍게 읽기’를 시도하며 조선전기 생활문화를 새롭게 접근하고 있으며, 의례 연구 등에서 나타나듯 일국사적 시각에서 벗어나서 동아시아사적 시각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해석한다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문화사 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음에도, 조선전기 문화사 연구는 아직 확고한 하나의 연구분야로 자리잡기에는 그 성과가 충분히 축적되지 못하였다. 더욱이 연구자들마다 ‘문화’에 대한 정의 및 분류, 접근 방식 역시 편차가 있는 만큼, 향후 조선전기 문화사 연구의 꾸준한 축적을 토대로 그것의 범주와 방법에 대한 한국사학계의 생산적인 논쟁과 합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urrent position and future tasks of the research on cultural histor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ulture by reviewing the process of how culture came to be recognized in Korean historical research and the trends in cultural history research since the 2000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Attention to culture as a research topic or field in Korean history began with the late Joseon history textbooks. In the 1920s, various studies have called the history of Joseon culture by different purposes and approaches since the spread of culturalism. After liberation, the traditions of national culture and national identity were revived in the process of clearing up the history of colonial historiography and the movement for cultural scholarship. Meanwhile, since the 1990s,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the trend of Western "new cultural history" research to Korean history, and since the 2000s, various sources of research on Joseon Dynasty culture have been excavated as the "Cultural History Series" was planned and published by national institutions. Recently, research on the “cultural awareness" of the Joseon Dynasty has increased,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roach Joseon Dynasty daily life culture in a new way, such as "thick reading" of documents such as personal diaries, and to interpret it more actively from a East Asian historical perspective, as seen in ritual studies. Despite many researchers recognizing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ultural history research, the study of Joseon Dynasty culture has not yet accumulated enough achievements to firmly establish itself as a separate research field. Furthermore, a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ulture" among researchers and their approaches, productive debates and agreements within the Korean historical academic community on the scope and methods of future research on Joseon Dynasty culture must be based on its steady accum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