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적십자사 소장 사할린 한인 명부분석 (Analysis of the Korean Red Cross's Korean List in Sakhal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4.03
43P 미리보기
대한적십자사 소장 사할린 한인 명부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18호 / 433 ~ 475페이지
    · 저자명 : 정혜경

    초록

    이 논문은 국내 소장 사할린 한인 명부의 현황을 토대로 활용 방향을제시하고, 15건의 명부 가운데 강제동원 관련 명부와 영주귀국 관련 명부 중 활용 가능한 DB 2종을 분석해 사할린 한인 강제동원과 영주귀국 실태를 살펴본 논문이다. 이를 위해 대한적십자사 문서 소장 명부의 일부를 분석했다. 명부는 간략한 인적 정보이지만 현재 연구에 활용하는사료 가운데 하나이다. 사할린 한인 관련 명부의 경우에도 검증과 DB화를 토대로 여러 추가 정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할린 한인의 역사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은 자료 활용의 한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118,450매에 달하는 대한적십자사 문서 가운데 활용이 가능한 명부는 일부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료 활용의 제한성은 대한적십자사 소장 자료 에 국한한 문제가 아니다. 현재 국내 소장 사할린 한인 명부는 총 15건(19 종)인데, 이 가운데 검증과 DB를 완료한 명부는 10건이고, 연구에 활용 할 수 있는 명부는 2건에 불과하다. 15건 가운데 9건은 현재 소장처를 알 수 없다. 그러므로 활용 가능한 명부를 분석한 연구 수행과 함께 사할린 한인 명부의 체계적인 수집과 활용 방안에 대한 고민도 동시에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현재 국내 소장 사할린 한인 명부의 현황을 토대로 세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결 방안으로 체계적이고 총괄적인 사할린 한인 명부의 수집 및 정리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이 논문에서 분석한 대한적십자사 소장 사할린 한인 명부는 주제가 강제동원과 영주귀국이라는 두 가지이다. 970명분의 강제동원 관련 명부분석을 통해 334명의 작업장 현황과 강제동원 나이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2008~2010년간 영주귀국 신청자 및 희망자 1,917명분의 명부 분석을 통해 첫째, 여성의 비율이 높고, 둘째, 강제동원 피해자 본인 외 2세와 3세가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셋째, 전후 유입된 북한지역 출신자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 등 세 가지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the direction of utiliza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akhalin Korean list in Korea, and analyzes two types of DBs that can be used among the 15 lists related to forced mobilization and permanent return to Korea to examine the status of Sakhalin Koreans' forced mobilization and permanent return. To this end, some of the documents from the Korean Red Cross were analyzed. Although the list is very small information, it is one of the valuable records currently being used in research. Even in the case of Sakhalin Korean-related lists, it is possible to enrich the history of Sakhalin Korea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based on verification and DB.
    However, this paper cannot be free from the limitations of data utilization. This is because only a few of the 118,450 documents of the Korean Red Cross can be used. The use of these data is not limited to the data of the Korean Red Cross. Currently, there are a total of 15 (19 types) of Sakhalin Korean lists in Korea, of which 10 have completed verification and DB, and only 2 can be used for research. The location of 9 out of 15 cases is unknow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systematically collect and utilize Sakhalin Korean lists while conducting research that analyzes the available list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akhalin Korean list in Korea, this paper pointed out three problems and suggested a plan to establish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collection and arrangement system for Sakhalin Korean lists as a solution.
    Among the documents of the Korean Red Cross analyzed in this paper, the list of Sakhalin Koreans has two themes: forced mobilization and permanent retur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st of 970 forced mobilization,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334 workplaces and the age of forced mobiliz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st of 1,917 applicants and applicants for permanent return from 2008 to 2010, three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first, the proportion of women is high; second, it includes many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of forced mobilization victims; and third, it includes people from North Korea who were introduced after the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