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비기 횡혈식석실의 매장 프로세스 검토 (A Consideration of the Burial Process Observed at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style Entrances of the Sabi Period)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06
21P 미리보기
사비기 횡혈식석실의 매장 프로세스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2권 / 2호 / 505 ~ 525페이지
    · 저자명 : 김동균

    초록

    사비기 횡혈식석실 연구는 지금까지 많은 분야에서 진행되었지만, 전체적인 매장 프로세스를 파악하기는 어려움이 따랐다. 그럼에 따라, 본 논문은 부여지역을 중심으로 익산, 완주, 예산, 보령지역에서 조사된 사비기 횡혈식석실 자료를 바탕으로 매장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복원하였다.
    매장 프로세스 분석 결과 횡혈식석실의 축조과정은 총 3단계로 나누어진다. Ⅰ단계는 석실 축조 전 단계로 묘역 선정과 묘광 굴착, 배수로를 설치한다. Ⅱ단계는 석실이 축조되는 단계로 석재형태의 선택, 석실 조립이 이루어진다. 석실 조립이 완료되면 석실 상부에 1차 성토가 이루어진다. Ⅲ단계는 현실 안으로 피장자안치와 부장품을 매납하고 석실이 폐쇄되며, 이후 2차 성토인 묘도부 성토가 이루어진다. 동시에 호석을 설치하면서 봉분의 경계를 확정한 것으로 확인된다. 그 후 3차 성토로 마무리하면서 주구가 설치된다.
    복원한 축조과정을 토대로 상장의례와 함께 사비기 횡혈식석실의 매장 프로세스를 부여 왕릉원 서고분군을 중심으로 복원하였다. Ⅰ단계에서는 피장자가 사망 직후 횡혈식석실의 축조가 시작되고 피장자는 빈전에 안치되었으며, 빈전으로 이동되기까지 의례가 행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Ⅱ단계에서는 피장자가 빈전에 안치되는 기간에 죽은 자를 애도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외적인 목적을 가지고 이 기간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Ⅲ단계는 피장자가 빈전에서 석실로 이동하며, 이 단계 의례는 시신을 운구하는 과정과 횡혈식석실 축조과정이 마무리된 이후에 이루어졌을 것이다.
    사비기 횡혈식석실은 부여, 익산, 완주, 예산, 보령지역에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다. 기왕의 연구를 통해 석실을 축조하기 위해 설계도라는 하나의 계획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석실 축조과정의 매장 프로세스 공유도 함께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study of the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style entrance of the Sabi period has been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us far, but it has been difficult to grasp the overall burial proces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and reconstructed the burial process at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style entrances dating to the Sabi period based on data from tombs investigated in Buyeo, Iksan, Wanju, Yesan, and Boryeong.
    The analysis of the tomb construction process makes it possible to distinguish three stages. Stage I is the step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chamber, during which tomb location is selected, the tomb pit is dug, and the drainage channels are installed. Stage II is the step during which the stone chamber is built and involves the selection of the stone block form and the assembly of the stone chamber. When the assembly of the stone chamber is completed, the first layer of earth is laid out, covering the upper part of the stone chamber. In Stage III, the burial site and burial goods are buried, and the stone chamber is closed off. A second layer of earth is then laid out, covering the corridor section. At the same time, the surrounding stones are installed, thereby marking out the boundary of the burial mound. After that, the third second layer of earth is then laid out and a surrounding ditch install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is reconstructed construction process, the associated rituals that would have taken place were also reconstructed for the Sabi period, using the example of western tomb cluster of the Neungsan-ri burial ground in Buyeo. In Stage I, construction of the tomb began immediately after the deceased individual’s death, and the deceased was placed in a temporary resting place. Rituals appear to have been practiced during the removal of the deceased to the temporary resting place. In Stage II, rituals took place for the duration of the period during which the deceased was laid to rest at the temporary resting place. Rituals were not only to mourn the deceased but also served a political and diplomatic function. In Stage III, the deceased was removed from the temporary resting place to the stone chamber. During this stage, rituals would have been carried out during the transportation process of the deceased and around the time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chamber was finalized.
    The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style entrances of the Sabi period are distributed in various areas in Buyeo, Iksan, Wanju, Yesan, and Boryeong. As it is presumed that a master ‘blueprint’ of sorts had been widely sha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se tombs, it seems likely that the burial process was also sha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