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服飾史에서 ‘胡服’의 수용과 영향 (The Acceptance and It’s Influence in Chinese History of Costum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11
32P 미리보기
중국 服飾史에서 ‘胡服’의 수용과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전북사학 / 63호 / 261 ~ 292페이지
    · 저자명 : 김성규

    초록

    服飾은 한 민족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며, 하물며 ‘禮’를 강조한 왕조시대 중국에서의 의의는 새삼 강조할 것이 없다. 그만큼 중국 왕조에서는 복식을 둘러싼 논의가 자주 벌어졌고, 그때마다 논란거리가 된 것의 하나로 ‘胡服’이었다. ‘西域’ 기원의 복식을 뜻하는 호복은 사실상 복장 면에서 중국 민족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외부 요소이며, 중국의 복장은 이들로부터의 자극을 통해 변화와 발전을 계속해간 원동력을 얻었다고 할 수 있다. 소론에서는 호복을 주제로 삼아, 그를 중심으로 전개된 중국 복식사의 주요 흐름과 쟁점, 특히 호복적 요소가 중국 사회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대립과 융화의 측면을 고대시기부터 송대까지를 대상으로 삼아 개관하였다. 그 결과, 중국에서 전국시대의 燕을 시작으로 송대까지 ‘호복’이 도입되는 여러 계기가 있었고, 그때마다 在來의 복식에 큰 영향이 同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호복의 이용이 그때마다 정서적으로 漢族의 이질 문화에 대한 저항감을 불러일으킨 것은 피할 수 없는 일로, 그 결과 호복의 이용 자체가 거부될 때도 있었으나, 많은 경우는 ‘胡色’을 약화시키는 의미로 그 外形에 변형을 가해 받아들이는 방식이 나타났다. 이렇게 볼 때, 중국의 복식은 순수한 漢族 재래의 것이 원형을 溫存시킨 채 이어온 것은 많지 않고, 반대로 외래 요소의 영향을 받은 것이 主를 이루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Costumes is an indicator expressing a kind of identity of one nation, accordingly it was very natural that Chinese dynasties put much more emphasis on their costumes as they traditionary vale li(禮) above everything else, and these phenomena have made Chinese dynasties set up a special article(志) in their official history(正史) without exception. In addition to that, one of important issues that have caused many controversies often in every dynasties was a about introducing Hu dress(胡服) of clothing of ‘barbarians’ into China as Chinese had a strong tendency to refuse cultures from outside considered inferior. However Hu dress especially originated from northern nomad or central Asian of Turkish(‘西域’) have been consistently introduced adopted into China and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elements of Chinese costumes. It could be said that Hu dress virtually was the biggest external factors that had been impacted on Chinese history of costumes and while through obtaining theses diverse factors Chinese costume have been developing and broadening its range of costume cultures.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as well that while Hu dress emotionally provoked Chinese into resisting to wear Hu fu(胡服) or outside world itself, they had eventually reached to find out a way of making their own fusion both Han dress and Hu dress resulting in weakening the characteristic of Hu. This essay try to describe the conflicts and harmony generated between Han(China) and Hu(‘barbarians’) when Hu dress was being introduced in the course of Chinese Dynas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