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계사 불교미술의 성격과 시주자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Arts of Hwagyesa Temple and Supporter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4.02
50P 미리보기
화계사 불교미술의 성격과 시주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4호 / 241 ~ 290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본고는 화계사 불교미술의 성격과 시주자의 분석을 통해 조선말기 화계사가 갖고 있는 성격을 규명한 것이다. 화계사(華溪寺)는 ‘궁(宮) 절’로 불릴만큼 조선말기 왕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 사찰은 흥선대원군을 비롯하여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 조씨와 효정왕후(孝定王后, 1831~1904) 홍씨 등 고종 때 내명부(內命婦) 비빈(妃嬪)들과 상궁(尙宮)들의 많은 후원을 받았다. 화계사는 1866년에 흥선대원군의 지원으로 중창이 이루어지면서 궁중과 밀접한 관계가 형성되었다. 1875년에는 궁중에서 수를 놓아 만든 관음보살도(刺繡觀音菩薩圖)가 화계사로 옮겨졌고, 이것을 계기로 1876년에는 관음전이 중수(重修)되었다. 또한 1878년에는 왕실의 비빈들과 상궁들의 시주로 명부전(冥府殿)이 건립되었고, 그 안에 후불도(後佛圖) 및 시왕도(十王圖)가 봉안되기에 이르렀다.
    화계사의 불교미술 중 화계사 밖에서 제작되었거나 또는 다른 곳에 봉안되어 있던 것들이 옮겨져 왔던 것이며 그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1875년에 순종의 탄생을 기념하기 위해 왕실에서 조성한 자수관음보살도(刺繡觀音菩薩圖)가 있다. 둘째, 1649년에 황해도 배천 강서사(江西寺)에서 조성된 지장삼존상(地藏三尊像) 및 시왕상(十王像) 등이 있다. 셋째, 소백산 희방사(喜方寺)에서 1683년에 조성된 범종(梵鐘)과 해남 미황사에서 1742년에 만든 운판(雲版), 그리고 1879년에 일본 교토에서 주문 제작해 가져온 중종(中鐘) 등이 있다. 반면에, 화계사에서 조성한 불교미술은 대부분 불화(佛畵)들로, 대웅전·명부전·관음전·산신각에 봉안되었던 것들이다.
    화계사 불교미술이 갖는 성격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영가를 천도하는 명부신앙(冥府信仰)과 관련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생자(生子) 및 무병장수 기원과 관련된 것이다. 특히 화계사는 주로 왕실 및 왕실 관계자가 시주자로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왕실의 왕자 탄생 및 천도(遷度)와 관련된 불사(佛事)가 이루어졌다. 많은 불교미술이 다른 곳에서 화계사로 옮겨올 수 있었던 이유도 이와 관련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영어초록

    Hwagyesa temple had a close connection with the Royal Palace of late Joseon dynasty of Korea, and it was often referred to as ‘Temple of the Royal Family’. During the reign of emperor Kojong (1852~1919), Hwagyesa temple had gained royal support especially from Queen Shinjeong of the Pungyang Jo family (神貞王后, 1808~1890; mother of King Heonjong), Queen Hyojeong of Namyang Hong family (孝定王后, 1831~1903; wife of King Heonjong), Queens and the royal concubines (妃嬪), and Ladies of Court (especially Sanggoong, 尙宮) as well as Heungseon Daewongun.
    Hwagyesa temple was renovated under the auspices of Heungseon Daewongun in 1866, and this led to this temple become closely associated with Royal Family. In 1875, a Embroidery Image of Avalokitesvara (刺繡觀音菩薩圖) created by Ladies of Court (內命婦) was brought to Hwagyesa temple from the in the Royal Palace. With this enshrinement, the Hall of the Avalokitesvara (觀音殿) was renovated in 1876. In addition, Myungbujeon (冥府殿; the Hall of Ksitigarbah Bodhisattva and Ten Kings of Hells) was constructed with the support of Queens and Ladies of Court, and then the Buddhist Painting Behind the Buddha Statue (後佛圖) and the Painting of Ten Kings of the Hells (十王圖) were enshrined there in 1878.
    Many of the Buddhist arts had been brought to Hwagyesa temple from the another places originally created or enshrined. Those include (1) the Embroidery Image of Avalokitesvara (刺繡觀音菩薩圖) created in 1875 to celebrate the birth of King Soonjong (son of Emperor Kojong), (2) the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Statues (地藏菩薩三尊像) and the Statues of Ten Kings of the Hells (十王像) created in 1649 at the Kangseosa temple (江西寺) located in Baecheon, Hwanghae-do province, (3) the Great Bell (梵鐘) created in 1638 at the Heebangsa temple (喜方寺) of Sobaeksan mountain, (4) Cloud-shaped gong (雲版) created in 1742 at the Mihwangsa temple (美黃寺) of Haenam, Jeonnam province, (5) Custom-made Middle-sized Bell (中鐘) created in 1879 at Kyoto, Japan.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Buddhist arts created at the Hwagyesa temple were Buddhist Paintings. They had been enshrined in the Main Buddha Hall (大雄殿), the Myungbujeon (冥府殿), the Hall of Avalokitesvara (觀音殿), and the Mountain God Shrine (山神閣).
    The Bulsa (佛事, the work of doing Buddhist-work, any deed or service, and building temples, or offering to the Buddha) of Hwagyesa temple was achieved by the support from Royal Family for the celebration of the birth of prince and for the relief of the spirit of King’s children died at a very young age. It might be expected that the biggest reason why so many Buddhist arts had been brought to Hwagyesa temple from the another places is the participation of Royal Family to support this temple.
    The Buddhist arts of Hwagyesa temple in late Joseon dynasty was closely associated with religious beliefs on Relief of Spirit of the Deceased, and on Hope for Birth of Son and on Wish for Good Health and Long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