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릉 굴산사지의 공간 구성과 특성 (Spac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ulsan Temp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12
40P 미리보기
강릉 굴산사지의 공간 구성과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9호 / 359 ~ 398페이지
    · 저자명 : 문옥현

    초록

    본고에서는 강릉 굴산사지의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굴산사지의 공간구성 양상과 변화과정, 공간구성의 특성을 고찰해보았다. 굴산사는 중심공간, 생활공간, 선종공간 등 3개 이상의 단위공간으로 구성되었다. 중심공간은 ㅁ자 형태의 건물 배치를 이루며 법당 및 방장·선당 등 선종사찰의 중심기능을 수행하는 건물이 배치되었는데, 탑과 법전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중심공간의 존재 가능성을 상정하였다. 생활공간은 저장시설 및 방아시설 등이 존재하고 있어 사찰 운영에 필요한 물품의 저장 및 가공, 이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생활이 이루어진 공간으로 추정되었다. 선종공간은 승탑이 위치한 구릉 구역과 탑비가 자리한 구릉 동편의 평탄면으로 대별되는데, 두 공간은 시기를 달리하여 조성되었지만 두 공간 사이에 솟아있는 구릉을 중심으로 각 시설물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동선을 형성하고 있어 이를 이용한 의례행위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역 내 별도의 승탑과 탑비편의 존재를 통해 선종공간에 2기 이상의 승탑과 탑비가 각각 배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굴산사지는 유구의 중복과 연결 양상을 통해 5번의 변화과정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1단 계는 범일이 입적하면서 범일국사의 승탑 조성과 관련하여 구릉구역에 시설물이 조성된 단계로 9세기 후반~10세기로 추정된다. 2~4단계는 굴산사가 대규모로 중창되어 현 사적지정구역에 중심공간과 생활공간, 선종공간이 완성된 단계이다. 11세기 전반 거란의 침략 이후 11세기 후반부터 12세기를 중심으로 한 시점으로 공간별로 짧은 기간 동안 여러 번의 증·개축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5단계는 12세기 전반의 거란 침략 이후 소실된 굴산사가 작은 규모로 중창된 시기로 13세기 이후로 추정된다. 굴산사는 현 사역의 서남편일대에 작은 규모로 축소되어 운영되었으며, 여말선초에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조선 중기에는 이 일대에 율곡서원이 들어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based on the outcome of Gangneung Gulsansa temple site areas of excavation investigation. Considering appearance of spatial configuration of Gulusansa temple site, process of chang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Gulsansa temple site was composed of three or more of the unit space such as the central space, living space, the Zen sect, etc. Arrangements of the central space of buildings forms a ‘ㅁ’ shape. This Building to performance the central functions of the Zen Buddhist temple like Buddhist sanctuary, an abbot´s chamber and a temple for Zen study, etc.
    This is assuming the possible presence of another central space of the top and Buddhist sanctuary. Living space consists of the storage and mill facilities. This space assume that need for operation of temple such as storage and processing of goods or living space of engaged people. The Zen space classed as hilly area located Stupa or planation surface of the east side of hill located Monument. Two spaces which were construction by different in time organically connected each facility which around the hills towering between the two spaces. It forms a single traffic line and this line considered for the ritual act. Moreover, it is estimated that Two things Stupa and Monument arranged in the Zen space through the presence of another Stupa and Monument fragment. Through the overlapping Relics and connection aspect of Gulsansa temple site seems that there was in the five times process of change.
    The first step is construction Stupa of the greatest Buddhist monk in the hills area after his entering nirvana. It is estimated to the late 9th~10th century. The second~fourth step is the completed stage which is the current designated as historic relics because of central space, living space, the Zen sect in Gulusansa temple site. The first half of the 11th century, since the invasion of the Khitan, many times of extension and reconstruction of building were enacted in each space during a short period focus on From the late 11th century to around the 12th century. The fifth step is estimated to the 13th century or late. Because Gulsansa temple site rebuilding after the disappearance because of the invasion by the Khitan in early the 12th century. Reduced the scale and operated at the southwestern side of the present Gulsansa temple site area. This place ruined in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Since then, place the date of the Songdam lecture hall at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