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祖의 士大夫 認識과 그 特徵 (King Jeongjo's recognition on Neo-Confucian literati and it's historical meani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8.09
26P 미리보기
正祖의 士大夫 認識과 그 特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32호 / 103 ~ 128페이지
    · 저자명 : 박성순

    초록

    정조는 척족이 특권세력으로 발호하던 영조대 후반의 탕평정치에서 아버지를 여읜 피해자였다. 노론의 거센 방해공작을 뚫고 왕위에 오른 정조의 목표는 왕권 강화였다. 정조는 탕평정책을 영조 50여년 치세의 대업적으로 칭송하고 척신과 탕평당의 폐해를 지적하면서 신하들에게 왕을 위해 충성을 다하는 ‘國邊人’이 되어줄 것을 요구하였다.
    정조가 즉위 직후부터 설치·운영한 奎章閣은 겉으로는 御製의 봉안 등을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정조의 우군을 양성하기 위한 기구였다. 그만큼 정조가 외척들을 누르고 어떻게 사대부들을 포섭하는가 하는 문제는 정권의 사활이 걸린 문제였다. 본고에서는 정조가 사대부들을 어떻게 굴복시키고 포섭하려 했는가라는 문제를 본격적으로 조명하였다. 그것을 통해서 정조가 시도한 왕권강화책의 논리와 방법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정조는 經學의 본질은 성리학이 아니라 실생활과 절실하게 관련된 학문이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사대부들의 이념적 근거를 붕괴시키고자 하였다. 정조가 사대부들의 풍기와 세도를 비판하고 그들의 학문인 주자성리학의 의미를 축소했던 것은 사대부들을 왕권에 복속시키기 위한 방편이었다. 붕당론이나 성학론을 기본으로 하는 사대부들의 정치 이념과 학문적 근거를 반박함으로써 公論의 주체로서 국왕의 권위를 강조하려고 하였다. 정조가 영조의 ‘君師’ 개념을 계승하고 왕호도 ‘弘齋’에서 ‘萬川明月主人翁’으로 바꾼 것은 그의 사대부 비판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자 했던 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영어초록

    King Jeongjo had lost his father, Sado-Seja(Prince Sado) by Noron(Older Faction). Especially those who tried to kill Sado-Seja and king Jeongjo consisted of king's family-in-law of king Youngjo and Sado-Seja. Therefore king Jeongjo's first goal was to strengthen his kingship than other things because he could gain the throne overcoming the strong hinderance of Noron and king's family-in-law. King Jeongjo requested his subjects to be "Kukbyon-In"(國邊人: a person for king) pointing out the harm of the king's family-in-law and "Tangpyong-Dang"(蕩平黨: the strongest faction consisted under the rule of king Youngjo). For the purpose, king Jeongjo built up "Gyujang-Gak". Gyujang-Gak was spoken to contain and protect the writings of earlier kings superficially, but in reality, it was an apparatus to gain and train the friendly subjects for king Jeongjo. Like that, it was the most important for king Jeongjo to suppress the king's family-in-low and to win Neo-Confucian lterati over to himself's side.
    Until now, the politics of Joseon Dynasty had been mainly explained on the point of view of "Seonghak-Non"(聖學論). "Seonghak-Non" means that Neo-Confucian lterati were treated as real hero, not kings in the political space of Joseon Dynasty and the role of factions were recognized important. But king Jeongjo denied these ideological stream and tried to change that political system. King Jeongjo wanted to strengthen the throne through the method which insisted the king as a hero in politics. For the purpose, king Jeongjo criticized the Neo-Confucian literati's viewpoint about politics and learning at that time and anticipated to be sole leader of politics and learning on that critique.
    King Jeongjo aimed to destroy the dignity of "Salim"(山林: Neo-Confucian Sages) with attacking their wrong behaviors. King Jeongjo also criticized the period of king Injo when the regime of "Sarim"(士林: pure Neo-Confucian lterati) faction fully appeared as the starting period when the factional harms were getting worse. King Jeongjo wanted to previously block the oppositions to win subjects over to himself's side with criticizing the period of king Injo and to take away the initiative from his opponents with insisting "Salim-Muyongnon"(山林無用論: a theory ignoring Neo-Confucian Sages).
    King Jeongjo's critique was not limited just on the system of factional politics. "Seonghak-Non" eventually took root in Neo-Confucianism. Therefore king Jeongjo criticized Neo-Confucianism. He insisted that the essence of Chinese Classics was pragmatical learning, not Neo-Confucianism. Through that critique, king Jeongjo aimed to destroy the ideological base of his opponents.
    However, king Jeongjo failed to be a sole leader of his subjects in the both boundaries of politics and learning even though he criticized the Neo-Confucian lterati's viewpoint about politics and learning. Because he abruptly died leaving his reformational scheme behind as well as his loyal subjects guarding himself against Noron Byeok-Pa(老論 辟派: the opposing party in Older Faction) were gone behind himself. The politics of Joseon Dynasty returned to more powerful politics for king's family-in-law after king Jeongjo's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