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석사 가람배치 변화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nge of Buseoksa Temple Alignment Chang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3.08
33P 미리보기
부석사 가람배치 변화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28호 / 227 ~ 259페이지
    · 저자명 : 오세덕

    초록

    부석사는 한국의 화엄학을 대표하는 사찰로 의상법사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 불교건축사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사찰 중 하나이다. 특히 의상의 초창 이후 1000년 이상의 법등을 이어오는 과정에서 수많은 변화가 발생하였지만 비교적 온전히 가람의 주축선을 유지하고 있는 사찰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 동안의 많은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부석사의 가람배치 변화상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부석사의 초창시기 가람의 입지선정 과정과 사회적인 배경을 검토해 본 결과 창건주 의상이 당나라 유학을 통해 화엄교학을 전수받은 중국의 지상사 입지관이 어느 정도 투영된 것으로 추정해 보았다. 또한 현재 같은 대규모의 사찰이 아닌 중국의 남선사와 지상사 같은 산지가람의 사찰로 초창되었을 가능성을 높았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부석사에 남아 있는 무량수전 하부 기단, 초석, 석등, 석탑, 가구식기단의 면석부재, 당간지주, 대석단 등의 석조유물 시기성 제고를 통해 통일신라~고려시대까지 가람배치 변화상을 검토해 보았다. 특히 무량수전 하부 기단형식이 기존의 연구를 통해 통일신라시대 제작되었다는 견해가 제시되었으나 본고에서는 기존의 견해보다 늦은 고려시대 초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그리고 부석사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대석단의 초창시기도 기존의 견해보다 고려초기 원융국사의 중창 때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조선후기 부석사도와 순흥읍지, 선비의 일기 등을 통해 부석사 가람배치 변화를 살펴본 결과 19세기까지 통일신라시대 완성된 가람의 주축선에 큰 변화없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었으며, 시대적인 경향을 반영한 많은 부속전각이 세워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Buseoks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in Hwaeom study of Korea known to be established by Uisang. It is one of the important temples in understanding the Korean Buddhist building construction history.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foundation by Uisang,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changes in the process of continuation of more than 1,000 years. But, it keeps main foundational lines relatively well.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figure out the changes of temple alignment of Buseoksa based on extensive research results.
    In chapter Ⅱ, this study reviewed the process of location selection in the initial period of foundation with its social background. As a result, this study conjectured that the perspective of location of Jisangsa temple of China, where the founder Uisang inherited Hwaeom study during his overseas study period in Tangit, influenced the foundation of Buseoksa building. And it is probable that the original form of the temple was a mountain temple like Namseonsa and Jisangsa of China rather than a large scale temple as in the present.
    Chapter Ⅲ reviewed the change of temple alignment from Unified Silla to Goryeo period through the examination of founding period with remains like Muryangsujeon bottom stylobate, stone light, stone pagoda, surface stone subsidiary material of stylobate, Dangganjiju and large stone stylobate. In particular, while the existing studies on Muryangsujeon bottom stylobate style, this study suggested a possibility that it would be found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which is later than the existing argument. And, this study also conjectured that the initial foundation of large stone stylobate, the greatest features of Buseoksa would be early Goryeo like Geodonsa temple site, which is later than the existing view.
    Chapter Ⅳ reviewed the changes of temple alignment of Buseoksa in Joseon based on more practical literary documents and resources like various Gimun, Hyeonpan and Buseoksa Drawing by Gyeomjae Jeong 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