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세기 고구려 지방제도와 守事 (Susa and Local Administration System in 5th Century Kogury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3.12
22P 미리보기
5세기 고구려 지방제도와 守事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19호 / 27 ~ 48페이지
    · 저자명 : 백미선

    초록

    고구려사에 있어서 5세기는 가장 주목받는 시기였다. 광개토왕에서 장수왕, 문자왕으로 이어지는 이 시기에 고구려는 중앙집권체제의 강화와 활발한 영토 확장을 통해 비약적인 성장을 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5세기 고구려의 지방제도에 대한 관심도 요구되었다. 활발한 영토 확장 활동에 따른 결과 확보한 지역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지배하였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였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5세기 금석문에서 확인되는 ‘守事’라는 지방관이 주목되기 시작하였다.
    ‘수사’는《모두루묘지》와《중원고구려비》에서 각각 ‘영북부여수사’와 ‘고모루성수사’로 확인되는데, 같은 지방관명임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수사’라는 지방관명의 정착과정과 관련된 것으로, ‘영북부여수사’의 단계에서는 守事라는 일반 명사 앞에 ‘令’자를 붙인 형태로, 이 시기에는 아직 수사가 지방관명이 아니었다고 보았다. 반면 ‘고모루성수사’의 단계에는 금석문 상의 규칙적인 인명표기 방법으로 보았을 때, ‘수사’가 지방관명으로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광개토왕때 모두루가 ‘영북부여수사’로 파견된 것은, 당시의 정치적인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광개토왕때에는 ‘敎’를 통해 이전의 체제와 제도에 일정한 변화를 주는 모습이 자주 확인되고 있는데,‘수사’라는 새로운 지방관의 역할에 주목하게 되는 것 역시 이와 상통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 고구려에서는 지방을 일원적으로 편제하고 파악할 단위가 요구되었고, 그 단위에 파견된 지방관이 수사이다. 광개토왕 재위 후반기 정복활동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시점에서 이와 같은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고모루성수사’의 등장은 광개토왕이 시도한 지방제도의 변화가 보다 안정적으로 정착되어갔음을 나타내준다고 하겠다. 장수왕은 즉위 이후 427년 평양으로 천도하는 시기까지, 광개토왕의 뜻을 계승하면서 일련의 정비 작업을 하였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런 과정에서 지방제도와 지방관에 대한 정비도 이뤄졌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수사는 보다 많은 지역에 파견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5세기의 ‘수사’는 그 이전에 확인되는 ‘태수’와는 다른 성격의 지방관으로 보아야 한다. 수사는 그 등장과정에서 새로운 행정단위와 이에 따른 새로운 역할의 필요에 의해 등장했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이때의 행정단위와 관련해서 기존에는 ‘郡’을 언급하였지만, 그 직접적인 근거는 찾아보기 힘들다. 오히려 이때의 ‘군’은 ‘태수’와의 관계 속에서 살펴야 하며, 수사와는 관련이 없다고 보인다. 한편,《周書》등 6세기 후반의 사정을 전하고 있는 사료에서는 수사가 보이지 않는다. 수사가 파견될 단계에 이미 고구려는 3단계의 지방관 체제를 형성했는데, 이는 6세기 후반의 지방제도에도 큰 변화 없이 이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수사의 경우 그 파견 지역이 점차로 늘어남에 따라 관할 범위의 중첩과 축소가 이뤄져 6세기 이후의 처려근지에 해당하는 지방관에 대응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fifth century receives the most attention in the history of Koguryo. During this time, the kingdom was ruled by Kwanggaeto the Great, followed by King Jangsu, King Munja, who strengthened its centralized the system of government while actively expanding Koguryo’s territory, bringing on a period of rapid growth. At the same time, scholars looked into the local administration of Koguryo during the fifth century, because one needed to understand how the kingdom efficiently ruled the areas won through such active territorial conquests. In this process, susa, a class of local administrative officer, which can be identified in fifth century epigraph, has been put under the spotlight.
    Susa can be identified in epitaphs such as “Modurumyo-ji” and “Chungwon- Kyoguryobi.” These stone tablets mention administrative officers such as “Youngbukbuyeo- susa” and “Komoruseong-susa,”respectively, and show certain differences in names although the two are the same administrative position. This is because of different processes through which susa was introduced in different regions: when Youngbukbuyeo- susa was first introduced, the suffix “令” (pronounced “young,” meaning “commanding”) was attached in front of the general noun susa, which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at this time susa was not a local administrative officer’s title. In contrast, when the title Komoruseong-susa was used, we can know that susa was used as a local administrative officer’s title, considering the regular method of denoting personal names on the epitaph.
    The fact that Moduru was dispatched to be a Young-bukbuyeo-susa i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During the reign of Kwanggaeto the Great, we can see that the king issued “敎” (pronounced “kyo,” meaning “edict”) in order to make certain changes to the existing systems and laws, a fact which is believed to be connected to the role of the new administrative title of susa.
    The appearance of Komoruseong-susa afterwards represents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changes brought on by Kwanggaeto the Great has been stabilized after his time. His son, King Jangsu, seems to have taken on his father’s will and conducted maintenance activities to the political system since his enthronement until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 in the year 427. When such maintenance was being made, the local administrative system and the administrative officers would have been modified. During this process, it seems that susa officers were able to be dispatched to more administrative units in the kingdom.
    Susa of the fifth century must be seen as a different type of local administrative officer than taesu (another type of administrative officer), which can be identified in earlier records. This is because susa seems to have been created to respond to the necessities brought on by the invention of new administrative units and subsequent needs for new types of administrative officers. Regarding administrative units, “郡” (pronounced “kun,” meaning “administrative unit”) was previously mentioned in academic literature, but it is difficult to find direct evidence. Rather, kun during this period must be examined in terms of its relationship with taesu, and it seems that kun is not related to susa.
    Meanwhile, in other historical materials about the late sixth century such as “周書” (pronounced “chuseo”) do not mention susa. When susa were dispatched, Koguryo established a three-tier local administrative officer system, which would not have continued into the late sixth century without much modification. But for susa, as the number of areas the officers were dispatched to gradually increased, their authorities are thought to have overlapped and reduced, becoming an administrative officer corresponding to cheoryeogunji of the post-sixth century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