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스트모더니즘과 19세기 영국 정치사 (Postmodernism and Nineteenth-Century British Political Hist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7.02
27P 미리보기
포스트모더니즘과 19세기 영국 정치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총 / 29권 / 533 ~ 559페이지
    · 저자명 : 조용욱

    초록

    포스트모던적 시각을 가진 연구자들은 역사탐구의 실제와 해석에서 더 우수한 틀을 제시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 이 연구자들은 실증적이고 계급 위주의 정치사와 사회사를 대체할 새로운 역사읽기를 모색하고 있으며, 특히 조이스와 버논은 이전의 모든 인식론들을 대체할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포스트모더니즘을 전폭적으로 신뢰하고 있다. 수정주의 연구의 가치를 궁극적으로 시험할 수 있는 잣대는 얼마나 우리들의 역사적 상상력과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가에 있다. 불행하게도 이들은 전체적으로 보아 좀 더 고립되고 편협한 이해의 통로로 역사연구를 끌어들이려 하고 있다.
    첫째, 이들 연구에서는 역사를 知的 傳記로 간주하는 강한 경향이 있다.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것이 자기표현을 통해서만 정의된다면 이러한 경향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균형 잡힌 역사서술을 위해 노력한 이전 세대의 역사가들에 비해 이들 수정주의자들이 제시한 그림은 훨씬 더 단순하고 정교하지 못하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둘째, 좀 더 심각한 문제는 포스트모더니즘이 하나의 이론으로서 이용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이제까지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역사가들이 이론을 가장 잘 이용하는 길은 그것을 역사적 자료의 해석을 고무하고 안내하는 하나의 길잡이로 취급하는 것이다. 한 이론적 틀이 역사학적 연구일정을 프로그램화하고 다른 이론적 모색을 봉쇄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이러한 위험이 조이스와 버논의 경우에 강하게 나타난다. 탈구조주의 이외의 어떤 이론에도 조이스와 버논은 관심이 없으며, 이들 모두 포스트모더니즘 이론의 가정과 절차를 검증하려는 시도에 대해 인내심이나 흥미를 거의 갖고 있지 않다.
    셋째, 修辭를 역사연구의 중심에 놓고 이것만이 설명과 탐구의 주요 대상으로 삼는 것이 연구의 편협화를 초래하고 있다. 서술과 수사의 인식론이 제공하는 역사적 경험의 범위는 그렇게 크지 않다. 이 인식론이 가장 유용한 것은 정체성과 자기정체성을 역사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에서 일 것이다. 설사 우리가 지식은 단지 수사와 담론의 문제라는 포스트모던적 가정을 수용하더라도, 이러한 가정이 역사가가 가지는 관심사의 범위를 규제한다는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포스트모더니즘에 기초한 수정주의 프로젝트는 영국 정치사와 사회사가 전통적으로 수행해온 주요 흐름과 배치되는 것으로서 분명 역사연구에 도움과 자극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제시된 수정주의의 지적 도구와 성과가 19세기 영국사를 다시 ‘새롭게’ 쓸 수 있을 만큼 풍부하고 강력한지 매우 의문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이러한 이론이나 저러한 해석을 채택하고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이론을 증거의 읽기에 이용하며 그 결과 어떤 역사를 쓰는가 라는 문제일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several recent historical works on nineteenth-century British politics by a group of historians like Patrick Joyce, James Vernon and Eugenio Biagini who have been heavily influenced by postmodernism. Despite differences in subject and approach, these writings share a few common aims and goals. First of all, they try to put great emphasis on continuity at the expense of change that has previously occupied a central place in the historiography of nineteenth-century Britain. In the process, they intend to remove the concept of class from the categories of analysis employed by historians of Victorian politics and society. These so-called revisionist historians also attempt to make languages and idioms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historical research. Informed by the 'linguistic turn', they assume that knowledge is a matter of rhetoric and discourse, and wish to marginalize other important historical sources such as demographic data, wages and prices, state policies, legal customs and practices, etc.
    Despite the proposed ambitions of the revisionist works to replace the conventional accounts of Victorian politics with a 'better' and 'new' reading, the empirical evidence and conceptual framework they have so far produced are far from satisfactory. It is by no means clear why we should adopt languages and idioms as the central units of analysis at the expense of the conventional ones like class,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s and changes, state apparatuses, gender and ethnicity. The revisionist suggestion that all existing historical understandings need to be under constant and rigorous inquiry and review is undoubtedly helpful and stimulating. It is very questionable, however, the revisionist 'project' has succeeded in proving that its insights, approaches and evidence are good enough to topple the 'old'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The latter still provides us with a better tool for analyzing the interconnectedness and dynamics of historical relationships, and is therefore a far more useful guide for historical study and underst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