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슐레의 공화주의 프랑스혁명사 (Jules Michelet's Republican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9.07
36P 미리보기
미슐레의 공화주의 프랑스혁명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91호 / 285 ~ 320페이지
    · 저자명 : 김응종

    초록

    미슐레가 시도한 공화주의 프랑스혁명사의 주인공은 민중이다. 민중이 주권자이기 때문이다. 미슐레의 혁명사가 나오기 전에는 아돌프 티에르와 프랑수아 오귀스트 미녜만이 체계적인 혁명사 연구서를 발표했는데, 이들은 사회적 측면이나 경제적 측면은 무시했고 혁명을 부르주아지의 위업으로 파악했다. 미슐레는 부르주아지에서 민중으로 주인공을 이동했다는 점에서 사학사적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미슐레는 민중이 혁명 전선에서 물러나고 엘리트 혁명가들이 혁명을 주도하면서 혁명이 탈선했다고 본다. 미슐레에게 있어서 로베스피에르가 주도하는 공포정치 시기는 혁명이 정치적 민주주의에서 사회적 민주주의로 심화되는 시기가 아니다. 미슐레가 그리는 로베스피에르는 민중의 염원을 실천하는 민중의 벗이 아니라 “군주”, “신”, “우상”과 다르지 않았다. 혁명과 전쟁이라는 위급한 상황에서 불안해하고, 의심하고, 고발하고, 감시하고, 처벌하는 인물이었다. “청렴자”요 ‘덕’의 정치가라기보다는 내적 정화에만 사로잡힌 중세의 이단재판관과 같은 인물일 뿐이었다. 미슐레에게 있어서 공포정치는 위기에 빠진 조국을 구하기 위한 비상조치이기는 했으나 ‘상황’의 산물인 동시에 자코뱅적 광신의 소산이었으며, 승리의 수단이었다기보다는 오히려 적을 만들어내었고 최종적으로는 혁명을 파괴하였다는 점에서 반혁명적이었다.
    유명한 반교권주의자인 미슐레는 중세 가톨릭교회와 마찬가지로 선악이분법에 사로 잡혀 있었다. 혁명은 선이었고 반혁명은 악이었다. 미슐레는 가톨릭교회가 반혁명의 온상이었다고 비판할 뿐 그 가톨릭교회가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에서 보장한 재산권을 빼앗겼으며 세속 권력의 가혹한 탄압을 받았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다. 미슐레는 방데의 농민들이 가톨릭 근왕군을 결성하여 반혁명에 나선 것에 대해서도 그들이 광신적인 신부들의 선전에 넘어가 야만적인 폭력을 행사한 무지몽매한 사람들이라는 점을 강조할 뿐 그들의 행동에 대해서 충분한 배려를 하고 있지 않다.

    영어초록

    It is the people who is the protagonist in the Michelet’s republican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This is because the people is sovereign. Before Michelet’s republican history of the French Revolution came out, Adolphe Thiers and François-Auguste Mignet published a systematic study about the French Revolution, which neglected the social and economic aspects and identified the Revolution as a bourgeois feat. Michelet could be evaluated in historical terms for moving the protagonist of the French Revolution from the bourgeois to the people.
    Michelet maintains that the revolution has derailed as the people have stepped down from the revolutionary front and elite revolutionaries have led the revolution. For Michelet, the reign of the Terror led by Robespierre is not a time when revolutions escalate from political democracy to social democracy. Robespierre, described by Michelet, was not a friend of the people who practices the people’s aspirations and he was no other than “monarch,” “God,” and “idol.” Robespierre was a person who was anxious, suspicious, charged, watched and punished in the critical situation of the revolution and the revolutionary war. Rather than being a “integrity” and “good” politician, he was just a medieval heretic judge obsessed with internal cleansing. For Michelet, the reign of the Terror was an emergency measure to save his country from crisis, but it was also a product of “the situation” and a product of Jacobin fanaticism, creating enemies rather than a means of victory and ultimately destroying the revolution.
    Michelet, a famous anticlericalist, was obsessed with good and evil dichotomy, as was the case with the medieval Catholic Church. The revolution was good and the counter-revolution was evil. Michelet criticized the Catholic Church for being a hotbed of counter-revolution, but refused to acknowledge that the Catholic Church was deprived of the property rights guaranteed by the Declaration of Human and Civil Rights and that it was severely oppressed by secular power. Michelet did not give full consideration to the actions of peasants in Vendée anti-revolution, only stressing that they are ignorant people who used barbaric violence following fanatic priests' propagan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