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야사의 획기와 연구현황 (Groundbreak and research status in Gaya histo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12
36P 미리보기
가야사의 획기와 연구현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79호 / 111 ~ 146페이지
    · 저자명 : 이형기

    초록

    가야는 고대국가로 성장하지 못하고 신라에 멸망당하였다. 잘 알다시피 역사란 승자에 의해 기록되기 마련이어서 가야에 대한 문헌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가야에 대해서 간접적이나마 전하는 자료로는 三國史記와 三國遺事, 중국의 三國志, 後漢書와 南齊書, 일본의 日本書紀 등이 있다. 이와 더불어 廣開土王陵碑文과 昌寧 眞興王拓境碑, 陜川 梅岸里碑 등과 같은 당대의 금석문도 있다. 이들 사료와 금석문 등에 보이는 가야 관련 내용들도 무척이나 소략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기록들을 통해 가야사를 복원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고고학적 성과들에 더해 문헌학자들의 엄청난 노력의 결과 눈부신 연구의 진전이 있었다. 그렇지만 누구나가 인정하듯이 가야사의 성격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결론에 도달했다고는 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사서에 가야 전체를 통칭하는 용례도 보이지만, 더불어 멸망하는 시기까지도 가야지역 범위 내에 개별 국가의 국명이 존재하는 모습들이 그대로 나타나는 모습에 대한 해석이 아직은 각각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가야사 이해를 위하여 문헌기록을 통해 가야사의 획기를 설정하고, 거기에 대해 그동안 논의되었던 내용을 살펴보려 하였다. 이를 통해 가야사회의 변화에 대해 다시 한 번 검토하면서 가야사 이해에 새로운 진전을 꾀하기 위함이다. 즉 가야사에 대하여 다양한 시각들이 도입되면서 새롭게 이해를 넓혀가는 시점에서 기본적인 이해의 틀을 검토하는 것도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이 글은 가야사에서의 획기를 설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가야의 형성과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사들을 정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필자가 생각하는 가야사의 획기는 초기 가야사회의 변화를 가장 잘 보여준다고 생각하는 ‘포상팔국전쟁’, 가야사회에 큰 변동을 가져 온 이른바 ‘고구려의 남정’이며, 그에 따른 대가야의 변화이다. 가야가 가장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대가야의 대중국교섭’ 등도 결국 남정으로부터의 여파에서 비롯되었 다. 포상팔국전쟁은 가야 내부 지역연맹체 단계로 성장해 나간 소가야연맹체가 교역권을 두고 구야국 세력과 다툼한 것이었다. 포상팔국 전쟁 결과는 구야국이 건재한 가운데, 함안의 안야국이 가야남부 사회의 또 다른 구심점으로 떠올랐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이러한 체제는 고구려의 남정으로 인해 남부 가야사회는 쇠퇴의 길을 걷게되고 대가야가 부각되어 부체제로까지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Gaya failed to grow into an ancient country and was destroyed by Silla. As you know well, history is bound to be recorded by the winner, so there are few documents left about Gaya. Indirectly speaking of Gaya, it remains only fragmented in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 Yusa(三國遺事), Samguk-Ji(三國志) in China, Huhanseo(後漢書) and Namjeseo(南齊書), and Ilbon-Seogi(日本書紀) in Japan, etc. These are materials from later generations, but there are epigraphs of the time such as Gwanggaetowangneungbi(廣開土王陵碑), Jinheungwangcheokgyeong- bi(眞興王拓境碑) in Changnyeong(昌寧), and Maeanribi(梅岸里碑) in Hapcheon(陜川). As with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ancient history, the contents related to Gaya are very simple, making it difficult to restore Gaya history through them. Nevertheless, there has been a lot of progress in research, but no conclusion has been reached on the national nature of Gaya. This is because the historical book shows the use of collectively referring to Gaya as a whole, but even during the fall, the national names of individual countries appear as they exist within the Gaya area.
    In order to understand Gaya history,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the groundbreak of Gaya history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sults. This is because they hope to develop in understanding Gaya history while reviewing the changes in Gaya society once again. In other words, I think it is also meaningful to review the basic framework of understanding at a time when the understanding of Gaya history is newly expanded. This article established the groundbreak in Gaya history and summarized the researchers o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Gaya. The groundbreak of Gaya history that I think best shows the appearance of early Gaya society is the "Posangpalguk(浦上八國) War" and "Goguryeo(高 句麗) Namgeong(南征, Attack to the South)" which are changes in Daegaya accordingly. Daegaya's negotiations with China, which show Gaya's most developed appearance, also eventually originated from the aftermath of Namjeong. The reward-palguk war was a battle between the small Gaya federation, which grew into the stage of Gaya's internal regional federation, with the forces of the Guya over trade rights. The results of the eight-nation war confirmed that Haman's Anya-guk emerged as another centerpiece of southern Gaya society while Guya-guk was in good shape. Since then, it can be seen that due to Goguryeo(高句 麗) Namgeong, the southern Gaya society has been on the decline, and Daegaya has emerged and developed into a sub-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