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헌정이념사 연구서설 (A Prolegomenon to the Study of History of the Idea of Constitutionalism in Korea)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8.11
22P 미리보기
한국 헌정이념사 연구서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치사상연구 / 14권 / 2호 / 113 ~ 134페이지
    · 저자명 : 양승태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현재 한국 헌정주의의 문제를 그 근원에서 해명하기 해서는 한국 헌정이념의 역사적 기원 및 변화·발전 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설명과 아울러 그러한 연구의 기본 방향 및 개요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헌법의 근본 성격으로 간주되는 기본법의 본질에 대한 해명이 바로 기본법 개념 자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도된다. 기본법의 형식이나 내용은 각 국가가 처한 역사적 상황이나 정신사적 전통의 성격에 따라 무한한 변용을 가질 수 있다는 것, 근대 헌법의 핵심은 조문화나 성문화라는 특정한 형식의 존재 또는 인권이나 권력분립 등 특정한 이념이나 제도의 존재가 아니라 헌법으로 표상되는 국가체제는 신이 아닌 인간의 피조물이라는 사고방식의 전환에 있다는 것, 이 두 가지가 그 해명의 핵심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 헌정이념사에 대한 개관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정도전의 <조선경국전>은 성리학적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국가를 새롭게 건설한다는 관념이 명시적으로 나타나 있으므로 한국헌정사에서 근대 헌법의 맹아로 해석된다. 그런데 <조선경국전>에 내포된 근대 헌법의 맹아는 <경국대전>에서 다시 전통주의적 왕권이념으로 회귀함에 따라 사라진다. 그러한 헌정사적 상황은 황제주권 형태로 최초의 주권 개념이 도입되고 전통적인 화이질서를 벗어나 근대 국제법 질서로의 편입이 명시된 <대한국 국제>의 선포 이전까지 이어진다. 그와 같은 헌정사적 연속과 단절의 바탕에 있는 이념적 문제는 정치사상사 및 정치철학적 연구 대상이다. 아울러 임시정부 헌법의 제정이나 제헌헌법의 제정이 <경국대전> 체제의 근간인 성리학 이념이나 <대한국 국제>의 황제 주권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작업이나 자유권, 평등권, 소유권 등의 이념들에 대한 깊은 천착 없이 이루어졌다는 사실 등에 내포된 정치사상사 및 정치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해명 또한 한국헌정사 연구가 새롭게 수행해야 할 과제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It is first to demonstrate that in order to get at the root of the present constitutional issues in Korea the study of history of the idea of constitutionalism in Korea is needed, and then to provide a basic research orientation for the study. For this purpose a conceptual analysis of the very notion of supreme law is attemp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that the form and contents of supreme law may take infinite variety according to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the ideational tradition into which a country finds itself; and that the basic character of modern constitution lies not in such forms as documentation or codification nor in such ideas as human rights or separation of powers but in the reorientation of thinking that a political system as represented by constitution is not something divinely imposed on men but men's creature.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is briefly surveyed from this perspective.
    Chung Dojon's 'Administrative Code of Choson(Chosonkyunggukjon)' is thus interpreted as a germ of modern constitutionalism in that there appeared in it an explicit idea of building a new political system on the basis of the neo-confucian ideology. But the germ of the modern constitutionalism dwindled away as Grand Code of Managing the Nation(Kyunggukdaejon) had returned to the traditional idea of the divinity of kingship. Such a state of constitutionalism had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appearance of Constitution of the Korean Empire(Daehangukgukje) wherein emperor sovereignty was first established and modern international law system in place of the traditional Sino-centric order was first proclaimed. The ideational issues residing in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such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are objects of the study. The study should also aim at explication of the ideation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fact that the constitution makings by many provisional Korean governments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along with the fact that even the constitution making by the Constituent Assembly was undertaken barely without in-depth examinations of neo-confucian ideology, of the idea of emperor sovereignty, of those modern ideas of liberty, equality, property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