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사』교과서 일본사 관련 서술의 현황과 전망-전근대사 서술을 중심으로- (The Descriptive Contents on Japanese Premodern History in World History Textbook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7.12
31P 미리보기
『세계사』교과서 일본사 관련 서술의 현황과 전망-전근대사 서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58호 / 119 ~ 149페이지
    · 저자명 : 정순일

    초록

    이 글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4종의 내용체계를 비교 분석하고, 일본 전근대사 서술에 보이는 특징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최근 고시된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교과서 집필기준을 살펴봄으로써 새롭게 간행될 교과서에서 일본사 서술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하게 될 것인지, 혹은 어떻게 변화해야 할 것인지 전망하였다. 아울러 제도적・정책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사안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에서는 ‘지역 세계’ 및 ‘교류와 교역’이 중시되어, 결과적으로 일본 전근대사 서술이 연대기적으로 맥락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 단원에 일부분씩 분산되는 형태를 띠게 되었다. 내용 분석을 통해서는, 4종 교과서가 저마다 특징 있는 서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오개념과 애매모호한 설명이 적지 않게 보였다. 시대별 특성을 드러내지 못하는 제목의 설정도 문제시된다고 할 수 있다.
    현행 고등학교 『세계사』교과서에서는 ‘문화 수용자’로서의 일본 이미지가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문화 요소가 일방향으로만 흐른다는 이해는 오히려 ‘비역사적’으로, 문화와 문물의 쌍방향적 혹은 다자적 이동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또한, 4종 교과서 모두에서 일본사가 동아시아라는 제한된 무대를 넘어 광역 세계 속에서 전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교육학적 활용이 기대되는 부분으로 평가된다.
    새롭게 발표된 ‘2015 교육과정’의 핵심은 학습 부담의 경감을 위해 학습 내용을 대폭 줄이기로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사에 한정해서 본다면, 관련 성취기준 내지 학습요소가 감소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 간행될 교과서에서도 서술 분량이 줄어들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행 교과서의 일본 전근대사 관련 기술이 흩어져 있었던 데 대해, 새로운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에서는 내용이 상대적으로 일목요연하게 배치될 것으로 보여,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일본역사의 시계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쉬워졌다는 평가도 가능하다.
    한국적 현실을 감안하면, 일본 전근대사 서술이 현행 교과서 수준보다 구체화・체계화될 것이라 보기는 힘들다. 중요한 것은 한정된 ‘재료’(교과서)를 가지고 어떻게 ‘요리’(교육)를 할 것인가이다. 보다 나은 일본사 교육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교사 대상 연수(재교육)의 실시가 절실히 요구된다. 그 이외의 정책적・제도적인 개선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교사-학생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질 좋은’ 개설서, 참고서의 활발한 집필도 병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system of four types of World History textbooks currently used in high schools comparatively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s of Japanese premodern history. Moreover, by examin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cently made public and the criteria of writing textbooks, this author studies how the descriptions of Japanese history will be changed or should be changed in newly published textbook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what needs to be supported institutionally as well as politically.
    The current curriculum stresses "The Regional World" and "Exchange and Trade." As a result, Japanese premodern history is not described within the context of a chronicle format, but is dispersed in different units. According to a content analysis, four different types of textbooks describe Japanese premodern history distinctly from each other. Meanwhile, there are not a few misconceptions or ambiguous explanations found. The title, which fails to capture the essence of a certain period, is also problematic.
    The current high school "World History" textbooks highlight Japan's image as "a culture receiver." But it is rather "unhistorical" to understand that all the elements of culture move in the same direction, thus we should also take note of either two-way or multilateral movements of culture and civilization. Also, all of these four types of textbooks describe the history of Japan as having developed not within the limited stage of East Asia but in the vast world. This is evaluated as having potential for pedagogical use.
    The core of the 2015 Curriculum, which was newly released, is to reduce learning content quite much in order to lessen the burden of learning. But if we examine only the history of Japan, we can see that neither the criteria of achievement nor the related elements of learning are reduced. Therefore, the textbooks to be published subsequently are also expected to maintain the amount of description. In the current textbooks, descriptions of Japan's premodern history are scattered. According to the new curriculum, the textbooks will arrange the contents rather more systematically. This can be evaluated from the position of learners. It will be easier to follow the flow of Japanese history by periods.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we can hardly expect that descriptions of Japan's premodern history will become more concretized or systematized than in the current textbooks. What is important is how we should "cook" (teach) with limited "ingredients" (textbooks). To teach the history of Japan better, it is absolutely and preferentially necessary to train (retrain) teachers. Aside from that, politic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should come nex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write "quality" introductions and reference books which teachers and students can both use eas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