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철학사의 탄생 ― 20세기 중국철학사 텍스트 성립을 중심으로 ― (The birth of the history of Chinse Philosophy in 20th century: Authors and Text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3.07
28P 미리보기
중국철학사의 탄생 ― 20세기 중국철학사 텍스트 성립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39호 / 129 ~ 156페이지
    · 저자명 : 양일모

    초록

    이글은 아시아 지역에서 만들어진 지역 이름을 단 철학 혹은 철학사의 불안정한 기원을 탐색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우선 중국에서 중국철학사의 탄생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서양철학과 대비되어 중국철학이 학문분과로서 탄생하고 사회적으로 권위를 확립해 가는 과정, 그리고 ‘철학’이라는 한자 번역이 중국어로 정립되고 중국철학사라는 이름을 단 저술이 성립하는 과정에서 야기된 혹은 사상된 문제들을 분석하면서 중국철학의 근대적 기원을 추적해 보고자 한다.
    명말청초 이래로 중국에 건너온 유럽의 선교사들은 필로소피를 중국에 소개했고, 理學, 性學, 格物窮理 등 중국의 학술 전통에 근거한 다양한 한자 번역어를 고안했으며, 智學, 愛智學 등의 의미를 포함한 번역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중국에서 필로소피의 번역은 20세기를 전후하여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자 번역어 ‘철학’으로 정착되었다. 일본으로부터 전래된 철학이라는 번역은 기원의 불온성으로 인해 청대까지의 왕조체제 하에서는 금지되었고 중화민국 성립 이후에야 정치적으로 복권될 수 있었다. 복권의 과정은 서양의 철학과 중국의 전통 학술을 등치시키는 방식이었다.
    량치차오를 비롯하여, 셰우량, 후스, 루마오더, 중타이, 펑유란 등 20세기 전반기에 중국철학사를 집필한 중국의 지식인들은 서양철학을 염두에 두고서 중국철학을 정립하고자 했다. 그들은 전통적 교육과 근대적 교육을 동시에 받았으며, 세대의 차이로 혹은 시대적 차이로, 전통과 근대 사이의 진폭의 차이를 드러내면서도 각자 근대적인 중국철학사의 텍스트를 만들어 냈다. 중국철학사라는 텍스트 정립 작업이 분과학문으로서 중국철학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서양철학을 의식하면서 중국의 지나간 철학사를 정립하는데 치중한 결과 현실과 미래를 위한 살아 있는 철학을 제시하지 못하는 곤경에 부딪혔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birth of Chinese Philosophy in the early 20th century, inquiring its instability of origin and establishment as a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First, I reviewed Chinese translations for Philosophy’ from late Ming dynasty, secondly searched for intellectual problems caused by building up the texts on A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Since 17th century Jesuit missionaries had devised various Chinese translations on their own terms for the missionary activities, based on the terminology of Confucianism. However, after the 20th century, their goods of idea was changed by the Japanese kanji, tetusgaku(哲學). But the 잭아, tetsugaku, was forbidden due to its impropriety of origin under the rule of Qing Dynasty,Several authors of A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Xie Wuliang, Hu Shi, Lu Maode, Zhong Tai, Feng Youlan, could not help being deeply conscious of Western philosophy, still using a term tetsugaku. Although their endeavors could be highly evaluated in the point of finding a possibility of Chinese philosophy, it could also be said their texts also ran into a predicament, because of the underlying dilemma of harmonizing the universality and the particularity, or the West and the Chinese nati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