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곡사 소장 典籍 연구: 사적기와 세조본 『고려대장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ublications Owned by Magoksa Temple: The Historical Record and the Woodblock-printed Tripitaka Koreana Published During King Sejo’s Reig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12
27P 미리보기
마곡사 소장 典籍 연구: 사적기와 세조본 『고려대장경』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41호 / 7 ~ 33페이지
    · 저자명 : 신은제

    초록

    본 논문에서는 마곡사 소장 전적을 분류하여 간략하게 소개한 뒤, 사적기와 세조본 『고려대장경』을 분석하였다. 마곡사 사적기에 의하면 마곡사는 13세기 전반 대대적인 정비를 거쳐 고려 후기 크게 성장하였고 이는 15세기까지 지속되었다. 16세기 들어 마곡사는 사세가 축소되었으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특히 대규모 화재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마곡사는 17세기 중반 이후 공주목의 후원과 인영 등 승려들의 노력으로 대대적인 중창이 이루어졌고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마곡사 소장 불교 경전 가운데에는 국내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고려대장경』 세조본이 3책 포함되었다. 3책은 『대방광불화언경』(주본) 66~70권 1책, 『불소행찬』 2~5권 1책, 『우바새계경』 6~7권 1책이다. 마곡사 세조본을 분석해보면 『고려대장경』 세조본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세조본은 책의 크기가 가로 29cm, 세로 40cm 내외이며 표지는 황지로 연화문이 능화로 제작되어 있고 경전명은 쌍곽 안에 필사되었다. 쌍곽 아래 함차가 표기되었다. 붉은 금색을 띠는 실로 5침 선장되었다. 내지에는 좌우 변란이 인경되지 않았다. 마곡사 세조본은 문헌에 기록된 순왜지와 교왜지로 인출한 경전의 잔본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briefly introduces the publications(jeonjeok, 典籍) owned by Magoksa Temple and analyzes the historical record(sajeokgi, 事蹟記) and the woodblock-printed Tripitaka Koreana published during King Sejo’s reign.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 of Magoksa Temple, Magoksa Temple was extensively renovated in the 13th century and continued to grow in the late Goryeo Dynasty period until the 15th century. In the 16th century, it became smaller and suffered damage particularly due to huge fires when Japan and Qing invaded Joseon Korea in 1592 and 1636 respectively. After the mid-17th century, it was rebuilt on a large scale to become what it is today, through the efforts of Buddhist monks including Inyoung and sponsored by Gongju-mok, one of Joseon’s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Buddhist scriptures that owned by the Magoksa Temple include 3 sets of the woodblock-printed Tripitaka Koreana published during King Sejo’s Reign. These consist of: one set of the Avatamsaka Sutra(The Flower Garland Sutra), Zhou Version of Volume 66~70; one set of the Buddhacarita, Volume 2~5; and one set of the Ubasaeo Gyesanggyeong, the First Tripitaka Koreana Edition, Volume 6~7. In Korea, there are only a few remaining woodblock-printed Tripitaka Koreana that were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This analysis of the woodblock-printed Tripitaka Koreana published during King Sejo’s reign owned by the Magoksa Temple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printed books of the period. The books are about 29cm in width and 40cm in length. Their covers are made of yellow paper and have lotus patterns created by using a pattern board called neunghwapan. The title of each scripture is transcribed on a title strip within a double square border called ssanggwak. Hamcha, an order based on the Thousand-Character Classic, is marked under the ssanggwak on each book. They are bounded with reddish-gold threads at 5 points. The inner papers have no lines called byeonran on the left sand right to mark the border around the sheet. The woodblock-printed Tripitaka Koreana pu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owned by Magoksa Temple seem to be the only remaining books of these venerated Buddhist scriptures that are recorded in the literature to be printed on sunweiji and gyoweiji, materials made out of Japanese mulberry pap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