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楡岾寺本末寺誌 』에 대한 연구- 「淸平寺誌」를 중심으로 -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Yu-jeom-sa-bon-mal-sa-ji: Focusing on ‘Cheong-pyeong-sa-ji’)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0.03
26P 미리보기
『楡岾寺本末寺誌 』에 대한 연구- 「淸平寺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24호 / 285 ~ 310페이지
    · 저자명 : 홍성익

    초록

    삼국시대에 불교가 도입된 이래 많은 사찰이 창건되었고, 해당 사찰에 대한 寺蹟記가 碑文이나 文獻을 통하여 정리되었다. 그러나 오랜기간 전란을 거치면서 사찰들은 폐사와 중창을 거듭하였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사적기 역시 피해를 입어 현재까지 온전히 전하는 예가 많지 않다. 따라서 사찰 단위의 연구는 그만큼 많은 한계성을 지닐 수밖에 없다.
    사찰들은 나름의 법맥과 사원경제를 갖고 경영되면서 사적기의 정리작업을 진행해 왔다. 이는 조선 후기에 들어 개별 사찰 또는 지역의 중심 사찰 단위로 寺誌가 활발히 편찬되었고, 이러한 업적은 매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中觀에 의하여 1635년과 1636년에 편찬되는 『金山寺寺蹟 』, 『大芚寺寺蹟 』, 『華嚴寺事蹟 』이 있고, 신경준 등에 의하여 『伽藍考 』, 『梵宇攷 』와 같은 사찰 종합사전류가 편찬되기도 하였다.
    강원지역에서 발간된 『楡岾寺本末寺誌 』는 『乾鳳寺本末史蹟 』과 함께 강원불교를 파악하는데 기본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이 글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유점사본말사지 』의 「淸平寺誌」는 별도로 편찬되어 강원지역 사지편찬의 선구적인 면모를 살필 수 있다. 『유점사본말사지 』는 대체로 14개의 항목을 제시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기 때문에 현재까지 이 자료가 가장 상세하다. 따라서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면 강원지역에 불교가 어떠한 형태로 전래되고 정착·변천되었는지를 연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청평사지」를 비롯한 『유점사본말사지 』에 대한 문헌적 연구가 시도된 바 없기 때문에 이번 연구에서는 이 寺誌가 어떠한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되고 있으며, 사료로서 어떠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를 서지학적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Many temples were constructed and wrote about corresponding temples were recorded in epitaphs or literature since Buddhism was introduced to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However, temples went through repetitively closed down and reconstruction because of a lot of wars, and the records were also damaged and not many of them still remain. Accordingly, there are a lot of limitations in studying temples. Temples have arranged their own records with own Buddhist root and economy. Therefore, historic books on individual temples and main temples in regions were actively published in the latter half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se have been used as very valuable materials. They include the series of include Geum-san-sa-sajeok, Dae-dun-sa-sajeok and Hwa-eom-sa-sajeok published by Junggwan in 1635 and 1636, and dictionaries about temples such as Beomwugo and Garamgo were published.
    Yu-jeom-sa-bon-mal-sa-ji published in Gangwon region and used as a basic material to study Buddhism in the region together with Geon-bong-san-ma-sajeok. In particular, ‘Cheong-pyeong-sa-ji’, that will be examined in the study presents the Gangwon area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history of temple since it was published separately. Yu-jeom-sa-bon-mal-sa-ji is the most detailed because it largely suggested 14 items and arranged them systematically. Accordingly, it will be possible to study how to introduce, establish and chang through critical analysis in Gangwon region.
    The curr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tent and historical value of Yu-jeom-sa-bon-mal-sa-ji describing Buddhism in Gangwon region and Cheongpyeongsa because the studies on Yu-jeom-sa-bon-mal-sa-ji including ‘Cheong-pyeong-sa-ji’ have not been conducted y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