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선사의 『선문염송집』 편찬과 임제종 양기파의 어록 (Compilation of 『Seonmunyeomsongjip(禪門拈頌集)』 by Suseonsa(修禪社) and Zen analects of Imje Yanggi-pa Sect(臨濟宗楊岐派))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03
46P 미리보기
수선사의 『선문염송집』 편찬과 임제종 양기파의 어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94호 / 1 ~ 46페이지
    · 저자명 : 조명제

    초록

    임제종 양기파는 남송 이후 선종계를 주도하였던 종파이다. 양기파를 대표하는 대혜종고의 간화선이 고려 선종계에 수용된 문제에 대해서는 적지 않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있다. 그러나 고려 선종계는 대혜만이 아니라 양기파의 공안선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특히 『선문염송집』에 양기파의 어록이 폭넓게 활용되었으므로 양기파가 고려 선종계에 어떻게 수용되었는지가 잘 드러난다.
    『선문염송집』에 인용된 양기파 선승들의 착어는 인용 횟수로 보면 죽암사규(144), 보령인용(128), 숭승서공(112), 남화지병(105), 송원숭악(105), 불안청원(102), 상방일익(99), 오조법연(49), 밀암함걸(45), 공수종인(45), 불감혜근(43), 목암법충(30), 백운수단(16), 한암혜승(12), 무용정전(6) 등의 순이다. 대혜종고와 원오극근의 착어를 포함하면『선문염송집』에서 양기파의 착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송대 종파 가운데 가장 크다. 또한 양기파의 어록이 많이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양기파의 착어는 逸書 자료로서의 가치가 적지 않다.
    인용 횟수로 보면, 오조법연 - 원오극근 - 대혜종고로 이어지는 계보, 곧 양기파의 주류를 이루었던 선승들의 착어가 『염송집』에서 기본적으로 중시되었다. 그러나 보령인용, 상방일익, 숭승서공 등 양기파의 주류가 아닌 선승들의 착어가 『선문염송집』에 많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대혜파가 남송말 이후의 선종계를 석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혜파의 착어가 적은 데에 비해 호구파의 착어가 더 많이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경향은 수선사에서 후대와 같이 간화선 일변도로 양기파의 공안선을 수용하지 않았고, 아울러 양기파의 정통성을 특별히 의식하지 않았던 것과 관련된다.
    한편, 양기파 착어의 내용과 성격을 보면, 송대 공안 비평의 흐름과 마찬가지로 염고보다 송고가 주류를 차지하지만, 다른 종파에 비해 그 비중이 압도적이다. 또한 인용된 착어 가운데 상당과 같은 법어의 비중이 대단히 크다. 특히, 착어의 내용은 전부 공안 비평에 대한 것이며, 간화선과 관련된 내용이 전혀 없다. 이러한 특징은 대혜의 착어에서도 확인되지만, 양기파의 착어 전체를 분석해보아도 마찬가지라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더욱이 대혜파, 호구파가 남송의 선종계를 석권하면서 간화선이 당시 남송의 선종계에서 성행되었지만, 이들 문파의 착어에서도 간화선과 관련된 내용이 전혀 없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수선사가 『선문염송집』을 편찬한 것은 간화선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공안 비평이라는 문자선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경향은 공안 주석서가 13세기말까지 지속적으로 저술되고 유행하였던 사실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Seonmunyeomsongjip(禪門拈頌集)』 is a Buddhist scripture compiled by Suseonsa and shows the originality of Korean Zen Buddhism. It also is a basic text that tells us how Suseonsa understood the Zen Buddhism of the Sung Dynasty and how it accepted the Zen of Discourse. As a result of analyzing and arranging comment on a catechetic question for zen meditation listed on 『SeonmunYeomsongjip』 on a whole scale, these could be known as below.
    First. Most quoted Seon master in comment on a catechetic question for zen meditation is Jukam-Sagyu(144), Boryung-Inyong(128), SeungSeung-Seogong (112), Nnmwha-Jibyung(105), Songwon-Sungak(105), Bulan-Chongwon(102), Sangbang-Ilik(99), Ojo-Beobyeon(49), Milam-Hnmgeol(45), Gongsu-Jongin (45), Bulgam-Heygeun(43), Mokam-Beobchung(30), BaekamSudan(16), HanamHeisung(12), Muyongjeongjun(6) etc.
    Second, 『SeonmunYeomsongjip』 is the book Suseonsa focused on organizing academic zen after Kaifeng Era. Unlike previous studies, zen of Suseonsa is deeply related to understanding of Gongan reviews. In other words, it is inappropriate to evaluate acceptance of zen meditation with given topic too highly.
    Third, comment on a catechetic question for zen meditation of Seon masters of Yanggi-pa Sect listed on 『SeonmunYeomsongjip』 is mostly material which is not extant now. Because such material let reorganize Zen analects of Yanggi-pa Sect in South Song, it has a value as a material to study meditation school history in Song dynasty. Because comment on a catechetic question of Yanggi-pa Sect listed on 『SeonmunYeomsongjip』 edited by Suseonsa is basically associated with understanding of A work on zen talks, it is far from essential character of Yanggi-pa Sect before A work on zen tal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