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이클 세스와 한국사 교과서의 고대사 해석 비교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Perspectives on Ancient Korean History According to Michael Seth’s A History of Korea and A Korean History Textbook Published by Kumsun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7.09
24P 미리보기
마이클 세스와 한국사 교과서의 고대사 해석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0권 / 3호 / 117 ~ 140페이지
    · 저자명 : 나상훈

    초록

    이 글에서는 마이클 세스의 저서들 중 2011년에 출판된 『한국사: 고대에서 현재까지(A History of Kore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사에 대한 외국인의 역사 서술을 고찰했다. 외국인 학자에 의해 가장 최근에 출판되었으며 한국사 개론의 성격을 지닌 이 책은 과거부터 최신까지의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역작일 뿐 아니라 세계사적 관점으로 한국사를 서술한 독특한 책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마이클 세스와 같은 미국 학자의 저서를 토대로 한국사를 살펴보려는 것은 그의 학문이 국내 학자의 학문보다 더 뛰어나서가 아니라, 그를 통해 한국을 더욱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기 위해서이다.
    마이클 세스는 고조선과 한군현, 고구려와 발해, 그리고 가야에 대한 역사 해석을 교과서로 대표되는 한국사 통설과 다르게 서술하고 있다.
    첫째, 교과서는 고조선이 현 대한민국의 조상이라는 것을 아무런 이유 없이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이고 고조선의 역사를 서술한다. 한편, 마이클 세스는 신라가 삼국통일을 하기 이전에는 독특하게 한국적이라고 할 수 있는 통일된 집단이나 일관된 문화가 존재했다는 역사적 증거를 발견할 수 없기에 고조선이 현 대한민국의 조상이 될 수 없다고 밝힌다.
    둘째, 교과서는 한군현이 중국의 선진 문물을 한반도 일대에 전해주는 창구 역할을 한 것을 인정하면서도, 고구려의 성장을 저지하고 동예와 옥저를 통제했으며, 고구려의 영토 확장으로 인해 쫓겨나 소멸된 존재로 묘사하여 일부 긍정적인 면과 여러 부정적인 면을 기술했다. 반면에, 마이클 세스는 한군현을 통해 비로소 한반도가 동아시아 문명권에 연결될 수 있었다고 해석함으로써 한군현의 긍정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셋째, 교과서는 고구려의 역사뿐 아니라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의 역사도 자연스럽게 한국사의 일부로 인정하고 고구려와 발해의 역사를 설명한다. 한편, 마이클 세스는 지리적 관점에서 그들의 영토가 한반도 밖에 있었고, 언어적 관점에서 그들의 언어가 한반도의 언어와 매우 달랐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또한 종교적 관점에서도 고구려는 한반도 계통의 부족민이 아니라 스텝지대 유목민 계통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음을 진술한다.
    마지막으로, 교과서가 가야와 왜(倭)를 분명히 구분하여 서술한 반면에, 마이클 세스는 가야가 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내용의 문장으로 가야를 소개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정치적 발달 과정의 비슷한 패턴을 근거로 왜와 가야는 같은 민족 집단이었을 가능성도 지적한다.
    대체적으로 교과서는 한국 고대사의 기존 내용에 대하여 큰 비판의식 없이 많은 사실을 관습적으로 수용하고 과거의 사실을 자세하게 기술한 내용이 많은 반면에, 마이클 세스는 과거의 사실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현실적인 문제의식을 가지고 제3자의 눈으로 한국 고대사를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introduce a Western historical view on ancient Korean history from a history book written by Michael Seth in contrast to a Korean historical view illustrated in Kumsung’s history textbook. Seth’s book, A History of Korea: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was published in 2011. It is one of the most recent introductory works on Korean history, which is comprehensive in terms of covering various research and studies accumulated from the early 1900’s up to 2008. It is also distinctive in terms of narrating Korean history from the wider regional and global perspective.
    Seth takes a different position from that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which represents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Korean people’s 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records about ancient Joseon, the Chinese commanderies, Goguryeo, Balhae, and Gaya. For instance, while the textbook admits that the Chinese commanderies played a role as a door for introducing advanced Chinese civilization to Korean peninsula, it mostly describes the commanderies as a stumbling block for Korean states to progress. Seth, however, sees them as a cultural bridge by saying that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anderies, the various peoples of the peninsula became involved in a web of trade and cultural ties that connected them with the vast empire of the Han.” On the whole, the textbook accepts the established historical views on ancient Korean history and delivers much information in detail without critically reconsidering it. On the other hand, Seth tries to take a step back and critically examine the previously accepted interpretation of ancient history, which shows his effort to stimulate “a dialogue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in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