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문학사 서술과 문학사 교육의 거리 (The Distance Between Description and Educ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0.04
44P 미리보기
고전문학사 서술과 문학사 교육의 거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63호 / 77 ~ 120페이지
    · 저자명 : 이민희

    초록

    100여 년 문학사 서술의 역사에서 가장 체계적이고 방대하며 거시적 이론과 미시적 작품 분석을 고루 갖춘 문학사로 평가받는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이후로는, 역설적이게도, 사적 체계를 갖춘 문학사 서술이 쇠퇴하고 있다. 민족문학론에 편승한 문학사 서술의 시대는 저물고, 교육을 위한 도구로서의 문학사 교육이 주목받는 시대에 양자 간 거리를 진단하고, 양자의 관계를 새롭게 설계하는 일이 긴요한 과제다. 이에 국내 고전문학사 서술과 문학사 교육 양 측면에서 영향력이 큰 『한국문학통사』와 2015 개정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 내 문학사 단원 서술 내용을 중심으로 양자의 거리를 살폈다.
    현행 『문학』 교과서에 교술 포함 4분법에 의거한 문학 갈래 흐름 설명, ‘이면적 표면적 주제’, ‘영웅의 일생 구조’ 등을 활용한 교육 내용 설계 자체는 『한국문학통사』의 영향력을 반영한다. 그러나 『한국문학통사』에서 보이는 주관적 서술은 문학사 교육 교재로서 담보해야 할 객관성, 보편성과는 거리가 있다. 『문학』 교과서 내 문학사 교육은 갈래적 특성 파악 위주 학습활동으로 치우쳐 있고, 2천 년 문학사를 너무 소략히 다루고 있어 비현실적이며 비교육적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시대구분에 따른 사적(史的) 이해 교육이 부재하고, 불명확한 용어나 개념어 사용으로 인한 혼란도 문학사 교육에서 바로잡아야 할 과제다.
    문학사의 효용가치와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는 오늘날, 이미지와 표현, 디지털 리터러시를 적극 활용한 문학사 서술과 문학사 교육의 접점 찾기가 필요하다. 문자 위주의 민족주의 문학사 서술과 교육에서 탈피해 다원체계를 지닌 문학사 서술과 교육이 요청된다. 다원체계는 작품과 실재의 파악뿐 아니라 독자의 수용에서도 적극 요구된다.

    영어초록

    In the history of literary history of 100-year, about 90 national literary history have appeared. Since Cho Dong-il's Korean Literature History(韓國文學通史)(1982~1988),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systematic, massive, and macro-theory and micro-art work analysis, has appeared, paradoxically, there is no more works of literary history. In the 1950s, Kang Bum-woo's Korean Literary History for Education(1956) appeared in the educational literature. Recently, the proportion of literary history for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relatively.
    The era of description for literary history riding on the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goes on, and instead of it, the era of literary history as a tool for education comes.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distance between both and to design a new one.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 descriptions of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4th edition)(2005) and literary history units in the “Literary” textbooks(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are highly influential in both aspects of Korean Classical literary history description and literary history education, it is required to find a clue.
    In the current “Literature” textbook, explaining the flow of literary genre change based on the four-genre method and dealing with the 'teaching(敎述)' genre itself is the influence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The gap between the subjective argument shown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the provision of objective knowledge to be secured as a teaching material for literary history is a task to overcome.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is focused on learning activities focused on grasping characteristics of genres, and dealing with the literary history of 2000 years too briefly is unrealistic and non-educational.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is only staying on education focused on knowledge and memorization. In addition to the absence of historical understand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the periods, the use of ambiguous terms and conceptual words is causing confusion.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based on national literature, which focuses on characters, ignoring learners' digital literacy has its limitations.
    Accordingly, this paper emphasized the need of description and educa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ith a multidisciplinary system(complex) for future-oriented literary history and education. Today, as the utility value and paradigm of literary history are changing, This paper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by actively utilizing images and digital literacy. In literary history, the realization of the multidisciplinary system is required not only in grasping works and reality, but also in the understanding of literary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