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사회로의 역사적 이행과 개성 가족사(史) - 대하소설 『미망』을 중심으로 (The historical Transition to Modern Society and Family History of Kaesong -Based on the saga "Mima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4.12
38P 미리보기
근대사회로의 역사적 이행과 개성 가족사(史) - 대하소설 『미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29호 / 363 ~ 400페이지
    · 저자명 : 김재건

    초록

    박완서의 대하소설 『미망』(1990)은 조선말에서부터 6·25전쟁기까지 4대에 걸친 가족사(史)를 통해 근대사회로의 역사적 이행을 생생하게 재현한 작품이다. 이 과정에서 주인공 개성 상인 전처만네 사람들은 역사적 격변기를 통과하며 저마다의 근대적 욕망과 국난의 위기 가운데 부여된 시대적 과제를 마주한다. 역사와 개인의 삶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가족애’는 소설의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주제로서 주목을 요한다. 이 글은 『미망』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근대사회로의 이행 속에서 가족 간의 사랑이 제국의 논리에 포섭되지 않고 어떻게 유지될 수 있는지 질문한다. 소설에서 가족애의 실천은 혈연 중심의 전통적인 가족 개념의 범주에만 머물러 있지 않고 우연적이면서도 확장성을 가진다. 이러한 주제의식은 주인공들이 삶의 터전으로 삼은 개성 지역에서 출발하기에 이를 2장에서 주로 분석했다. 이 소설에서 개성은 고려의 옛 수도이자 상업을 숭상하는 정신을 갖고 있고 남다른 배타적 문화로 인해 도가가 발달한 장소이다. 이러한 정신과 문화는 정치와 계층에 연연하지 않고 그 자신의 상업적 신념을 묵묵히 지켜나가는 전처만 일가의 정체성과 연결된다. 3장에서는 전처만이 죽고 그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태임과 종상이 개성 지역에서 어떤 근대적 자본가의 역할을 담당하는지 주목했다. 주인공들은 지역에서 성공하는 자본가로 도약하는 동시에 일제시대를 겪으며 시대적 과제에 천착한다. 이때 주인공 종상의 정체성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 ‘민족주의 자본가’라는 정체성은 적절치 않다는 데에 주목했다. 기실 그가 처숙부(‘전이성’)인 매판자본가와 반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가 형성한 자본이 민족국가의 범위에 머물러 있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종상을 민족주의자로 독해할 경우, 그와 태임이 갖고 있는 복합적이고 양가적인 식민주체의 정체성을 정치하게 밝힐 수 없다. 4장에서는 주인공 태임이 주도해나가는 서사에 주목하여 그가 적극적으로 가족 공동체를 구성해내는 행위가 뜻하는 바를 밝혔다. 일제시기 가족구성원 간의 이질적인 신념과 정체성 및 그 차이와 긴장을 탐문하는 것은 대일협력과 저항이라는 전통적인 이항대립을 넘어설 수 있는 방법론이다. 태임은 이러한 차이와 대립을 인식하는 가운데 전처만으로부터 이어져내려오는 가족 공동체에 대한 적극적인 헌신과 사랑을 계승·발전시킨다.

    영어초록

    Park Wan-suh's epic novel "Mimang" (1990) vividly depicts the historical transition to modern society through a family history spanning four generation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o the Korean War. In this process, the protagonists, the Jeon Cheo-man family of Kaesong merchants, face their own modern desires and historical challenges amidst periods of national crisis. "Family love," which emerges at the intersection of history and individual lives, demands attention as a central theme of the novel.
    This essay examines "Mimang" to question how familial love can be maintained without being subsumed by imperial logic during the transition to modern society. In the novel, the practice of family love is not confined to the traditional blood-centered family concept but possesses both contingency and expansiveness. This thematic consciousness originates from the Kaesong region where the protagonists have settled, which is primarily analyzed in Chapter 2.
    In this novel, Kaesong is portrayed as the former capital of Goryeo, with a spirit that reveres commerce and a place where large merchant group has developed due to its unique exclusive culture. This spirit and culture are connected to the identity of the Jeon Cheo-man family, who steadfastly maintain their commercial beliefs without being swayed by politics or class.
    Chapter 3 focuses on how Tae-im and Jong-sang, who inherit Jeon Cheo-man's spirit after his death, take on the role of modern capitalists in the Kaesong region. The protagonists rise as successful local capitalists while grappling with the challenge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is noted that identifying Jongsang as a 'Indigenous capitalist' is inappropriate, as he does not antagonize his uncle-in-law(Jeon Yi-seong), a comprador capitalist, and his capital formation extends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nation-state. Moreover, interpreting Jong-sang as a nationalist would prevent a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and ambivalent colonial subject identities of both Jong-sang and Tae-im.
    Chapter 4 focuses on Tae-im's narrative, elucidating the significance of her active efforts in constructing a family community. Exploring the heterogeneous beliefs, identities, differences, and tensions among family memb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rovides a methodology to transcend the traditional binary opposition of collaboration with and resistance against Japan. Tae-im recognizes these differences and conflicts while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active dedication and love for the family community passed down from Jeon Cheo-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