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의 음악사적 조명 (The Stone Pagoda(Pudo) of Pongams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7.12
33P 미리보기
봉암사 지증대사 적조탑의 음악사적 조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39호 / 31 ~ 63페이지
    · 저자명 : 김성혜

    초록

    봉암사(鳳巖寺)는 경상북도 문경군(聞慶郡) 가은읍(加恩邑) 원북리(院北里)에 있는 절이다. 이 절은 881년에 건립되었고, 절 안에는 882년 12월에 열반한 통일신라 승려인 지증대사 도헌(智證大師 道憲;824-882)의 부도(浮屠)와 탑비(塔碑)가 있다. 특히 이 부도에는 통일신라시대 음악사 연구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악상이 있어 음악학계에서 주목해 왔다.
    그런데 지금까지 음악학계에서 소개된 이 부도의 탁본자료 가운데 잘못 판독한 부분이 있으며, 제시된 도상 이외 또 다른 가무악상은 전혀 소개되지 않았다. 그리고 부도의 건립시기와 탑비의 건립시기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같은 시기로 여겨왔다. 따라서 본고는 종래의 연구 성과 중에서 오류를 수정하고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부도의 현상조사를 3차례 실시하여 도상을 파악하였고, 비문의 내용을 검토하여 부도의 건립시기를 도출하고자 했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증대사 부도의 건립시기는 선사가 입적한 882년 12월 18일에서 1년 후에 장사지낸 883년에 세워진 것으로 보고자 한다.
    둘째, 음악학계에서는 지증대사 부도에서 주악상이 새겨진 부분을 대부분 탑신으로 보았으나 탑신 아래쪽의 중대석이며, 중대석 외에 중대석 받침에도 가릉빈가의 가무악상이 별도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대석에 나타나는 주악상은 비천상으로서 5면에 나타나며, 연주된 악기는 적(횡적)․생․피리․비파․박판으로 편성되었다. 따라서 지금까지 음악학계에서 중대석에 마주보고 있는 ‘공양상’을 타악기 동발을 연주하는 ‘동발주악상’으로 판독한 부분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중대석 받침에 새겨진 가릉빈가 도상 8면 가운데 4면은 笛(횡적)․요발․피리․박판의 연주가 보이며, 2면에는 춤추는 모습이 있고, 또 2면에는 합장한 채 노래하는 모습의 가릉빈가가 있다.
    이 부도의 중대석과 중대석 받침에 주악 비천상과 더불어 가무악의 가릉빈가상이 각각 조각되어 있어 통일신라음악사 및 불교음악사 연구 그리고 고대 무용사에서 차지하는 문화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판단한다.

    영어초록

    Pongamsa is a Buddhist temple located at Wŏnbung Village of Kaŭn Town, Mun'gyŏng County, North Kyŏngsang Province. It was erected in 881. Inside the temple are found the stone pagoda called pudo 浮屠 and the monument dedicated to the great Buddhist priest, Chijŭng Tohŏn 智證 道憲(824-882), who attained Buddhahood in the Unified Silla era. The pudo, in particular, has drawn the attention of the music academy on account of its chuaksang 奏樂像, images of performing music, which provide precious information on the music history of the Unified Silla era.
    However, part of the rubbed copy of the pudo is misinterpreted and the other chuaksangs are not introduced at all. In addi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pudo and the monument were built in different periods, they have been believed to be constructed in the same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lement and correct the mistakes of former studies.
    As a result of three expeditions to the site of pudo from the year 2000 to 2002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images and to deduce the right period of the construction of the pudo, the following is revealed; First, the pudo is assumed to have been built between December 18th, 882 when the great priest passed away and 883, when his funeral ceremony was carried out.
    Second, It has been generally believed among musicologists that the chuaksangs are engraved in the body of the pudo. But it is actually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pagoda called chungdaesŏk 中臺石, below the body of the pudo. Besides, it’s confirmed that there are other chuaksangs, the images of Karŭungbin'ga 迦陵頻伽, in the support of the chungdaesŏk.
    Third, the chuaksangs on the five sides of the chungdaesŏk are pich'ŏnsangs 飛天像, images of a flying fairy. There are five instruments, chŏk 笛 (bamboo flute), saeng 笙(mouth organ), p'iri 觱篥 (cylindrical oboe), pip'a 琵琶 (short lute) and pakp'an 拍板 (clapper). The facing images of offering to Buddha (kongyang 供養), a person who offers food to Buddha, in the chungdaesŏk have been mistaken for tongbal 銅鈸 (bronze cymbal) chuaksang, an image of a performer who plays a bronze cymbal.
    Fourth, Karŭungbin'ga chuaksangs are engraved on the eight sides of the support of the chungdaesŏk, on the four of which appear musical instruments, such as hoengjŏk (transverse flute), tongbal, p'iri, pakp'an, on the two of which dancing Karŭungbin'gas and the last two of which singing Karŭungbin'gas with its hands clasped.
    The pudo is invaluable for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Unified Silla’s music, of the Buddhist music and of the ancient dancing on account of the performing music Karŭungbin'gas as well as performing music pich'ŏnsangs on the chungdaesŏk and the support of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