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갈등 요인으로서의 역사적 사실의 오인과 왜곡 : 조선인 강제동원 문제를 중심으로 (Misrepresentation and Distortion of Historical Facts as a Factor in Historical Conflict: Focusing on the Korean Forced Labor Issu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4.07
27P 미리보기
역사갈등 요인으로서의 역사적 사실의 오인과 왜곡 : 조선인 강제동원 문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문화연구 / 91호 / 187 ~ 213페이지
    · 저자명 : 한혜인

    초록

    본 연구는 강제동원 문제에서 역사 갈등의 요인이 되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오인과 왜곡에 관하여 고찰했다. 조선인 강제동원이 일본 정부의 책임이라는 관점에서 국가총동원법을 근거로한 국민징용령 등을 앞세워 주장해 온 것을 역으로 이용하여, 일본 정부는 조선인에 대한 조선 외 지역으로의 노무동원의 편법적, 비법적인 요인을 소거하고, “국가총동원법에 의한 국민징용령에 따라 징용된 노동자”로만 규정하여 전시노동은 ILO가 정하는 강제노동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본정부는 용어의 통제를 통해 역사적 사실에 대한 오인을 유도하고, 그를 기반으로 국제법적을 기준으로 전쟁을 ‘보편’적 상황으로하여, 강제동원이 ‘합법’이라는 것으로 유도했다.
    본 연구는 그간의 연구가 놓치고 있는 식민지 조선에서 조선 내에서의 전시노무동원 체제와 일본 본토로 이동하는 노무동원의 차이에 대해서 고찰하여, 일본제국이 식민지 지배와 전쟁 수행에 있어서 일본제국이 만들어 놓은 불완전한 ‘국민’이었던 식민지민들은 ‘합법’과 ‘보편’에서 어떻게 예외적 상태에 놓여지게 되는가, 그리고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비인권적 상황에 놓이게 되는가를 강제동원 노동자 동원 정책을 통해 밝히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misconceptions and distortions about historical facts that contribute to historical disputes in the issue of the forced mobilization of Koreans. The Japanese government, by taking advantage of the fact that the victims have been claiming the coercion of Koreans by the state through the National Conscription Order based on the National Mobilization Law from the viewpoint that the forced mobilization of Koreans was the responsibility of the Japanese government, erased the convenience and non-legal factors that allowed Koreans to be used for labor mobilization outside of Korea. The Japanese government has conversely taken advantage of the fact that the term "forced labor" is defined as "workers recruited under the National Conscription Decree based on the National Mobilization Law," claiming that wartime labor does not fall under the category of forced labor as defined by the ILO. Through the control of terminology, the Japanese government induced misconceptions about historical facts, and based on these misconceptions, made the war a "universal" situ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as if forced mobilization was "legal.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artime labor mobilization system in colonial Korea and labor mobilization moving to mainland Japan, which previous studies have missed, and examines how the colonizers, who were imperfect "nationals" created by the Japanese empire in the colonial rule and execution of the war, were moved from "legal" and "universal" exceptional status, and how they are placed in non-human rights situations under such circumstances, through the policy of forced mobilization labor mob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