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퇴계의 시대성찰과 선비의식 (Toegye’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he Seonbi(士) Spri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4.12
33P 미리보기
퇴계의 시대성찰과 선비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25호 / 319 ~ 351페이지
    · 저자명 : 정순우

    초록

    16세기, 퇴계의 출현은 조선의 기존의 선비상에 큰 변화를 몰고 왔다. 퇴계는 학문의 최종 목표를 ‘성인聖人으로 못 박았다. 그는 송대 신유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공부론을 조선 사회에 적합한 형태로 재구성하였다. 송대의 성인담론은 당대 이후 유자들의 공부론에 깊은 영향을 끼친 불교의 ‘성불成佛’ 사상에 촉발 받았고, 성인의 경지(sagehood)란 소소의 현자들의 몫이 아닌, 학인들이 수양 행위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 현실적인 가능태임을 알려 주었다. 퇴계는 정자와 주자의 공부론을 한층 심화시켜, 학인으로서의 선비란 ‘내성內聖’의 상태를 추구하는 인간, 즉 참된 인간이 되기 위한 ‘공부하는 존재(homo academicus)’라는 인식을 조선조 사회에 정착시켰다. 퇴계는 그의 이학을 통해 선비란 나와 타인의 분별을 넘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를 찾는 학문적 노력을 하는 자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선비란 성인이라는 도덕적 완성태를 향해 길을 떠난 구도자로, 마음을 항상 경의 상태로 두어 공동선을 실현하기 위해 공부하는 자라는 것이다. 도한 퇴계는 선비란 옛 학문을 단순히 ‘의양依樣’하는 자가 아니라, ‘의양’을 통해 마침내 스스로의 철학을 성취하는 ‘자득自得’의 상태에 이르러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선비상은 인간에게 도덕적 각성만을 끝없이 요청하는, 약간은 무겁고 둔중한 이데올로기가 될 우려도 있다. 조선 후기 이래 지금까지 우리는 퇴계의 사상에서, 인간의 도덕률과 윤리의식에 정초한 ‘합리적인(Rational) 선비’상을 찾는 것에만 노력을 기울였다면, 이제는 인간의 진솔한 정감과 감성을 승인하는 ‘사랑스런(Loving) 선비’상을 그의 사상 속에서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퇴계의 삶 속에서는 딱딱한 도덕군자로서의 모습만이 아니라, 시와 예술을 사랑하는 감성적이고 정감적인 선비상도 함께 자리하고 있음을 드러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entrance of Toegye in the 16th Century Joseon brought a huge change in the existing image of seonbi. Toegye pinned down “becoming sage” as the final goal of learning. He reconstructed the idea of self-cultivation suggested by the Neo-Confucianists of the Song dynasty to a form appropriate for Joseon society. He also extended Zheng zi and Zhu Xi’s study of self-cultivation. What he established in Joseon society was the understanding that seonbi is a being who seeks after the state of “inner sagehood”. Namely, seonbi is a “being which studies (homo academicus)” with a goal of becoming a genuine human being. Through his principle-centered philosophy, Toegye thus confirms that seonbi is to strive academically for discovering the universal value that transcends the differentiating of the self and the other.
    However, such image of seonbi could end up as a dull and burdening ideology which ceaselessly demands a moral awakening. Ever since the late Joseon period, we have engrossed ourselves in extracting the image of “rational seonbi” based on a moral law and the sense of ethics from Toegye’s thoughts. Now we should turn to look for an image of a “loving” seonbi that recognizes the sincere human emotion and sensibility in his philosophy. There lay also the warm and affectionate seonbi that loved poetry and arts in Toegy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