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淸初 朱彝尊 題畵詞 고찰 - ‘다시쓰기’로서의 ‘題畵’의 표현 양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Zhu Yizunʼs Tihuaci(題畵詞) in Early Qing Dynasty : Focusing on tihua(題畵) as a rewriti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4.03
38P 미리보기
淸初 朱彝尊 題畵詞 고찰 - ‘다시쓰기’로서의 ‘題畵’의 표현 양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95호 / 83 ~ 120페이지
    · 저자명 : 김하늬

    초록

    “시를 그림처럼, 그림을 시처럼” 창작하는 것을 추구하는 창작론이 발전하는 등, 동서양을 막론하고 예술사에서 문학과 미술은 그 표현 방식은 다르지만 세계를 모방하고 재현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목표를 가진 예술이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해왔다. 중국문학사에서 ‘題畵’는 일단 그림이 존재한 뒤 그것에 근거하여 문학작품을 창작하는 것으로, 화면의 시각 이미지를 문학적 텍스트로 변환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어떠한 사물에 대해 화가가 1차적으로 해석을 하여 창조한 창작물에 文人이 다시 2차적 해석을 더한 것으로, 매체가 변환하는 과정에서 작자의 ‘재해석’이 작용한 일종의 ‘다시쓰기’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본고는 明末淸初 시기 인물화 기술의 발전과 예술품을 감정하고 토론하는 감상문화의 발달, 詞體의 부활 등 미술사와 문학사, 사회경제사적 변화와 맞물려 청대 제화사가 극성기를 이루게 된 것에 주목하고, 淸初 詞壇의 대표 인물 중 하나였던 朱彝尊의 제화사를 원작 그림을 재해석하여 ‘다시쓰기’한 결과물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해 보았다. 제화사의 창작이 곧 그림과 관련된 인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작자와 그림의 원작자, 혹은 작자와 그림의 소유주 간의 소통 행위였으며, 순간을 포착하여 가시적으로 재현한 회화에서는 이야기할 수 없는 시간의 흐름과 감정, 시각 이외의 감각, 의론 등을 ‘채워 넣기’하여 작자가 ‘다시쓰기’한 것임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Regardless of the Orient and the West, literature and art have continued to form profound relationship and developed together in the art history. One example is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e theory to pursue "poems like paintings, paintings like poems." "Tihua" refers to creating a literary work based on a painting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t is an act of converting a visual image on the screen into a literary text. After an artist creates a painting through his or her primary interpretation of a certain object, a literary figure will add his or her secondary interpretation to the creation. It is a kind of "rewriting" with the author's "reinterpretation" working in the process of medium convers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peak period of tihuaci during Qing Dynasty due to the interlocking changes among art, literature, and socioeconomic history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figure painting techniques and the appreciation culture to appraise and discuss works of art and the revival of ci in late Ming and early Qing, examining tihuaci by Zhu Yizun, who led the citan(詞壇) in early Qing, in the aspect of "rewriting." The study would explain that the creation of tihuaci was an ac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author and the owner of the painting or between the author and the artist of the painting and that the author reinterpreted what the painting could not tell as a capture of the moment through "filling" in his tihuac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