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後期 『萬德寺志』의 撰述과 性格 (The Compilation of Mandeuksaji(『萬德寺志』)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Late Choson Dynas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08.11
36P 미리보기
朝鮮後期 『萬德寺志』의 撰述과 性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28호 / 77 ~ 112페이지
    · 저자명 : 오경후

    초록

    『만덕사지』는 만덕사(백련사)와 관련된 일련의 사실들을 면밀한 고증을 통해 찬술하였다. 다산은 사지 전권을 감정하는 소임을 맡았고, 그와 사제의 인연을 맺었던 아암 혜장을 비롯한 그의 제자들이 편집과 교정을 맡았다. 다산은 유배시기 동안 강진에서 그들과 폭넓은 교유를 가졌고, 학문을 가르친 스승이기도 하였다. 그 영향은 사지찬술에까지 이어졌다. 강목체로 구성되어 있고, 찬술방식 역시 일반사의 그것과 차이가 없다. 찬자들은 한국불교사에서 대표적인 신앙결사였던 고려 중후기 백련결사의 인물들을 중심으로 찬술하였다. 그들은 흩어진 기록들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불교사적 의미를 밝혔다. 오랜 시간이 흘러 수집이 용이하지 않았고, 불교에 대한 탄압과 소외는 여전하였지만, 불교사 복원과 만덕사의 역사적 가치를 강조하는데 소홀하지 않았다. 그들은 고려시대 자료에 대한 오류를 바로잡았고, 사라질 위기에 처한 자료를 수록하여 보존하고자 하였다. 찬자들은 동시대의 만덕사가 지닌 위상과 가치 역시 강조하였다. 그들이 찬술했던 조선시대 만덕사의 8대사는 조선후기 불교계에 유행했던 선교학의 대가들이었다.
    8대사는 소요 태능의 문손들로 청허 휴정의 의발을 전수받은 이후 선교학의 종원임을 표방하고자 했던 대흥사의 종사나 강사로 손꼽히는 이들도 있었다. 『만덕사지』는 취여 삼우가 조선후기 만덕사를 중흥시킨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 수백 명의 대중들이 그의 화엄학 강의를 듣고자 운집했다고 한다. 그 가운데는 글을 몰랐던 화악 문신도 있었다고 한다. 이후 만덕사는 중흥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선교학에 조에가 깊은 승려들이 배출되었다. 비록 조선시대의 만덕사는 대흥사보다는 그 사세가 크게 낙후되었지만, 걸출한 인물들의 배출은 뒤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대흥사가 선교학의 종원을 표방한 것은 만덕사 승려들의 기여 또한 적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결국 『만덕사지』의 편찬은 전란이후 자주적 역사인식과 편찬의 소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자국사에 대한 독자적 인식과 정체성 강조는 우리나라 불교사에 대한 적극적 인식으로 이어져 광범위한 자료수집과 면밀한 고증을 거쳐 객관적 찬술을 시도한 것이다. 이것은 탄압과 소외로 망실된 불교사를 복원하는 역사적 의의도 지니고 있다.

    영어초록

    Mandeuksaji(『萬德寺志』) was the Documentaries into which Dasan(茶山, Chong Yagyong) compiled a series of historical facts about Mandeuksa temple, alias Baekryunsa(白蓮寺, temple), through his reliable and closed ascertainment of historical research in connection with the temple. While Dasan played a role of fair and cautious supervisor on the whole book, his pupils and followers, including the priest A-am Hae-jang(兒菴 惠藏), edited and revised the Documentaries. During his periods of exile and demotion, Dasan cultivated close friendship with them, and led them to promote several studies at the Ganjin(康津). The after-effects of such a intimate friendship between Dasan and them or such their developmental scholarship caused the compilation of Mandeuksaji, finally.
    Mandeuksaji was consisted of Annotated Account. Accordingl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documentaries and a general historical book in editing or compiling form. Editors by Whom Mandeuksa was written, focused on several participants who took part in BaekryunGulsa(association of White Lotus) through the whole Korean Buddhist History during the middle and latter period of Goryeo Dynasty. They gathered historical sources, which had scattered far and wide, and sought to find and interpret the hidden meaning of Korea buddhist history. Although it was uneasy for the editors to gather historical material or source about Mandeuksa, as well as there is suppression of Choson Dynasty on Buddhism at those day, these not only were remiss in their duty, but also continually put great emphasis upon the restoration of Buddhist history and the historical prestige of Mandeuksaji. Futhermore, they not only corrected historical inaccuracies of the Goryeo Dynasty, but also tried to preserve historical material which might slowly faded into dark age from its loss. In addition to such activities, they placed stress on the contemporary prestige and value, which Mandeuksa held at those day. Finally, they recorded 8 great monks of Mandeuksa in the temple historical documentaries, who were the most typical monks of predominant Zen sect and Doctrinism of Buddhism in the late Choson Dynasty.
    8 great monks were scholar monks inheriting the Buddhistic tradition and Buddhahood from Soyo Taeneung(逍遙 太能), and upon their receipt of ChungHeo(淸虛)’s and Hyujong(休靜)’s mantle, they played the role in lecturer or instructor of Daeheungsa(大興寺) temple. For example Mandeuksaji was recorded that monk who was called Chui-yeo Sam-woo(醉如 三愚) devoted one´s life to the restoration of Mandeuksa during the late Choson Dynasty. Mandeuksaji revealed that a good many people swarmed over at the temple site in order to attend Chuiyeo’ lecture about of Huayan thought(華嚴學). Especially, an illiterate monk who was called Huha-Ak MunShin(華嶽 文信) attended at lecture site of the temple. With Going through a series of developmental process, Mandeuksa laid the revival groundwork and produced many monk who have distinguished scholarship in relation to Zen sect and Doctrinism of Buddhism. Although Mandeuksa’s power was not up to Daeheungsa’s in the Choson Dynasty, the figure of distinguished monks who the former produced did not lag behind the latter’s.
    Eventually, It seemed to me that the writing and editing of Mandeuksaji was the outcome of historical understanding, which was willing to show the self-reliant and autonomous awareness by them. The self-reliant ideal type of Korean history and expression of its identity out which writer and editor sought led into aggressive awareness of Korean Buddhist history, so that they could try to collect material broadly, embark oneself in detailed evaluations, and write or edit the objective temple history. It appeared to me that Mandeuksaji(『萬德寺志』) have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ward revivalism in view of “forgotten Buddhist history”, which underwent the sense of oppression and alienation from Chos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