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사 4사자석탑 앞 석등 연구 (A Study of Stone lantern in front of 4-Lion Stone Pagoda in Hwaeomsa(華嚴寺))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1.12
26P 미리보기
화엄사 4사자석탑 앞 석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37호 / 75 ~ 100페이지
    · 저자명 : 강정근

    초록

    지리산 화엄사 4사자석탑 앞에는 跪坐자세의 승상을 間柱石으로 삼은 石燈이 있어서 석탑 기단중심부에 세운 승 입상과 마주보고 있다는 사실이 오랫동안 주목받아왔다. 궤좌자세의 승상은 한손에는 持物을 들고, 燈을 머리 위에 이고 있다. 그런데 궤좌자세의 승상이 燈을 머리에 이고 있는이러한 형식은 어디에서 유래한 것일까? 지금의 현상이 원형이라면 승상의 손에 들려있는 지물과머리 위에 얹혀 있는 燈의 도상적 근거는 무엇인가?그동안 석탑의 승 입상과 석등의 승상에 대하여 『秋江集』을 근거로 緣起祖師 創建說話를 표현한 조영물로 보거나, 4사자석탑의 僧像을 『華嚴經』의 獅子頻迅比丘尼로, 석등의 승상을 善財童子로 추정하는 그릇된 설이 나오기도 하였다.
    궤좌자세의 승상은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과 일본에도 선례가 있다. 右膝着地 궤좌는 원래 인도의 예법으로서 공양하는 자세로 해석할 수 있으며, 동아시아 고대 불교미술에서 널리 유행하였다.
    공양상의 모티프는 여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해석 된다.
    공양상의 지물을 찻잔과 寶器로 본 견해도 있었으나 보주형 꼭지가 달린 향로로 보는 것이 옳을것이다. 공양상 도상은 중국이나 일본에도 존재하지만 화엄사처럼 향로를 손에 든 채 등을 머리에이고 있는 도상은 어디에도 없는 통일신라의 독창적 조형물이다.
    『大般涅槃經』에 의하면 불교에서 머리에 무언가를 이고 있는 행위는 공경하는 대상에 대한 지극한 공양을 의미한다고 한다. 등을 머리에 인 ‘頂戴燈供養’의 경우, 『悲華經』 에 ‘無諍念王’이 燈을 머리에 이고 ‘寶藏如來’께 供養하였다거나 『大寶積經』에 “燈을 머리에 이고 있는 것이 부처에대한 供養行爲이며 그리하면 業障이 깨끗이 없어진다” 는 내용도 있다. 나아가 『增一阿含經』에는어떤 노비구가 ‘보장여래’에 대한 지극한 燈 供養을 통하여 마침내 ‘燈光如來’가 된다는 내용이 나타난다. 『悲華經』 에는 전륜성왕이, 『大寶積經』에는 보살이, 『增一阿含經』 에서는 비구가 여래에 대한 ‘정대등’ 공양을 하고 있다. 즉 화엄사 석등의 頂戴燈供養像은 如來나 塔에 대한 燈供養을통해 業障을 제거하고 成佛할 수 있다는 衆生制度的 의미를 보여주는 불교적 조형물로 해석된다.
    화엄사 석등에서 처음 시도된 정대등공양상은 이후 금강산 금장암지 석등 등으로 이어지게 되며 이는 우리나라 불교미술 속에서 새로운 도상의 석등형식을 추구한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It has been noticed for a long time that the stone lantern making the gyejwa(跪坐)(kneeling posture) priest statue as Ganjuseok(間柱石)(middle support stone of the stone lantern) in front of 4-Lion Stone Pagoda in Hwaeomsa(華嚴寺), Mt. Jiri has stood facing the standing priest statue at the center of stone foundation platform. The gyejwa posture priest statue carries a gimul(hand grabbed object) in his left hand and carries a lantern on his head.
    Then, where has the style of the gyejwa posture priest statue which carries a lantern on his head has originated? If it is the prototype of the style, what is the graphic basis of the jimul in the hand and the lantern on the head?Meantime, one theory has been presented to see the standing priest statue on the foundation platform and the priest statue as a formative object expressing foundation story of Yeongijosa (緣起祖師 創建說話) based on the records of Chugangjip 『秋江集』. Other theories assume that the priest statue of 4-Lion Stone Pagoda as Sajabinsinbiguni(獅子頻迅比丘尼) showing up in 『Hwaeomgyeon g』 『華嚴經』 or the priest statue of the stone lantern as Seonjaedongja(善財童子)(St. Sudhana).
    A gyejwa posture priest statue appears not only Korea but also China and Japan. The kneeling of Useulchakji(右膝着地)(putting right knee on the ground) is an Indian courtesy and it was prevailing East Asian nations' ancient Buddhist arts. Kneeling itself can be construed as offering posture and the motif of the offering statue is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the kneeling of Useulchakji.
    Jimul of the offering statue can be assumed as a lidded censer in a boju(寶珠)type, even thought some assumes as a tea cup or Bogi(寶器)(treasury bowl). The offering statue appeared also in China and Japan. However, the statue carrying a lantern and censer on the head and having jimul in his hand is the originative sculpture of the Unified Silla which can not be found any other countries.
    According to the scriptures of Daebanyeolbangyeong(『大般涅槃經』), the action of carrying something on the head means supreme offering to the reverend object. Jeongdae lantern offering (‘頂戴燈供養’) carrying a lentern on the head is also appeared in the scriptures.
    According to 『Bihwagyeong』 (『悲華經』), Mujeongnyeomwang(無諍念王) carried one lantern on the head and offered to Bojangyeorae (‘寶藏如來’). Also, 『Daebojeokgyeong』(『大寶積經』) says that offering to Buddha carrying lantern on one's head cleans out obstacles. Jeungilahamgyeong(『增一阿含經』) says that one old Buddhist nun finally reaches Deungwangyeorae(‘燈光如來’) after extreme lantern offering to to Bojangyeorae Jeonryunseongwang(轉輪聖王) in 『Bihwagyeong』, bosal in 『Daebojeokgyeong』 and old Buddhist nun in 『Jeungilahamgyeong』 are offering to Buddha carrying lantern on one's head.
    What is noted at those cases is that the stone lantern in Hwaeomsa is the Buddist sculpture which shows the meaning of saving the people by removing evils and becoming a Buddha through a lantern offering to Yeorae(如來) or Pagoda.
    A offering statue carrying a lantern on the head and having jimul in he hand was firstly tried in the stone lantern in Hwaeomsa which influenced on the stone lantern, Geumja ngamji(金藏巖址), Mt. Geumgang. It can be concluded that it pursued the new style of stone lantern in the Buddhist art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