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시대 순장묘 내 뼈대보존의 차별적 양상과 그 의미 (Differential Aspects of Skeletal Preservation from the Sacrificial Burials of Three Kingdoms Period(5~6th Century AD) and Their Meaning)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3.12
11P 미리보기
삼국시대 순장묘 내 뼈대보존의 차별적 양상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체질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해부·생물인류학 / 36권 / 4호 / 197 ~ 207페이지
    · 저자명 : 서민우, 김대욱, 우은진

    초록

    고고유적에서 나온 사람뼈의 보존상태는 생전 개인의 성, 연령, 질병과 같은 생물학적 요인, 매장지의 기후, 토양의 산성도와 같은 자연환경적 요인, 분묘의 깊이와 종류, 매장 위치, 그리고 장례 풍습과 같은 사회문화적 요인들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집단 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사람뼈의 보존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종 요인들과 보존상태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과거 집단의 생활상을 복원하고자 하는 생물인류학 및 고고학적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 연구는 삼국시대 순장묘에서 출토된 사람뼈 자료를 토대로 성별, 연령, 피장자의 매장 맥락에 따른 뼈 보존상태의 차별적 양상을 확인하고 그 원인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현재 영남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군 출토 주피장자 사람뼈 13개체와 순장자 사람뼈 42개체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연구 자료로는 동일 묘역 내에서 주피장자와 순장자 사람뼈가 동시에 확인되는 분묘에서 나온 개체들 만을 이용하였다. 사람뼈의 보존상태 점수는 사람의 뼈대에 있는 80개의 계측치 및 해부학적 표지점에 점수를 부여하여 0에서 1사이의 보존상태 점수를 산출하는 Stojanowski 등(2002)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임당유적 전체에 대한 평균 보존상태 점수는 0.169점으로 확인되었다. 임당집단 남성의 평균 보존상태 점수는 0.219점, 여성은 0.254점, 추정불가 집단은 0.122점으로 확인되었다. 연령별 평균 보존상태 점수는 아이 집단은 0.147점, 청소년 집단은 0.334점, 어른 집단은 0.152점으로 확인되었다. 임당유적 전체에서 피장자의 매장 맥락에 따른 보존상태 점수는 주피장자 집단은 0.160점, 순장자 집단은 0.172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영동 고분군 순장자 집단의 평균 뼈 보존상태 점수는 0.178, 주피장자 집단은 0.076으로 약 0.1점 정도의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수준이었다(p<0.05). 이러한 결과의 원인으로 주피장자의 죽음부터 최종 매장까지의 기간 동안 주피장자의 시체를 특정 장소에 안치 혹은 임시 매장한 풍습인 빈장(殯葬)의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자연 환경에 일정기간 노출된 주피장자의 시체는 최종 매장의 시점에서 상당부분 부패된 상태인 반면, 순장자들의 경우 주피장자와 함께 최종 매장될 시점에 희생되었기 때문에 순장자들의 뼈 보존상태가 더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임당유적의 사람뼈를 통해 추론한 빈장의 습속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고학적으로 순장이 확인된 신라와 가야 지역 내의 대형 고분에서 출토된 사람뼈의 매장 맥락 간 보존상태 차이를 추가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Skeletal preservation from archaeological sites can differ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biological, natural-environmental, and sociocultural features. For this reason, differential skeletal preservation can offer a key to reconstruct the state of ancient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tial skeletal preservation patterns by sex, age, and the context of buried individuals from the sacrificial burials of Three Kingdoms period (5~6th Century AD). Especially,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owners and sacrificial victims would be differently treated based on ancient burial customs by the individual’s social class.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preservation score for the 55 individuals(13 owners and 42 sacrificial victims) from Imdang site, Gyeongsan. The preservation score was calculated for the 80 skeletal landmarks, consisting of 35 paired and 10 unpaired cranial and postcranial features, following the method of Stojanowski et al. (2002). The difference of preservation score by sex and age was compared by using nonparametric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test. The difference of preservation score by the individual’s social class was compared by using nonparametric MannꠓWhitney test. The result show that the average preservation score for the entire Imdang population was 0.169. Skeletal preservation score for female (0.254) was the highest compared to male (0.219) and undeterminable (0.122). By age, adolescent (0.334) were the most well preserved group among child (0.147) and adult (0.152). By the context of buried individuals, preservation score for the sacrificial victims was 0.172, which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owners (0.160). Especially in Joyeong ancient burials,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owners (0.076) and the sacrificial victims (0.178),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differential skeletal preservation between two groups may be related to ancient Korean burial customs of placing the owners in a specific place during funeral preparation.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owners are even more poorly preserved because of their longer exposure to natural environment than the sacrificial victims, who would have been sacrificed just before the burial was cov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부·생물인류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