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음챙김과 자기기억의 연관성 —위빠사나 명상과 구르지예프 사상을 중심으로— (The Connection between Buddhist Mindfulness and Gurdjieff's Self-Remembering)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0.08
49P 미리보기
마음챙김과 자기기억의 연관성 —위빠사나 명상과 구르지예프 사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26호 / 361 ~ 409페이지
    · 저자명 : 안희영

    초록

    본고의 목적은 불교의 핵심 수행 방법인 마음챙김(mindfulness)과 구르지예프 전통의 핵심인 자기기억(self-remembering) 간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두 전통은 발생 배경이나 우주관 등에서 별로 관계가 없는 듯이 보이면서도 그 핵심에 있어서 어떤 유사성이 있다는 가설에 전제하여 각 방법의 특징과 수행방법에 중점을 두고 비교하였다.
    마음챙김은 불교에서 언제나 유익하며 비개념적이고 비판단적이며 선택 없는 초연한 관찰로서 고통의 소멸에 필수적인 수행방식이다. 자기기억 역시 비판단적이며 관찰대상을 변화시키려 하지 않고 그대로 보는 순수한 주의와 같은데 주의를 대상과 관찰자 모두에게 기울이는 것으로 동일시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주장에 근거하여 자기기억이 불교의 마음챙김과 상당한 유사점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공통점으로 주의력의 분할 사용방법, 있는 그대로 보기, 지적인 관념의 해체, 지금여기에 깨어있음, 변화의도 배제, 체화의 중시 등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구르지예프의 자기기억이 불교의 사념처 수행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하면서도 인류 경험의 보편적 특성 때문에 이 두 수행법이 독자적으로 발전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또한 불교와 구르지예프 사상의 우주관 및 이론적 체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두 수행법의 궁극적 도달점 또한 동일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음챙김과 자기기억은 서로 다른 전통에서 다른 모습으로 전수되고 있지만 서로의 공통점과 관련성이 시사되고 있으며, 두 방법이 수행에 차지하는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상호 비교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nection between mindfulness and self-remembering. Mindfulness has been regarded as the heart of Buddhism, while self-remembering as the core teaching of Gurdjieff. Written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the practices, this paper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se two traditions have some similarities even though they seem to have nothing in common in terms of their backgrounds and cosmology.
    In Buddhism, mindfulness is always considered beneficial. It is a non-conceptual, non-judgmental, and choiceless and detached awareness, and indispensable to the end of suffering. Self-remembering is also non-judgmental, and bears attention to seeing things as they are without trying to change what is observed. In self-remembering, attention is divided between the observer and the observed. It is obstructed by identification.
    After an analysis of the relevant literature, this paper concludes that mindfulness and self-remembering have similarities such as: the use of divided attention inwardly and outwardly; seeing things as they are; an exclusion of abstract ideas; being awake right here and now; change of the habitual attitude from changing to accepting; and emphasis of embodiment.
    Based on the discussion that follows, this paper suggests that Gurdjieff's self-remembering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the Buddhist meditation practice of mindfulness, even though it is also possible for these traditions to have developed independently. The ultimate aims of the two practices would be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the cosmology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are based on different systems. Although mindfulness and self-remembering are disseminated within the different traditions and in the different forms, contrastive studies on these two practicing methods are both greatly needed and would be beneficial, at the time when a glimpse of the connections between the two begins to emer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