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쫑카빠의 止觀과 天台止觀의 비교 연구 -『보리도차제약론』과 『천태소지관』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shong khan pa's samatha vipasyana and Tian tai zhi guan -focusing on 『Lam rim chung ba』 and 『Tian tai xiao zhi guan』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1.08
41P 미리보기
쫑카빠의 止觀과 天台止觀의 비교 연구 -『보리도차제약론』과 『천태소지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29호 / 357 ~ 397페이지
    · 저자명 : 최동순

    초록

    지관(止觀) 수행을 중심으로 티벳의 쫑카빠와 중국의 천태 지의의 수행법을 비교하였다. 두 인물이 동아시아 불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비록 그들이 활동한 시대와 지역적 기반이 다르지만 교학과 실천에서 뛰어났다는 점과 함께 그 사상과 방법론을 남기고 있다. 또한 그들은 각각 겔룩빠와 천태종이라는 종파를 일으킨 장본인이다.
    쫑카빠가 지은 『보리도차제약론』은 지관을 중요 수행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지의는 『천태소지관』을 설하여 입문자들에게 가르쳤다. 지관을 중심으로 두 저술을 세 가지로 비교하고 고찰하였다. 첫째, 지관 수행을 위한 환경을 조성과 좌선 실수를 위한 각종 준비, 그리고 실천 방법을 비교하였다. 둘째, 좌선 실수(實修)에 따른 여러 가지 장애들을 상정하고 그 장애들을 제거하는 방법을 비교하였다. 셋째, 『보리도차제약론』과 『소지관』에서 말한 지관 수행이 미도지의 수행임을 밝혔다. 이에 따라 지관의 성취 후 금강승과 원융으로 나아간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인도 불교는 철저하게 차제 중심의 불교였고, 그것을 후기 대승불교가 유입된 티벳불교의 전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대승불교의 수행법이 포함된 다수의 선경류 역시 중국에 전역되었다. 선경류를 바탕으로 일찍 형성된 천태지관이 있었고 차제를 계승하였다. 그러나 『육조단경』에서 보듯이 돈오(頓悟)의 법문이 자리 잡았고 차제 행법과 다르게 중국 선종을 형성하였다. 노장 사상의 영향을 받은 선종은 번쇄한 절차들을 생략하고 무위(無爲)에 안주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돈오 수행을 선호한 것으로 보인다. 돈오 수행의 대척점으로서 천태종과 티벳불교의 공통점인 지관이 나타난다.

    영어초록

    It compared the discipline of Tibet's Tshong kha pa blo bazng grags pa and that of Chi-i in China with reference to samatha vipasyana discipline. The two figures take an enormous influence in Buddhism. Although they lived in a different time and region, both were eminent in theory and practice leaving unique methodologies. They are the ones who created dGe lugs pa and Tian tai zong respectively having a huge influence in the history of Buddhism.
    Tshong kha pa's 『Lam rim chung ba』employed samatha vipasyana as a crucial discipline while Chi-i taught 『Tian tai xiao zhi guan』. This study compared it into three. First, atmosphere construction for zhi guan practice, preparation for sitting mediation and its practice method are studied. Second, some barriers of sitting mediation practice and its resolving method are compared. Third, it demonstrates that 『Lam rim chung ba』 and 『Tian tai xiao zhi guan』 are practices of unexplored one. Accordingly, it makes it clear that the achievement of zhi guan lead to Vajrayana and boundlessness.
    India Buddhism is thoroughly lam rim focused Buddhism, which was confirmed in Tibet Buddhism introduced by later Mahayana. Various Chan sutras including Mahayana were spread out in China. There were Tian tai xiao zhi guan established based on Chan sutras followed by lam rim. However, as shown in 『Liu Zu Tan Jing』, sudden enlightenment took initiatives forming Chan order that is different to Lam rim practice. Chan order influenced by Taoism omitted complicated procedures but intended to stay in letting that prefers sudden enlightenment. The common point of Cheontaejong and Tibet Buddhism was formed to counter sudden enlightenment. A Buddhist practice that developed zhi guan is compared and speculated which is different to sudden enlighte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