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쫑카빠(Tsong-Kha-Pa)의 世俗에 관한 고찰- 자립논증파의 세속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song-Kha-pa’s Explanation of the Conventional)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9.12
26P 미리보기
쫑카빠(Tsong-Kha-Pa)의 世俗에 관한 고찰- 자립논증파의 세속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0호 / 219 ~ 244페이지
    · 저자명 : 박영란

    초록

    쫑카빠는 자신의 대표적 저서중 하나인 『密意明解(dGongs pa rab gsal)』 Tsong kha pa, dbu ma la 'jug pa'i rgya cher bshad pa dgongs pa rab tu gsal ba, P6143.
    에서 자립논증파가 세속의 존재에 대하여 자성적으로 성립하는 것을 인정한다고 기술한다. 그러나 실제로 인도의 자립논증파 어느 누구에게서도 그와 같은 견해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러한 의문점에서 출발하여 본고에서는 쫑카빠가 왜 그와 같은 주장을 상세하게 피력하며 자립논증파를 비판하였는가 하는 점을 고찰해 보았다.
    먼저 인도중관학파의 세속에 대한 개념을 이제를 통해 파악하고자 대표적인 인도 중관논서들속에서 기술되고 있는 세속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자립논증파가 세속유에 대한 자성적 성립을 인정한다는 내용은 발견되지 않는다. 반면에, 티베트에 이르러 다수의 쫑카빠 논서들에서 이 견해가 발견되고, 후대의 종의학설서들에서도 공통적으로 확인된다.
    쫑카빠는 『밀의명해』에서 세속에 대한 바른 인식이 성립하려면 대상이 인식과는 별도로 대상 자체적 측면으로부터 성립함과 동시에 범부의 심식에 현현함이라는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를 통하여 자립논증파가 세속의 존재에 대한 자성적 성립이라는 사상을 견지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세속유에 대한 실유적 견해는 바른 인식과 자립논증을 성립시키기 위한 필요조건속에서 자연스럽게 귀결되는 사상이라고 검토된다. 대상이 자체적 측면에서 성립하는 방식 그대로 심식에 현현해야만 착란없는 바른 인식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요컨대, 자립논증파가 세속에서 자성적 성립을 인정한다는 주장은 인도의 중관논사가 아니라 티베트 쫑카빠와 후대의 종의학설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으며, 이것은 쫑카빠가 인도 중관논사들의 사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독자적인 사상이라고 추측된다.

    영어초록

    Tsong-kha-pa describes in his own treatise, Illumination of the Thought (dGongs pa rab gsal) that the Autonomy School(Mādhyamika-Svātantrika, dbu ma rang rgyud pa) accepts phenomena which are established by way of its own character conventionally. But this is contrary to the Madhyamaka’s fundamental philosophy. The Madhyamaka School negates the inherent existence which is existed by way of its own nature, because illuminating the selflessness of things is the fundamental position in this school. Such view on the phenomena is not found among the treatises of Indian Madhyamaka School at all.
    This article investigates that why Tsong-kha-pa claims such view on the conventional things consistently in many treatises of his own. Having analyzed a few representative treatises of Autonomy School(Mādhyamika-Svātantrika, dbu ma rang rgyud pa), there was not found that such descriptions accepting the substantial mode of the conventional things. But Tsong-kha-pa and his followers describes this view commonly. Furthermore, it is considered as a systemized doctrine in their order, Dge-lugs-pa.
    Tsong-Kha-pa says in his treatise(Gongs pa rab gsal) that two conditions must be occurred simultaneously to establish the valid cognition in Svātantrika, such as the mode of object being established by way of the its own nature(rang gi mthsan nyid kyis grub pa) and its appearing to a mind.
    Here, the mode of object being established by way of the its own nature implies the essence of ojbect. And the meaning of commonly appearing subjects in the syllogism is to be taken as subjects established by valid cognition. Because the valid cognition is thought to be a non-mistaken awareness which appears in the mind with no difference to the object existing by way of its own characters. For the Svātantrikas, when two parties are debating about an attribute of an objcect, the subject of the debate must be established as commonly appearing to both parties. Without an objetively established subject, it is impossible to prove the modes of the sign because the Svātantrikas hold that an attribute which lacks an inherently existent substratum is infeasible.
    In short, it seems that Tsong-Kha-pa resulted in the object existing by way of its own side conventionally, substantial mode of phenomena, in order to establish a valid cognition and syllogism(svatantra). But Svātantrikas such as Bhāvaviveka never openly said that svatantra, autonomy, equals svabhāva-siddhi, inherent existence. Therefore, it is evident that the view insisting on the substantial mode of conventional things is not mentioned by Indian Mādhyamikas, but by the Tsong-kha-pa and his followers in Tibet. It is supposed to be a Tsong-Kha-pa’s distinctive opin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