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건설과 합법칙적 조건설에 대한 방법론적 관점을 통한 고찰 –데이빗 흄의 인과론과 철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A Consideration on Some Causation Theory through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20.06
37P 미리보기
조건설과 합법칙적 조건설에 대한 방법론적 관점을 통한 고찰 –데이빗 흄의 인과론과 철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강원법학 / 60권 / 319 ~ 355페이지
    · 저자명 : 이건호

    초록

    형법학에서 인과관계논의는 조건설과 객관적 구성요건론에서 계속적인 발전을 해온 것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 형법의 인과관계론은 여타 학문 분야의 논의와는 그 관련성이 단절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학설들은 엥기쉬의 합법칙적 조건설 등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형법만의 독자적인 인과관계론이 있다고 파악하는 것이 통설적인 견해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발전과정에서 인과관계론과 객관적 귀속론이 결과범의 객관적 구성요건론의 결론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해지면서 이런 경향에 변화가 나타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즉 인과관계의 문제는 행위와 결과 사이에 존재하는 자연법칙적 관련의 문제로 객관적 귀속의 문제는 행위자에 대한 귀책의 문제로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나 형법학의 독자적인 인과관계의 문제라는 인식은 몇 가지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여지며, 오히려 철학 등에서 고찰되는 인과관계에 관한 논의들을 참고함으로써 형법해석론을 위하여 보다 명확한 입장의 정립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런 논의를 위해서 형법상의 인과관계이론과 철학상의 인과관계론의 연결점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형법상의 조건설과 합법칙적 조건설이 철학의 논의로부터 그 이론적 단초를 얻어왔다고 생각되므로 우 학설들을 차례로 살펴봄으로써 철학적 논의와의 관련을 탐색해보기로 한다. 특히 엥기쉬의 합법칙적 인과론에 대해서는 저자 자신이 흄의 인과론 등으로부터의 관련성을 밝히고 있으므로 논의를 연결시키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철학적 인과론의 시작을 열었다고 평가되는 데이빗 흄의 인과론을 살펴봄으로써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시간적 선후관계에 있는 ‘외부세계의 변화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에 있게 되고 그러한 연결은 인과적으로 보이는 결합의 외관을 갖게 될 것이다. 실제로 인과적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가 하는 점이 법칙적 연결의 문제가 될 것이다. 흄의인과론에 따르면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사건A와 그에 따르는 사건B 사이에 일정한 법칙성이 존재해야 하는데, 그 법칙성이란 A와 비슷한 사건들에 B와 비슷한 사건들이 잇따름이 있어야 한다는 것, 즉 이런 상례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Conditional theory has many problems. The ‘theory of condition based on the covering law model’ is a legal doctrine that holds the status of influential theory in criminal law. It is an opinion asserted by Engisch that evaluates the logic and rationality of criminal justice judgment by replacing the abstract consideration method using the hypothetical elimination procedure of conditional theory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oncrete action and outcome.
    The criminal theory of causality is whether it is a completely separate theory from the causality of philosophy or natural science. It should not be seen as completely separate from the discussion of philosophy or natural science. The causality theory of criminal law seems to have been disconnected from the discussion of other academic fields. As for the legal causal theory, Engisch, the author himself reveals the relevance from Hume’s causal theory. And I would like to develop a discussion by looking at David Hume’s causality, which is said to have opened the beginning of philosophical causality.
    Contrary to the reviewing of abstract results in hypothetical elimination procedures that determine whether the latter would have been absent without the former, ‘condition based on the covering law model’ differs in that it considers specific circumstances in individual cases and examines them through concrete results. The “changes in the outside world” in the temporal relationship will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will have a causal appearance. Indeed, whether or not they are connected by causal coupling will be a matter of “natural law based” connection.
    In a specific case, when the judicial involvement between changes in the outside world in relation to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ction and consequences arises, the question of which natural science law the judge will apply may arise. The judge will have to grasp the knowledge related to the laws of natural science at issue through the consultation of experts in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It is unclear how ‘behavior’ as an individual condition included in a precondition is caused independently. According to Engisch, transition from total conditions to individual condition is possible only on the premise of other conditions. Rather than incorporating the behaviors of actors into the causal linkages, it is necessary to decompose them into concrete stages to see if they can be organized into event concepts. If it could be revealed through examination of specific conditions that the behavior in question has a ‘natural law based connection’ with the occurrence of the preceding event as a prerequisite to the occurrence or occurrence of the event within the preceding event that contains the behavior, the behavior will be a causal action within an event related to the constitutive outco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