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빌 비올라(Bill Viola)의 비디오 작품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통합적 환경과 실존적 주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Video Works of Bill Viola : Integrative Environment and Existential Meani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6.11
36P 미리보기
빌 비올라(Bill Viola)의 비디오 작품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통합적 환경과 실존적 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49권 / 229 ~ 264페이지
    · 저자명 : 안선미

    초록

    본 연구는 빌 비올라(Bill Viola)의 작품에 나타난 현상학적 특징에 관한 고찰이다. 비올라의 작품은 근본적으로 시간성과 신체 체험성에 기반하고, 주제적인 측면에서도 시간성의 통합의 귀결인 실존성과 접목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올라의 작품을 시간성과 신체의 통합성, 그리고 실존성의 측면에서 고찰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에드문트 후설(Edmund Husserl)에서 시작한 현상학적 시간성은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와 모리스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 Ponty)에 이르면 시간과 신체의 통합이 존재의 실존성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조망하면서, 비올라 작품에서 나타나는 시간성에 기초한 신체 체험적 특징들을 현상학적 개념들과 연계시키고 더불어 주제적인 특징들도 현상학의 존재론적 측면에서의 실존성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비올라의 시간 조작은 정지, 슬로모션, 클로즈업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비올라는 이러한 시간조작을 통해 내적인 시간의식을 표현하려 했다. 그것은 인간의 외부에 존재하는 수치화된 객관적 시간이 아닌, 인간 내면의 의식에서 흐르는 시간성이다. 이러한 비올라의 시간 의식은 후설의 ‘내적 의식으로서의 시간’ 개념과 맞닿아 있다. 비올라의 작품에서 보이는 클로즈업은 작가의 심리적인 역동성을 보여주고, 또한 슬로모션의 사용은 인간의 감정을 관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면서 관객에게 내적 체험을 일으킨다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스크린을 병치시키거나 또는 시간을 역행시키는 비올라의 시간 조작을 하이데거의 ‘탈자(Ekstatikon)’ 개념으로 설명했다. 과거, 현재, 미래의 스크린을 병치시키는 비올라의 작품은, 현재의 의식 속에서 미래와의 연계와 과거의 소환으로 통합되는 시간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간을 역행시키는 비올라의 시간 조작은 ‘장래(Zukunft)’를 미리 선행시켜서 현전으로 복귀한다는 하이데거의 ‘시간의 통합’과 연계하여 설명했다. 비올라의 죽음에 대한 표상은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는데, 하나는 부활이나 환생이라는 의미보다는 실존적으로 불안의 요소를 관객에게 제시한다는 부조리로서의 죽음으로, 다른 측면은 ‘선구적 결의(Vorlaufende Entschlossenheit)’의 수단으로서의 죽음으로 이해했다.
    관객의 감각을 자극하여 총체적인 지각으로 이끌려는 비올라의 의도는, 설치 공간을 따로 마련하면서 관객의 지각에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어두운 공간에 프로젝션이나 오브제를 설치하고 음향 효과를 주면서 관객의 지각을 이끌어내는 환경은 메를로 퐁티의 ‘감각의 통합’과 연계된다고 볼 수 있다. ‘감각의 통합’은 관객의 지각을 작동시키고 결국 관객의 신체가 설치공간과 일체감을 이루게 만드는 비올라의 작품은, 메를로 퐁티의 ‘신체의 통합’에 의한 ‘세계의 통합’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works of Bill Viola. His artistic works are generally based on the conception of time and the bodily experience and their themes are also related to the existentiality attained through the unity of time. Therefore this could be accounted as a research to examine the video works of Bill Viola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onception of time, the bodily experience and the existentiality. Bearing in mind that phenomenological conception of time, launched by Edmund Husserl and critically developed by Martin Heidegger and Maurice Merleau-Ponty, evolved into the existentiality of a being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time and body, this study aims to conn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ily experience based on the conception of time in Viola's works to the concepts of phenomenology and to explore their thematic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xistentiality from the ontological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In his video work, Viola uses various kinds of camera techniques to manipulate the stream of time such as a stand-still, slow motion, close-up and others. Through the manipulation of time, he tries to represent internal consciousness of time. This is not the time to be numerically counted and objectively existing outside world but the one to flow in the human mind. This thesis proves that such Viola's sense of time meets with Husserl's concept of ‘time as internal consciousness’. The close-up in Viola's video art shows his psychological dynamism and the use of slow motion conveys the human emotion effectively to audience and arouses internal experience in them.
    In this thesis, Viola's time manipulation through the juxtaposition of screens or retrogression of time is explained by Heidegger's concept of ‘Ekstatikon’. Putting the screens represent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respectively side by side can be interpreted to show the conception of time which is unified through the anticipated future and the recalled past in the consciousness of the present. Also retrogression of time in Viola's work is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Heidegger's ‘unity of time’ which brings ‘the future(Zukunft)’ to the present by projecting towards the future. Viola's representation of the death is examined from two perspectives; first it is understood as the death of the absurdity which brings up the element of existential anxiety to audience rather than the meaning of resurrection or reincarnation, second as the death of a means for ‘resoluteness(Vorlaufende Entschlossenheit)’.
    Viola's intention to induce the total perception by stimulating the senses of the audience works more effectively on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in the specifically prepared installation space. The environment where the bodily experiences are induced by installing projection or objects in the dark space and giving sound effects can be seen to have a connection to Merleau-Ponty's ‘the integration of the senses’. Viola's works in which ‘integrated senses’ bring about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and their bodies are led to feel the unity with installation space can be understood with the Merleau-Ponty's concept of ‘the integration of the world’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bo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