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빈풍칠월도의 도상적 기원과 기능 연구 (Iconographic Origin of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and Its Functions in the Joseon Dynas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7.09
31P 미리보기
조선시대 빈풍칠월도의 도상적 기원과 기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5권 / 295호 / 51 ~ 81페이지
    · 저자명 : 김현지

    초록

    『시경』 경전의 내용을 도해한 <시경도>는 중국 육조시대 4세기부터 그려진 기록이 있어서 그 기원이 오 래됨을 알 수 있다. 시경도는 중국 송대 이전부터 『시경』의 삽도로 그려지기 시작하다가 이후 점차 빈풍칠월 도가 『시경』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발전하며 단독 화제로도 성행하였다. 송대 형성된 삽도로서의 시경도의 전형성은 명대, 청대에도 계속 모사되면서 전통으로 지속되는 한편, 또 다른 한편으로 원대 이후로는 문인 층이 빈풍칠월도 중 일부 단일 장면을 선택하여 제작하기도 하였는데, 특히 민간에서 축수화로 성행하였 다는 점은 주목되는 바이다.
    빈풍칠월도는 구성에 있어서 시경 빈풍편 칠월 시의 제1장부터 제8장까지의 순서로 텍스트상의 순서 를 중시한 방법과 이를 1월부터 12월까지의 시간 순서로 재배열한 월령식 구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중 국 송, 원대의 도상으로 구성된 회권은 전체적으로 시간 순서를 고려한 장면을 선택하여 배열하였지만, 텍 스트상의 순서를 더 중시하였다.
    조선전기에는 현존하는 작품은 없으나 기록을 통하여 빈풍칠월도가 궁중에서 매우 중요시된 화제라 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위정자에게 농사짓는 백성의 고단함을 알게 한다는 무일정신을 담은 궁중의 감계화 로서의 기능을 겉으로 표방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시경』의 유교경전으로서의 권위를 빌어 국가의 농경의례 의 당위성을 지지하고, 풍농을 예축하며 기원하는 제의적 기능이 한축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조선후기에 는 이러한 기능에 더하여 사회 구성원간의 통합과 왕업을 칭송하는 정치적 기능과 壽福을 축원하는 길상 적 기능까지 더해지면서 빈풍칠월도는 다양하고 풍성한 의미를 내포한 화제로 발전하게 되었다.
    조선시대 전기부터 제작된 빈풍칠월도는 농민들이 벼농사를 짓고 부녀자들이 길쌈을 하는 구체적인 생활상을 그린 풍속화로 인식되어 궁중에서 감계화로 주로 병풍의 형태로 만들어졌다. 경직도가 ‘경도’와 ‘직도’로 나누어 작업의 순서를 자세히 도해하여 농사일의 어려움과 공정의 복잡함을 설명하는 것이 목적인 데 반해서, 빈풍칠월도는 일 년 중의 세시 의례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발달한 화제이다. 그동안의 연구는 빈풍칠월도에 그려진 농민의 생활장면에 주목하고 이러한 장면이 조선후기에 발전한 풍속화와 어떠한 연장 선상에 있는지 그 연결지점에 주목했다면, 필자는 이러한 그림이 백성의 일반화된 일상을 그린 것이라기 보 다는 오히려 의미 부여된 특별한 날의 행위를 그린 것이며, 이는 세시의례의 제의성과 연관된다는 점에 주 목하였다.
    옛 사람들이 절기마다 행하는 의례와 행사들은 의식주 생업과 관련된 일상적인 행위이기도 하지만, 특정한 날에 특정한 행위를 하고 특별한 음식을 나누어 먹음으로써 앞으로 공동체에 일어날 결과를 예측 하고, 풍년과 복을 기원하고, 왕조의 태평성세를 기원하며, 그 결과에 보답하여 제사를 지내는 등 모두 의 미 있는 세시의례 행위였다. 따라서 이러한 특별한 의미를 담은 행위를 시각 이미지로 옮겨놓은 병풍을 의례 공간 혹은 일상의 공간에 둘러치는 것은 그러한 세시풍속이 지닌 제의적 기능을 그림에 부여하고, 그 표 상이 다시 현실에 영향을 미치기를 바라는 기원을 담는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빈풍칠 월도 병풍은 19세기 세시풍속도 병풍으로 다시 다양한 변주를 하며 이어지게 되었다.

    영어초록

    Pictorial illustrations of The Book of Odes have a long history, the earliest written reference dating far back to the fourth century during the Six Dynasties period (220-589) of China. Begun as a visual aid to the text, the illustrations have since the Song dynasty (960- 1279) gradually attained a higher status, and prevalence, as an independent painting theme. Such development came along with the emergence of the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as a representative image of The Book of Odes. It is the case that a typical set of the Book of Odes illustrations, seemingly established in the Song period, has persisted through continuous copying until the Ming (1368-1644) and Qing (1644-1912) periods. And yet it is also notable that a few of individual scenes from the “Illustrations” have been selected for a single painting by the literati since the Yuan period (1271-1368) and further interestingly that such a pictorial excerpt prevailed among the common people as a kind of painting that commemorates longevity.
    The “Illustrations of “Seventh Month” from the Odes of Bin” have two compositional systems at large: one laying stress on the textual order of The Book of Odes from the first to eighth chapter; and the other following the Wollyeongga compositional sequence that chronicles the annual cycle of activities from the first to twelfth lunar month. Handscroll versions from Song and Yuan China show a fundamental emphasis on the former system, while taking into compositional account the temporal sequence and generally choosing various scenes from the latter.
    Even in the early Joseon period, albeit no extant example of the time, did the “Illustrations” themes assume great significance to the royal court, literary evidence suggests. Apparently they served to provide moral instruction that a monarch be mindful of the farmer’s laborious service, a Confucian idea of Non-idleness. On the other hand, the authoritative status of The Book of Odes as one of the canonical classics in Confucianism lent an ideological support to agricultural rites and ceremonies that the state practiced as a Confucian monarchy. Also, the “Illustrations” worked as a ritualistic vehicle to celebrate, and to pray for, a year of good harvest. A variety of functional roles that the painting theme have accrued until the late Joseon period enriched the theme with diverse and abundant implications, including a political one to eulogize the righteous kingship and social integration as well as an auspicious to wish for longevity.
    Since early Joseon, the “Illustrations” have been produced in the format of folding screen, the formality of which suits a didactic painting that contains such detailed genre scenes of everyday life as male farmers’ activities of rice cultivation and women’s weaving and spinning. In contrast to the Gyeongjik-do (Ch. Gengzhitu: Drawings of tilling and weaving), which is divided into the parts Gyeong-do (Ch. Gengtu: Pictures of ploughing) and Jik-do (Ch. Zhitu: Pictures of weaving) for the sake of making known the difficulties and complexity of regular farming works by means of presenting an illustrated guide to the order of actions, the “Illustrations of the Seventh Month” have more to do with the annual and seasonal rites. The previous studies have paid more attention on the daily scenes in the “Illustration” and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genre painting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Calling for scholarly attention on the ritualistic nature of the annual rites, however, I will argue that the “Illustrations” are more concerned with a series of activities on a specific day to which special significance is assigned than the general life of the common people.
    One may find the seasonal rites and festivals merely a part of an annual routine of the people in the past. And yet on these days of especial importance the people did specific activities; shared special food; made a collective effort to foresee the future to their community; wished for a rich year and for good fortune; prayed for the peace and prosperity of the ruling reign; and performed ancestral rites in return for benign consequences. All these activities were to observe the seasonal customs and annual rites of enormous significance. In this vein, the act of placement, either in a ritualistic or casual space, of a folding screen onto which the practices of special importance are transferred visually, should be understood as an expression not only to project on the painting a ritual function that the annual rites and seasonal customs have carried out but also to wish the visual representation, in turn, have effect on reality. The “Illustrations” have kept running the course of transformation until the nineteenth century, when the theme’s variation gave rise to another genre, “paintings of annual cyclical rituals and seasonal customs” in the format of folding scre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