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관광 커뮤니케이션 연구- 광주ㆍ전남지역 관광인식과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ourism Communication based on Media Big Data Analytics: Perception about Tourism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Activation plan of tourism Industry)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7 최종저작일 2019.05
23P 미리보기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관광 커뮤니케이션 연구- 광주ㆍ전남지역 관광인식과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지역산업연구 / 42권 / 2호 / 255 ~ 277페이지
    · 저자명 : 유선욱, 류시영

    초록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광주?전남지역 관광에 대한 관광객의 인식과 핵심 관광이미지를 파악하고, 광주?전남지역이 가지고 있는 관광 콘텐츠를 진단, 발굴함으로 써 광주?전남지역 관광산업의 발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7년 7월 1일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1년간의 국내 주요 SNS 게시글 및 댓글, 주요 커뮤니티 사이 트 게시판의 글 등 소셜미디어에서 이루어진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였다. 광주?전남지역 여행 관련 콘텐츠 게시량은 여름 휴가시즌에 최고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을?겨울 은 여수, 봄꽃 축제 기간에는 순천, 5월에는 담양에 대한 언급량이 증가하였다. 명절인 추석 연휴 기간에는 여수와 순천의 언급량이 증가하여 연휴의 관광목적지로서 가족단위 여행지로 선호되고 있었고, 겨울 비수기인 1-2월에는 가격에 대한 언급량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소 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큰 관심지역으로 나타난 곳은 광주, 여수, 순천, 담양, 목포 순이었으며,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결과 키워드 대부분이 이 지역과 연관이 되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별로 볼 때 광주는 주요 방문지가 음식관광지인 경우가 58%를 차지 해, 타 지역에 비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강진의 경우 타 지역과는 다르게 역사 유적 지에 대한 담론이 음식관광에 대한 담론보다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수 및 순천은 자연 및 풍경 감상을 위한 방문지가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각 지역이 매스 미디어에 소개되거나, 축제가 진행될 경우 언급량, 방문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 며, 최근 일반 사회적 트렌드와 부합하여 전통적인 음식 이외에도, 새로운 메뉴의 맛집과 관 련한 담론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광주· 전남 지역의 관광활성화 발전 정책 방안 마련과 적극적인 관광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 을 제기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utilizing social media networking big data, to identifytourists' perception and key tourism image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tourism industry by examining and detecting the underlying tourism contents of Gwangju andJeollanam-do areas. Communications on social media, including posts and mentions frommajor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and bulletin posts from major communities in Korea.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ontent posts about tourism in Gwangju andJeollanam-do peaked during the summer vacation season. In fact, the number of mentionsabout Yeosu increased especially in fall and winter, while the numbers of mentions aboutSuncheon and Damyang increased during the spring flower festival and in May, respectively.
    Moreover, the number of mentions about Yeosu and Suncheon surged during the Chuseok(Korean Thanksgiving) holiday, and these places were preferred as family tourist destinationsduring the holiday season. In the winter months of January and February, a tourismoff-season, the number of mentions about price increased considerably. The most interestingplaces in social media communication included Gwangju, Yeosu, Suncheon, Damyang, andMokpo, and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on social media showed that most keywordswere related to these places. Meanwhile, when analyzed by each place, Gwangju accountedfor 58% of the major visiting places as a food tourism destination, which was higher than anyother place. Gangjin had more discourses on historic sites than on food tourism, unlike otherplaces. In addition, Yeosu and Suncheon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he places to visitto appreciate nature and the landscape. Overall, when each place was introduced in massmedia or a festival was held, the number of buzzes and visitors tended to increase. In linewith recent social trends in general,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discourses on goodrestaurants with new menu items in addition to traditional food was on the ris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to activatetourism industry and perform tourism communication activities more actively about Gwangjuand Jeollanam-do, and put forward related im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역산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6 오전